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전(田)'에선 밭농사, '답(畓)'에선 논농사를 짓죠 2022-01-17 10:00:26
밭’이란 글자 형태는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한 15세기에서부터 나타나니 무려 600년 가까이 우리 민족의 삶과 함께한 말이다. 그만큼 친근하고 살가운, 누구나 아는 우리말이다. 단어 구성 원리 알아야 비로소 말도 정교해져글쓰기는 단어의 선택에서 시작한다. 이때 단어는 전달하려는 의미에 가장 적합하고 정확한 ...
미국서 한국학 개척 1세대…개리 레드야드 석좌교수 별세 2021-11-02 18:06:47
창제가 한국을 영속적으로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개혁’이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생전에 한 인터뷰에서 “관료와 엘리트들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일반 백성으로 하여금 문자를 해독하게 하려는 세종대왕의 희망을 계급적 위협으로 느꼈을 것”이라며 “조선 관료들은 언어 개혁이 완전히 구현되지 못하도록 저지했다”고...
갑인자·해시계…인사동 출토 유물을 만나다 2021-11-02 16:59:24
‘인사동 발굴로 드러난 조선 전기 금속활자’에서는 훈민정음 창제 당시 표기법으로 만들어진 한글 금속활자 600여 점(사진)을 비롯한 1300여 점의 활자를 만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세종 연간 갑인년(1434년)에 만든 금속활자인 갑인자(甲寅字) 48점이 특히 주목할 만하다. 1796년 3월 17일자 정조실록에 정조가 “세종...
[생글기자 코너] 문화재 NFT 찬반 논란…순기능 살려 나가길 2021-10-25 09:00:51
됐다. 훈민정음은 세종대왕이 한글 창제 이유와 용법을 설명한 ‘예의본’과 한글 창제의 원리와 목적, 글자의 기원 등을 자세히 서술한 ‘해설서’로 나뉜다. 광복 이후 세상에 알려진 해설서가 바로 훈민정음해례본이다. 훈민정음해례본은 1997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간송미술관 측의 결정에 대해...
[생글기자 코너] 세종대왕의 걸작 '한글'이 위대한 이유 2021-10-18 09:00:38
있다. 각각의 자음과 모음에는 3가지 창제원리가 적용되었다. 자음은 기본자, 가획자, 이체자로 나뉜다. 기본자는 조음위치의 모양을 본뜬 ‘상형’의 원리, 가획자는 기본자에서 획을 추가한 ‘가획’의 원리, 이체자는 조음위치는 같지만 소리가 달라 다른 필체로 필기하기에 이체자라 명시한다. 모음의 기본자는 자음의...
테트리스로 쌓고 옷으로 입고…오감으로 느끼는 한글의 미학 2021-10-13 17:53:12
작품 41점을 통해 한글의 과학적인 창제 원리를 예술 작품으로 보여주는 전시다. 이명옥 관장은 “한글은 청각인 발음과 시각인 문자의 상관관계를 고려해 만든 공감각적 문자”라며 “다양한 감각을 자극하는 작품들을 통해 한글의 문화적 가치와 의미를 재조명하는 전시”라고 소개했다. 전시장에 들어서자마자 눈에 띄는...
[한경에세이] 디지털 정보화 시대의 신문맹 2021-10-12 18:11:54
고유의 한글을 창제했다. 세종의 애민 정신이 녹아 있는 한글은 적은 문자로 많은 발음을 표현할 수 있는 효율적인 언어다. 이런 과학적 우수성을 인정받아 한글은 1997년 10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됐다. 한글날은 우리나라 5대 국경일 중 하나로 지정됐을 만큼 대한민국 국민의 한글 사랑은 남다르다. 그에 더해 한국...
외국어가 고급?…한글 실종된 아파트명에 '세종대왕이 운다' 2021-10-09 11:16:17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한 지 575년인 한글날을 맞이했지만, 아파트에서 우리말을 찾아보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대부분의 이름이 영어로 이뤄져 있으며 심지어 올해 시공능력평가 상위 50위 안에 드는 건설사 중 주택 상표에 애칭을 포함해 순우리말만 사용하는 곳은 한 곳도 없다. 부영주택의 경우...
세종대왕이 울고 간다…한글 보기 힘든 아파트 이름들 2021-10-09 09:41:38
기자 =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한 지 575주년이 되는 한글날을 맞았지만, 우리나라 주거문화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아파트에서 한글 이름을 찾는 것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9일 건설·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올해 시공능력평가 상위 50위 안에 드는 건설사 가운데 주택 상표(브랜드)에 애칭을 포함해 순우리말만...
[책마을] 도둑 맞고 핍박 받고…한글 고난의 역사 2021-10-07 18:28:01
전하며, 세종이 훈민정음을 창제하게 된 이야기로 넘어간다. 훈민정음이 만들어졌지만 보급엔 상당한 시간이 걸렸다. 조선 시대 선비들은 한글을 낮잡아 봤기 때문이다. 오히려 당시 억압받던 불교계에서 훈민정음 보급에 힘썼다고 한다. 그리고 낮은 계층의 부녀자와 기생, 어린이들이 누가 가르쳐주지 않아도 스스로 익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