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역사의 흔적' 살리는 예술품 치료…티치아노 그림에만 7년 넘게 투자 2013-11-25 21:29:19
[ 최명수 기자 ] 프랑스 파리 루브르박물관 남서쪽 건물에 자리한 국립박물관문화재복원연구센터(c2rmf). 지난 15일 이곳 2층에 들어서자 가로 3.85m 세로 1.96m짜리 유화 ‘파르도의 비너스’ 복원작업이 한창이었다. 16세기 이탈리아 화가 베첼리오 티치아노가 그린 이 작품은 루브르박물관에 전시돼 있다가 니스칠한...
[경제와 문화의 특별한 만남] "한국영화도 이젠 글로벌시대…1억명 보는 작품 만들어야죠" 2013-11-03 21:15:11
e&m 영화사업 부문장사회=최명수 문화부장 [ 유재혁 기자 ] 한국 영화산업이 전성기를 맞았다. 올해 한국영화 관객 수는 1억명을 이미 넘어섰고, 외화까지 합친 관객 수는 2억명을 넘어설 전망이다. 한국 영화 100년 사상 최다 관객이다. 김동호 대통령 직속 문화융성위원장 겸 부산국제영화제 명예집행위원장과 정태성 cj...
김희근 벽산엔지니어링 회장 - 첼리스트 정명화 "한국 클래식 성장은 어머니의 힘…이젠 기업이 적극 도와야" 2013-09-29 18:51:07
찾을 것" 사회=최명수 문화부장 클래식 음악 연주자들에게 악기는 자신을 표현하는 분신과도 같은 존재다. 유명한 연주자들은 자신의 명성 못지 않은 악기를 갖고 있는 경우가 많다. ‘바이올린의 여제(女帝)’로 손꼽히는 안네 소피 무터는 2대의 스트라디바리 바이올린을 사용한다. 1700년대 초반 만들어진 것으로 가격이...
[경제와 문화의 특별한 만남] "국악 알면서 경영도 '득음'…판소리는 단순한 음악 아닌 역사" 2013-09-22 16:53:06
담겨있어…국악 전용극장 만들어야사회=최명수 문화부장 중국은 경극, 일본은 노 가부키를 비즈니스 영역으로 끌어들여 하루에 수천명의 관객을 모으고 있다. 반면 한국의 국악에 대해선 위기를 이야기하는 사람이 많다. 외국인은 물론이고 국내 관객마저 전통음악을 외면하고 있기 때문이다.국정 기조인 문화융성을 위해 ...
[경제와 문화의 특별한 만남] "K팝의 힘은 트렌드 창조…콘텐츠 지원 8천억원으로 늘렸죠" 2013-09-08 17:01:26
파생 비즈니스 늘려야" 사회=최명수 문화부장 양민석 yg엔터테인먼트 대표는 지난해 소속가수 싸이의 ‘강남스타일’이 세계 시장을 강타하면서 글로벌 음악시장의 리더로 떠올랐다. 유튜브 클릭 건수에서 ‘강남스타일’이 17억건으로 역대 1위, ‘젠틀맨’이 5억건으로 9위에 랭크되는 등 ‘톱10’ 중 2개를 올려놨다....
[인사] 국세청 ; 우리금융지주 ; 우리은행 등 2013-09-04 17:16:41
조사과 최명수◆국세공무원교육원▷지원과 김형일▷운영과 송명섭<전산사무관>◆본청▷전산정보관리관실 전산운영담당관실 표진숙▷차세대 국세행정시스템추진단 시스템개발과 정기숙<공업사무관>◆본청▷주류면허지원센터 기술지원과 박병태▷세원관리지원과 이봉규 ◈우리금융지주◎승진▷상무 이남희 ◈우...
김우룡 한국외대 명예교수 "정치 진영논리 따라 방송계 춤춰…'리셋' 필요한 시점" 2013-09-03 16:49:30
사람=최명수 문화부장 “한국 방송계는 역대 정권의 잘못된 정책 등으로 인해 ‘난개발’ 상태에 빠져 있습니다. 모든 문제점과 과제를 꺼내 놓고 원점부터 재검토해야 합니다.” 김우룡 한국외국어대 명예교수는 3일 방송의날 50주년을 맞아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한국 방송계 현실에 대해 “한마디로 위기”라며...
[경제와 문화의 특별한 만남] 조정래-오영호 사장 "중국은 안 된다고? 서구는 한국을 영원한 미개 국가라 했다" 2013-09-01 17:34:47
최명수 문화부장 《태백산맥》《아리랑》《한강》 등 대하소설을 통해 뜨거운 작가 정신을 발휘해온 소설가 조정래 씨. 그가 지난 7월 발표한 《정글만리》(해냄)가 베스트셀러 종합 1위에 오르며 승승장구하고 있다. 그동안 발표한 대하소설이 과거사를 건드렸다면 이번엔 독자들을 미래로 이끈다. 그가 말하는 한국의...
[경제와 문화의 특별한 만남] 정갑영-이명옥 "문화융성요? 시장 키우고 스타작가 만드는 게 급선무죠" 2013-08-25 17:06:20
연세대 총장-이명옥 한국사립미술관협회장사회=최명수 문화부장 정갑영 총장 "미술은 경제현상 반영…문화공간 확충하면 사회갈등 해소 효과도" 이명옥 회장 "부동산 시장 침체 될 땐 각종 세제혜택 내놓으면서 그림시장 불황엔 되레 양도세" 미술과 경제가 떼려야 뗄 수 없는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음은 인류의 역사...
[경제와 문화의 특별한 만남] 유진룡-박병원 "창조경제요? 문화·예술 토양 비옥해야 쑥쑥 커나가죠" 2013-08-18 18:06:53
대담은 서울 와룡동 문체부 청사에서 최명수 한국경제신문 문화부장의 사회로 진행됐다. ▷사회=언제 처음 만나셨습니까. 박 회장=제가 2001년 재정경제부 경제정책국장을 할 때 제조업으로는 더 이상 경제 발전과 일자리 창출이 힘들다, 산업에 문화예술을 접목시켜 고부가가치 상품을 만들어내야 한다고 주장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