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인류세' 대표 표본지는 어디?…후보지 9곳 놓고 학계 투표중 2023-01-02 16:35:18
나뉘며 현재는 '현생누대-신생대-4기-홀로세-메갈라야절'이다. 홀로세는 '마지막 빙하기 이후 현재까지' 1만1천700년간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과학자들 사이에서는 인류가 번성하면서 전 지구적으로 큰 변화를 일으킴으로써 홀로세가 끝나고 새 지질시대가 시작됐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인류가...
종영까지 단 2회 ‘재벌집 막내아들’ 뜨거웠던 승계 전쟁의 최종장, 송중기가 써내려갈 역전극의 결말은? 2022-12-23 09:42:07
불러낸 전생과 현생의 연결 고리 역시 지켜봐야 할 포인트다. 순양마이크로는 전생에서 윤현우를 죽게 한 직접적인 원인이나 다름없었다. 그가 이 페이퍼 컴퍼니의 비자금을 찾으러 떠난 타지에서 순양가에게 버림받았기 때문. 그러나 순양마이크로가 사실은 진도준의 몫으로 남겨둔, 진양철의 유산이었다는 사실은 예상치...
핵무기 출현·플라스틱 번성…새 지질시대 '인류세' 공식화될까 2022-12-18 11:20:47
단위로 구분된다. 현재는 '현생누대 신생대 4기 홀로세 메갈라야절'이다. 케임브리지대 지질학자 필립 L. 기버드는 지구의 지질기록에 수많은 공백이 있다고 강조하며 "많은 조각을 잃어버린 직소 퍼즐과 같다"고 지적했다. 또한 대부분의 변화는 점진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이전 시대에서 다음 시대로 넘어가는...
체중 25㎏ 감량 끝에 찾은 초기 인류 호모 날레디 불 사용 증거 2022-12-07 10:29:59
크기는 현생인류의 3분의 1밖에 안 되지만 어두운 동굴 안을 밝히고 고기를 굽는 데 불을 활용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UPI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남아프리카공화국 비트바테르스란트대학의 고인류학자 리 버거 박사는 카네기과학연구소가 최근 워싱턴 D.C.에서 주최한 한 강연에서 동굴에서 새로 발견한 숯 등을 증거로 한...
‘치얼업’ 한지현, 인간 도화지 등극…30색 표정 연기 모음 화제 ‘매력 철철’ 2022-11-09 09:10:08
현생 사는 중’, ‘뜨헉!’, ‘인간토끼’ 등 재치 있고 리얼한 표정은 적재적소에 어울리는 이모티콘을 연상시켜 보는 재미를 더한다. 샛별당엔터테인먼트는 “이처럼 ‘치얼업’ 스틸 컷만 봐도 다채로운 매력이 돋보이는 한지현은 다양한 색깔이 넘나드는 풍부한 연기력으로 대체 불가 배우임을 입증하고 있다”고...
네안데르탈인 멸종 이유가…현생인류와 경쟁 아닌 '사랑' 때문? 2022-11-01 18:02:45
발표했다. 현생인류 조상과 네안데르탈인의 동침으로 비아프리카계 현대인의 유전자 중 2%는 네안데르탈인에게서 온 것으로 확인됐지만, 네안데르탈인 게놈(유전체)에서는 현생인류인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의 DNA가 섞인 증거는 없다는 점이 근거가 됐다. 연구팀은 지금까지 게놈 분석이 이뤄진 네안데르탈인이...
현생인류와의 경쟁 아닌 사랑이 네안데르탈인 멸종 초래 2022-11-01 16:52:22
발표했다. 현생인류 조상과 네안데르탈인의 동침으로 비아프리카계 현대인의 유전자 중 2%는 네안데르탈인에게서 온 것으로 확인됐지만 네안데르탈인 게놈(유전체)에서는 현생인류인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의 DNA가 섞인 증거는 없다는 점이 근거가 됐다. 연구팀은 지금까지 게놈 분석이 이뤄진 네안데르탈인이...
유전자 분석으로 드러난 5만년 전 네안데르탈인 부녀 관계 2022-10-20 11:37:05
연구소의 집단 유전학자 벤야민 페터는 "네안데르탈인은 혹독했을 가능성이 높은 환경에서 소규모 가족을 이뤄 함께 생활하다 죽은 사람들이었다"면서 "이번 연구를 통해 네안데르탈인들이 서로 더 밀접하게 연결돼 있었고 어떤 면에서는 현생인류에 가까웠다고 생각하게 됐다"고 밝혔다. eomns@yna.co.kr (끝) <저작권자(c)...
네안데르탈인, 채소보다 고기 좋아했다…어금니서 '육식' 확인 2022-10-18 19:52:13
적었던 것으로 분석했다. 지금까지 현생인류의 조상과 이종교배로 일부 유전자를 남긴 네안데르탈인의 식성에 대해서는 분석 대상의 한계로 인해 명확한 규명이 어려웠다. 앞서 일부 연구에서는 이베리아반도에서 발굴된 치아의 치석을 분석해 주로 채식을 한 것으로 밝혔지만, 이베리아 이외 지역에서 진행된 다른 연구...
네안데르탈인 어금니서 드러난 육식의 흔적 2022-10-18 16:17:29
= 현생인류와 공존하다 화석만 남기고 사라진 네안데르탈인이 사실상 고기 섭취에 치중한 육식 인류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CNRS)에 따르면 폴사바티에 툴루즈 3대학과 CNRS 등의 공동 연구소인 '툴루즈 지구과학 환경'(GET) 연구원 클레르비아 자우엥 박사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