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사설] 나로호가 연 우주시대 미래부가 이어가야 2013-01-30 20:27:16
겪었다. 러시아의 1단 액체로켓과 국산 2단 고체로켓 모터로 이뤄져 ‘반쪽짜리’라는 비아냥도 들었다. 특히 독자개발을 포기하고 러시아와 무리하게 협력을 추진한 것에 대해 비판도 제기됐다. 발사가 거듭 연기되면서 러시아 측과 불공정 계약 의혹이 불거지기도 했다. 북한이 자체 기술로 개발한 ‘은하 3호’로 광명성...
2013년 첫 도입 통합교과·자유학기제, 무엇이 중요할까? 2013-01-30 18:49:34
큰 변화인 통합교과와 자유학기제를 통해 살펴봤을 때, 학생들이 몇 개의 문제를 맞췄는가 보다 체험활동, 독서활동, 수행평가 등 본인의 생각이나 다양한 활동을 통해 느낌 점을 정확하고, 논리 정연하게 표현하는 것이 중요해지게 된 것. 통합교과가 적용되는 초1~2학년과 자유학기제가 적용되는 중1을 대상으로 ‘언어...
이 대통령 "나로호 성공, 본격 우주과학시대 첫 출발" 2013-01-30 18:18:25
만들자"고 말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참모진들과 발사 중계 장면을 함께 지켜봤으며 성공 보도가 나온 후 이같은 축하의 뜻을 전했다고 박정하 청와대 대변인이 밝혔습니다. 이 대통령은 이어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과 통화를 하고 "1, 2차 실패를 통해 우리가 얻은 것이 많다, 그동안 마음고생 하고 부담을 많이...
태극기 흔들며 "대~한민국"…상황실 밖 '환호의 도가니' 2013-01-30 17:13:11
팽팽한 긴장감이 흘렀다.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과 김승조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 등은 상황실 모니터에서 잠시도 눈을 떼지 못했다. 나로호 발사를 지켜보기 위해 몰려든 100여명의 시민은 발사대를 응시하며 “이번에는 꼭 성공해야 하는데”라고 서로를 격려했다. 나로호 발사를 취재하기 위해 전국에서 온 200여...
[사설] '미래부에 미래가 없다'는 정부조직개편안 2013-01-30 17:03:21
적지 않다. 교육과학기술부, 지식경제부, 문화체육관광부, 행정안전부, 방송통신위원회의 일부 조직과 인력을 끌어다 만든 게 미래부다. 2명의 차관에 최대 1000명에 이르는 공룡부처가 될 전망이다. 산하단체도 매머드급이다. 4만4000명에 이르는 우정사업본부를 비롯 적게 잡아도 50개나 된다. 하지만 벌써부터 미래부엔...
조선대 83개 학과 → 60여개로 통폐합…4월까지 구조개혁안 마련 2013-01-30 16:59:34
구조개혁안을 설명하고 학과별 의견을 수렴해 2~3월에는 전 구성원을 대상으로 공청회를 세 차례 이상 개최할 계획이다. 이어 4월 중 교무위원회 의결을 통해 구조개혁안이 확정되면 5월에 교육과학기술부에 보고하게 된다. 한편 조선대는 2013학년도 등록금과 관련해 학교와 학생 대표로 이뤄진 등록금심의위원회에서 의견...
[나로호 발사] 위성작동 여부 12시간 후 확인 2013-01-30 16:23:25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오후 5시 브리핑을 통해 발사 성공 여부에 대해 잠정 확인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발사 약 2시간 뒤 노르웨이 트롬소 수신국이 나로과학위성의 전파 신호를 잡으면 일단 위성이 정상 작동하면서 제 궤도를 돌고 있을 가능성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전해졌다.이 단계까지 이상이 없다면 우리나라는...
`첫 우주발사체` 나로호, 발사 성공 2013-01-30 16:19:19
성공 여부는 오후 5시께 최종 판가름날 전망이다. 교육과학기술부와 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나로호는 이날 오후 4시 이륙한 뒤 발사 54초 후 음속을 돌파했고, 215초 뒤에는 예정대로 위성덮개(페어링) 분리에 성공했다. 페어링 분리는 발사장에서 245㎞ 거리, 고도 177㎞ 지점에서 이뤄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어 229...
나로호, 3차 발사 성공…단계별 임무 완수 2013-01-30 16:18:15
로켓이 분리되고 2단 로켓이 점화됐으며 목표 궤도 진입과 위성 분리 등의 과정을 순조롭게 마쳤다. 교육과학기술부와 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나로호는 이날 오후 4시 이륙한 뒤 발사 54초 후 음속을 돌파했고, 215초 뒤에는 예정대로 위성덮개(페어링) 분리에 성공했다. 페어링 분리는 발사장에서 245㎞ 거리, 고도...
[나로호 발사] '짧지만 굵은' 우리나라 우주개발 역사 2013-01-30 15:08:08
뒤인 1998년에는 2단형 중형과학로켓(ksr-ii) 발사에 성공했다. 2002년에는 등유와 액체산소를 연료와 산화제로 사용하는 국내 최초의 액체추진과학로켓(ksr-iii)이 발사돼 성공적으로 비행임무를 수행했다.그 뒤에 나온 것이 나로호다. 나로호를 발사한 이날 교육과학기술부는 미래 우주개발 계획을 발표했다. 정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