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서울대 방문한 사우디 과학 사령탑…"배터리, 같이 연구하자" 2022-10-20 17:49:26
설명했다. 사우디는 2000년대 초반부터 에너지 전환과 관련한 분야에 천문학적인 금액을 투자하고 있다. 사우디의 KAUST(킹압둘라과학기술대)는 매사추세츠공과대(MIT), 스탠퍼드대, 버클리대 등 미국을 포함한 기술 선진국의 12개 대학 및 기관에 지난 5년에 걸쳐 연간 100억원씩 지원했다. MIT는 고효율·탄소저감 기술,...
덴마크, 재생에너지로 전기 80% 생산…'중구난방 개발' 한국은 4% 불과 2022-10-19 17:26:55
부담해주기로 했다. 활발한 산학협력도 재생에너지산업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마티 이그나치오 덴마크공과대(DTU) 풍력에너지시스템학과장은 “DTU가 업계와 함께 개발한 ‘아틀라스’는 최적의 풍력발전 입지를 찾는 데 도움을 주도록 설계된 소프트웨어로 현재 덴마크를 넘어 세계적으로 활용되고 있다”고 말했다. DT...
서울대 공대 교수진 "교육·연구·창업이 하나로 연결된 '뉴 얼라이언스' 필요" 2022-10-12 09:15:52
퓨처테크 현장을 가다'를 주제로 한국경제신문과 공동기획에 나선 서울대 공과대 교수진은 각 분야에서 한국이 기술 패권을 갖고 세계 각국에 맞서기 위해 "인력 확보가 시급한 상황"이라고 입을 모았다. '약육강식'으로 요약되는 글로벌 기술 전쟁 속에서 한국이 국가적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는 조언이...
기술 주권의 시대…테크가 나라 명운 가른다 2022-10-11 18:33:20
‘기술 주권’ 시대가 도래했다”고 입을 모은다. 한국경제미디어그룹은 서울대 공과대학과 함께 지난 8월부터 두 달여에 걸쳐 반도체, 2차전지, 바이오, 증강현실(AR)·가상현실(VR), 양자컴퓨터, 디스플레이, 자율주행, 신재생에너지, 콘텐츠 등 미래를 좌우할 9개 분야의 글로벌 ‘전략 기술’ 현장을 누볐다. 미국 캐...
10월 과기인에 한정우 포항공대 교수…"계산화학 선도적 도입" 2022-10-05 15:17:55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10월 수상자로 한정우 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공학과 교수를 선정했다고 5일 밝혔다. 한 교수는 우리나라에 계산화학을 선도적으로 도입하며 촉매와 에너지 재료 설계 연구를 주도하는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특히 촉매의 성능을 계속 유지할 수 있는 '환경...
"유학? 여행? NO…창업하러 한국 왔죠" 2022-10-02 17:28:54
존슨 펜 대표가 2020년 한국에서 설립한 에코링크스는 친환경 에너지 스타트업이다. 태양광 발전 솔루션을 통해 아프리카에 안정적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게 회사의 목표다. 전자레인지나 인덕션이 없는 아프리카 지역에 고효율 화덕 ‘쿡스토브’를 보급하는 사업도 하고 있다. 카메룬은 툭하면 정전이 일어난다. 이 문제를...
"IT강국, K팝에 꽂혔어요"…외국 청년들 한국서 창업하는 이유 [긱스] 2022-09-30 10:42:37
사업에 몰두할 계획이다. 그는 "나중에 한국에서 사업을 하려는 외국인에게 도움을 주고 싶다"고 했다. 아프리카 전력난 해결하고 싶은 카메룬 청년카메룬 출신의 티챠 존슨 펜 대표(사진)가 창업한 에코링크스는 친환경 에너지 플랫폼 스타트업이다. 태양광 발전 솔루션을 통해 전력 인프라가 잘 갖춰지지 않은 아프리카...
디지털 신기술 혁신 공유대학ㆍ신한금융그룹, 빅데이터 해커톤 대회 `제1회 신·빅·해` 개막 2022-09-25 09:00:00
중앙대, 한국산업기술대, 한양대, 한양대(ERICA), 홍익대, 대전대, 배재대, 선문대, 우송대, 충북대, 전남대, 전북대, 전주대, 조선대, 강원대, 경북대, 계명대, 대구대, 포항공과대, 한동대, 경상국립대, 동의대, 부경대, 부산대, 경기과학기술대, 대림대, 계원예술대, 조선이공대, 원광보건대, 영진전문대, 경남정보대 등...
애쓰모글루 "한국의 당면한 과제는 정치적 분열…신뢰 구축해야"(종합) 2022-09-08 17:17:40
"한국의 당면한 과제는 정치적 분열…신뢰 구축해야"(종합) KSP 콘퍼런스…"한국경제, 민주화 이후 빠르게 성장…포용적 제도 중요" 정부 "민간 사업제안제 신설해 민간참여 확대…협력국 온실가스 감축 지원" (서울=연합뉴스) 박원희 기자 = 세계적인 석학인 대런 애쓰모글루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교수가 현재...
정부 "협력국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 지원" 2022-09-08 12:00:00
밝혔다. 경제발전경험 공유사업(KSP)은 한국의 경제발전 경험을 바탕으로 국제사회의 경제 발전을 지원하고 경제협력 기회를 모색하는 지식 공유 사업이다. 기획재정부는 이 사업을 통해 2004년부터 2021년까지 총 87개국을 대상으로 정책 자문을 제공했다. 방 차관은 "탄소중립 사회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상향된 온실가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