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박종우 교수 "로보틱스 SW에 집중해야 한국식 AI주권 확보" 2025-01-07 17:46:22
‘챔피언’ 자리에 오르는 로봇 기업이 속속 등장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닭을 제일 잘 튀기는 로봇, 딸기를 제일 잘 따는 로봇, 페트병 분리수거와 압축을 가장 잘하는 로봇 등이다. 박 교수는 “도메인별 로봇 스타트업을 선별해 육성해야 한다”며 “로봇은 한국이 반드시 리더십을 가져가야 할 분야”라고 강조했다....
LCK컵, 15일 개막…한화생명은 T1, 젠지는 DK 골랐다 2025-01-07 11:01:46
진행되기에 최종적으로 30개의 챔피언을 사용할 수 없다. 만약 5세트까지 진행되면 50개의 챔피언을 사용하지 못한다. 2025 LCK컵은 15일 오후 5시 OK저축은행 브리온과 DRX의 대결로 포문을 연다. 그룹 대항전은 내달 2일까지 열리고 플레이인은 2월 7일부터 9일까지 진행된다. 다음 달 12일부터 플레이오프가 시작되고...
개막 앞둔 LCK 컵…국제대회 '퍼스트 스탠드' 출전권 놓고 격돌 2025-01-07 10:29:34
규칙으로, 전략의 고착화를 피하고 다양한 챔피언을 볼 수 있어 여러 국제대회에서 주목받는 방식이다. LCK 컵에 참가하는 팀은 '바론 그룹'과 '장로 그룹'으로 나뉘어 그룹 대항전 방식으로 3주간 대결한다. 작년 LCK 서머 우승팀인 한화생명e스포츠는 바론 그룹 대표를 맡아 월드 챔피언십 우승팀 T1을...
메가존소프트, 싸이버로지텍에 구글 워크스페이스 기반 디지털 워크플레이스 구축 2025-01-07 10:12:50
챔피언 워크샵, 사용자 교육, 온라인 가이드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행했다. 메가존소프트는 구글 워크스페이스의 효과를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해 사용률, 만족도, 업무 효율성과 생산성, 협업 및 정보 공유 증진이라는 성공 기준과 목표를 설정해 관리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메가존소프트는 구글의 생성형...
임성재 "출발이 좋다"…PGA 개막전부터 3위 2025-01-06 18:23:15
지난 시즌 정규 대회 챔피언과 페덱스컵 랭킹 50위 안에 드는 선수만 출전하는 왕중왕전 성격의 대회다. 올해는 59명이 나왔다. 임성재는 경기 후 인터뷰에서 “3위라는 성적으로 끝내서 기분이 좋다”며 “시즌 첫 대회부터 시작이 좋아 올해 잘 풀리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내가 봐도 좋은 플레이”전날 3라운드에서...
'김상식 매직'에 베트남 열광…"베트남, 동남아축구 우승" 2025-01-06 04:15:53
"베트남 꼬렌(파이팅)", "베트남이 챔피언이다"라고 외쳤다. 새해부터 교통 범칙금이 최대 수십 배로 불어나면서 운전자들에게 '저승사자'로 떠오른 교통경찰도 이날만은 미소 띤 표정으로 교통 단속보다는 열광하는 국민들과 함께 승리의 기쁨을 한껏 즐기는 모습도 보였다. 외국인 관광객으로 보이는 사람들도...
"네트워크 확대로 협상력 높이고…통상 룰 메이킹 참여해야" 2025-01-05 18:03:16
한국은 ‘세계 1위 FTA 체결국인 우리나라는 통상 챔피언’이라고 자만하는 것 같습니다. ▷정 대표=세계무역기구(WTO) 체제 붕괴와 글로벌 시장 분단에 대비하려면 다층·다면적인 FTA 네트워크가 필수적입니다. 국제통상법상 WTO가 붕괴한다고 해서 FTA 기능이 정지되지는 않습니다. 촘촘하게 깔아놓은 FTA 네트워크는 ...
김혜성, MLB 다저스와 3+2년 최대 324억에 계약 합의 2025-01-04 07:38:59
야구 국가대표 내야수 김혜성(25) 선수가 메이저리그(MLB) 디펜딩챔피언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에 입단한다. 김혜성 소속사인 CAA 관계자는 4일 김혜성이 다저스와 3+2년 최대 2200만달러(약 324억원)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보장 계약은 3년 총액 1250만달러(약 184억원)이며, 이후 2년 계약을 연장하는 옵션이 포함됐다. CAA...
'왕좌' 위협받는 테슬라…BYD "우리가 세계 챔피언" 2025-01-03 10:36:34
순수 전기차는 176만대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157만4천800대) 대비 약 12% 성장한 수치다. 다만 성장률은 전년(72.8%)보다 크게 둔화했다. 이로써 BYD와 테슬라 간 격차가 2023년 24만대에서 지난해 3만대까지로 좁혀졌다. BYD는 1일 소셜미디어에 "중국의 챔피언, 세계의 챔피언"이라고 자축했다. (사진=연합뉴스)
테슬라 왕좌 내주나…BYD "우리가 세계 챔피언" 자축 2025-01-03 10:27:35
1일 소셜미디어에 "중국의 챔피언, 세계의 챔피언"이라고 자축했다. 이 같은 판매량은 미국 포드자동차와 일본 혼다자동차에 근접한 수준이다. BYD 뿐만 아니라 리오토(50만대), 스텔란티스가 지원하는 립모터(29만대), 샤오미(13만5천대)도 지난해 중국 내수 시장에서 모두 전기차 판매 목표를 초과 달성했다. 중국은 올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