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빅뱅 3억년 뒤 135억 광년 밖서 가장 먼 은하 후보 관측 2022-04-08 16:32:18
더 늘려…웹 망원경 통해 확인 기대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지구에서 약 135억 광년 떨어진 곳에서 가장 멀리 있는 은하 후보가 관측됐다. 'HD1'으로 명명된 이 은하 후보는 현재 본격적인 관측을 준비 중인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을 통해 확인되면 지금까지 관측된 은하 중 가장 멀리서...
태양계 '거인' 목성 9배 달하는 초대형 가스행성 '탄생' 관측 2022-04-05 11:52:31
테인 커리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허블우주망원경과 하와이 마우나 케아 정상의 스바루 망원경을 이용해 젊은 별 주변의 먼지와 가스 원반에서 형성되는 마차부자리 AB b를 관측했다. 행성의 항적에서는 원반 불안정 가설에서 예측해온 현상인 원반 물질의 소용돌이가 관측됐다. 커리 박사는 이번 관측 결과와 관련,...
웹망원경 등장에 '분발한' 허블…129억 광년 밖 가장 먼 별 포착 2022-03-31 11:01:27
= 허블 우주망원경이 지구에서 약 129억 광년 떨어진 고대 별의 별빛을 포착했다. 이는 지금까지 포착된 개별 항성의 별빛 중 가장 멀리서 온 것으로 1세대 별의 형성 과정을 밝힐 수 있는 중요한 관측으로 평가됐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 고더드 우주비행센터에 따르면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STScI)의 댄 코우...
영롱한 별빛 뒤로 포착된 고대 은하…웹 망원경 '기대 이상' 2022-03-17 11:18:04
배경으로 잡힌 수많은 다른 별과 은하로, 웹 망원경이 앞으로 내놓을 결과에 대해 기대를 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미국 항공우주국(NASA) 관계자들은 밝혔다. UPI 통신 등에 따르면 고더드 우주비행센터의 웹 망원경 책임자인 리 페인버그는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웹 망원경의 광학적 성능이 굉장히 경이롭다는 점을 밝히게...
루비와 사파이어 보석 비가 내리는 외계행성 WASP-121 b 2022-02-22 11:44:12
밤 면의 대기를 허블 우주망원경을 이용해 두 차례의 공전 주기에 걸쳐 관측했다. 이를 통해 망원경의 분광카메라로 얻은 대기의 고도별 온도와 구성 성분 등에 관한 자료를 토대로 처음으로 행성 전체의 대기 흐름을 3D로 구성하고 물의 순환 과정을 분석했다. 그 결과, 지구에서는 물이 수증기로 기체 상태가 됐다가...
소행성 탐사부터 중력파 관측 위성까지 중국의 우주굴기 2022-02-21 13:41:01
◇ 새로운 우주망원경 '쉰톈' 발사 허블 우주망원경처럼 자외선과 가시광선, 적외선 영역에서 우주를 관측할 쉰톈(巡天)을 2024년께 발사할 예정이다. 쉰톈은 허블망원경보다 약간 작고 해상도도 떨어지지만 한 번에 관측할 수 있는 영역이 허블보다 300배 더 넓다고 한다. 배치 이후 첫 10년간은 광역탐사를 통해...
하늘의 별 따기만큼 어려운 웹 망원경 관측 시간 따내기 2022-02-15 17:02:23
망원경 관측 시간 배정을 비롯한 모든 운영은 허블 우주망원경을 맡아온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STScI)가 하고있다. NASA를 대신해 '천문학 연구 대학연맹'(AURA)이 운영하는 STScI는 허블 우주망원경 관측 시간 배정에 편견이 개입되는 것을 배제하기 위해 이름을 가리고 제안서 내용을 검토한 뒤 자격...
"웹 우주망원경, 관측이 이론을 이끄는 천문학 시대 만들 것" 2022-02-15 06:05:01
일하는 STScl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거대 우주망원경 프로젝트 운영을 실질적으로 맡는 우주망원경 특화연구소다. 지난 30여년간 허블 우주망원경 운영을 책임졌고 웹 우주망원경 발사 후 모든 운영도 STScl이 관리하고 있다. 허블우주망원경팀에서 일하다 2019년 웹 우주망원경 프로젝트에 합류한 손 수석연구원은 ...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첫 별빛 포착…6월부터 본격 관측 2022-02-12 11:22:53
이 궤도는 태양과 지구의 중력이 균형을 이루는 `제2 라그랑주 점`(L2)으로, 7t에 달하는 망원경이 안정적으로 태양 궤도를 돌며 연료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곳이다. 약 100억 달러(약 12조원)가 투입된 웹 망원경은 허블 우주망원경의 100배에 달하는 성능을 바탕으로 적외선으로 우주 가스와 먼지구름을 뚫고 빅뱅...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날개 펴고 눈 떴다"…첫 별빛 포착 2022-02-12 10:16:11
망원경은 허블 우주망원경의 100배에 달하는 성능을 바탕으로 적외선으로 우주 가스와 먼지구름을 뚫고 빅뱅 이후 초기 우주의 1세대 은하를 관측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은하의 형성과 진화를 이해하고 은하의 분포를 파악함으로써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의 실체에도 한 걸음 더 다가설 수 있을 것이란 기대를 모은다. 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