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이지 사이언스] 변방에서 중심으로? 라그랑주 L4 첫 탐사하려는 한국 2024-06-08 08:00:03
모양 수직 주기 궤도에 안착해 태양권을 관측하는 임무를 제안했다. 태양 탐사를 위해 광구 자기장 관측기, H-알파 영상분광기, 극자외선 영상관측기, 백색광 코로나그래프, 태양권 영상관측기, X선 분광 관측기 등을 장착하며, 이외에도 자기장 및 전기장 측정기, 태양풍 플라스마 검출기, 고에너지 입자 검출기, 방사선...
[이지 사이언스] 화성 향한 발걸음…"난도 높지만, 준비해야" 2024-06-01 08:00:02
화성의 대기 조성과 지형을 관측하는 궤도선과 화성 대기를 통과·하강·착륙해 화성 대기·지질과 생명 흔적을 탐사하는 착륙선을 동시에 기획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2030년까지 국제 화성 탐사 프로그램에 참여해 연구 기반을 확대하고 심우주 탑재체 제작 기술 확보를 추진하며, 2035년까지 지구와 화성 간...
[연합시론] 실패 두려워하지 않는 도전이 '우주강국' 앞당긴다 2024-05-31 15:40:26
새로 확보하고, 태양 관측 탐사선을 추진하며, 나로우주센터에 민간 로켓 발사장과 제2의 우주센터를 세우는 것 등이 주요 내용이다.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을 구축하고, 소행성 탐사를 비롯해 과거 포기했던 우주 사업들을 재검토한다는 계획도 제시됐다. 한국이 주요 20개국(G20) 가운데 우주항공산업...
재사용 우주 발사체 개발·라그랑주점 태양 탐사선 추진 2024-05-30 17:12:31
말했다. 탐사 분야에서는 라그랑주점에 태양 관측 탐사선을 보내는 것을 새 목표로 담은 우주탐사 로드맵을 수립해 발표하기로 했다. 라그랑주점은 태양과 지구 중력이 균형을 이뤄 중력이 0에 가까워지는 곳으로 연료를 아낄 수 있어 우주탐사에 적합한 장소로 꼽힌다. 총 다섯군데로 이중 L4는 태양과 지구와 정삼각형을...
'한국판 NASA' 우주항공청 출범…뉴스페이스 시대 개막 2024-05-27 14:47:28
클러스터 3각체제 구축, 국제공동 블랙홀 관측 프로젝트 '사건의 지평선 망원경(EHT)' 참여, NASA와의 태양코로나그래프 발사 등도 예정돼 있다. 또한 윤 청장이 핵심 임무로 내세운 민간 우주기업 발굴·육성 등도 지속적으로 추진될 예정이다. 당장 누리호·차세대발사체 개발을 함께 할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
G7, 中압박 연합전선 구축…中 '밀어내기' 맞불 2024-05-26 19:03:33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중국은 미국과 서방국가들의 관세 인상 정책이 본격화하기 전에 수출을 서두르면서 컨테이너 부족 현상이 나타나는 등 대중 무역을 둘러싼 줄다리기는 계속될 전망이다. G7, 中 과잉 생산 ‘공동성명’G7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들은 23일부터 25일까지 사흘간 이탈리아 스트레사에서 열린 회의에서...
G7, 중국 과잉생산 대응 공동 성명…中 "팔 수 있을 때 팔자" 2024-05-26 16:22:56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중국은 미국 및 서방국가들의 관세 인상 정책이 본격화되기 전에 수출을 서두르면서 컨테이너 부족 현상에 봉착하는 등 대중 무역을 둘러싼 줄다리기는 계속될 전망이다. G7, 美의 중국 과잉 생산 우려에 공감 G7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들은 23일부터 25일까지 3일간 이탈리아 스트레사에서 열린...
지구와 온도 비슷한 외계 행성 찾았다 2024-05-24 18:11:55
태양의 27% 수준으로 크기가 아담하다. 표면 온도도 태양의 60%에 해당하는 3300도 수준이다. 중심별인 글리제 12와 행성 글리제 12b의 거리가 지구~태양 거리의 약 7%인 1050만㎞ 정도에 불과한데도 행성의 표면 온도가 42도에 그친 이유다. 연구진의 다음 과제는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 관측을 통해 글리제 12b의...
[아르떼 칼럼] 즉흥성이 만들어낸 우연, 재즈 2024-05-24 17:59:43
은하수는 항성의 무리다. 별이면 다 같은 별 같지만, 태양처럼 스스로 빛을 내는 것만 별(항성·Star)이라고 한다. 지구나 화성처럼 빛을 내지 못하는 행성은 별이 아니다. 태양처럼 빛을 내는 항성만 해도 4000억 개가 있다는 우리 은하, 이런 은하가 수천억 개나 된다는 우주의 끝은 어디일까. 우리가 듣는 음악도 밤하늘...
'외계 금성' 발견…"생명체 존재 가능성" 2024-05-24 06:10:22
된 금성처럼 대기가 없거나 태양계에서는 볼 수 없는 다른 대기가 있을 수도 있다는 설명이다. 연구팀은 향후 JWST 관측 등을 통해 글리제 12b의 대기 상태를 확인하면 행성 표면이 액체 상태 물과 생명체 존재에 적합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지 밝혀내는 것은 물론 지구와 금성이 현재와 같이 다르게 진화한 이유에 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