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AI부터 사이버보안까지…중동시장 공략하는 한국 IT 기업들 2024-10-27 07:01:02
통신산업진흥원(NIPA)이 최근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 국내 IT 기업의 중동 시장 진출을 지원하려고 개소한 'IT 지원센터'에 AI 업체 뤼튼테크놀로지스, 딥노이드[315640], 코어무브먼트 등이 입주했다. 사우디, UAE 등 중동 부국들이 경제에서 석유 의존도를 낮추려고 산업 다각화를 모색하면서 디지털 혁신...
[일지] 또 치고받은 '앙숙' 이스라엘-이란…주요 무력공방 일지 2024-10-26 11:29:57
= 레바논 무장 정파 헤즈볼라의 주요 통신수단인 무선호출기(삐삐) 수천 대 폭발. 요아브 갈란트 이스라엘 국방 "중력 중심 북쪽으로 이동. 새로운 전쟁 단계의 시작점에 있다" ▲ 9월22일 = 이스라엘-헤즈볼라 가장 전쟁 발발 후 최대규모 교전 ▲ 9월24일 = 이스라엘, 레바논 남부와 동부 헤즈볼라 시설 1천600여곳 융단...
달러패권 흔드는 푸틴 "브릭스, 암호화폐 쓰자" 2024-10-22 17:40:04
‘탈달러화’를 추진해 미국 및 유럽이 주도하는 무역 질서와 경제 제재에 맞대응한다는 전략이다. 22일부터 오는 24일까지 러시아 타타르스탄공화국 카잔에서 열리는 브릭스 회의에 36개국과 6개 국제기구가 참여하며, 참가국 중 22개국은 국가원수가 참석했다. 푸틴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나렌드라 모디 인도...
'연 7% 이상' 초고속 성장…젊은 인도, 아직 배고프다 2024-10-21 18:08:37
짓고 있다. 미·중 갈등에 따른 글로벌 기업의 탈(脫)중국 현상도 인도에 호재다. 21세기가 ‘인도의 세기’가 될 수 있다는 기대가 인도 안팎에서 흘러나오는 이유다. 블룸버그통신은 “중국과 미국, 유럽 등 주요 국가 간 무역 긴장이 고조되면서 인도가 기회를 잡았다”고 평가했다. 한경제 기자 hankyung@hankyung.com
美 재정적자 1조 8천억 달러...팬데믹 제외 사상 최대 규모-[굿모닝 글로벌 이슈] 2024-10-21 08:10:48
미국의 주택시장이 주목을 받았습니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미국의 신규 주택착공 건수가 전월 대비 0.5% 감소하며 감소세로 전환됐습니다. 특히, 다세대 주택착공의 하락이 두드러졌으며, 이는 넉 달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반면, 단독 주택착공은 2.7% 상승하며 5개월 만에 가장 높은 기록을 세웠습니다. ...
"터널서 수거한 소변서 신와르 DNA 확인"…이스라엘의 추격전 2024-10-19 21:43:19
좇는 데는 어려움을 겪었다. 신와르는 통신기기 사용까지 끊는 등 이스라엘과 미국의 감시망을 피해왔다. 그는 대부분의 시간을 지하에서 보내고 하마스 대원들과 인편으로만 연락을 유지하는 것으로 추정됐으나 구체적인 정보는 거의 없었다. 그러나 8월 들어 신와르 또는 다른 하마스 최고위 간부들이 라파의 탈 알술탄...
‘인류 기본소득 재원’ 꿈꿨던 월드코인, 종합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선회[송영찬의 실밸포커스] 2024-10-18 14:01:57
월드는 이를 위해 신원 인증 수단을 근거리무선통신(NFC) 지원 여권까지 확대했다. 그동안 월드 앱에 신원인증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오브’라는 기기를 통해 홍채를 인식해야만 했다. 사람마다 무늬·형태·색 등이 달라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1조분의 1 수준인 홍채야말로 AI와 구분되는 인간임을 증명할 수 있다는 ...
하마스 수장 신와르 사망…중동분쟁 다시 중대 갈림길로 2024-10-18 10:47:25
사망에 심기가 더 불편해졌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이란 주유엔 대표부는 "저항정신이 거세질 것"이라고 항전 의지를 밝혔다. 이스라엘은 하마스, 헤즈볼라에 이어 대규모 확전을 부를 수 있는 이란을 향한 군사행동까지 준비하고 있다. 지난 1일 이란이 이스라엘에 대규모 공습을 가한 데 대한 보복으로 군사시설...
"인프라 투자 지루하다고?…메가트렌드 타고 변신 시도" [ASK 2024] 2024-10-17 16:33:36
글로벌 사모펀드 운용사 전문가들이 탈탄소화·디지털화를 비롯한 시대적 흐름(메가트렌드)을 맞아 인프라 투자 시장이 보다 역동적으로 변화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톰 마허 파트리치아 이사는 17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ASK 2024 글로벌 대체투자 콘퍼런스'에서 인프라 분야 GP(운용사) 토론...
웹3 미래로 떠오른 디핀…레이어1 '피크'에 다 모이네 [황두현의 웹3+] 2024-10-17 16:32:01
살아가고 있는 실생활에 녹아들고 활용되는 걸까. 탈중앙화 물리 인프라 네트워크, '디핀'…그래서 그게 뭔데?디핀은 웹3의 기반이 되는 블록체인 기술을 물리 인프라 및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인프라 및 시스템은 클라우드 서비스, 통신망, 교통 시스템, 무선 인터넷, 와이파이, 태양열 구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