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여름 불청객 열대야 돌아왔다"…불면증 이겨내는 꿀팁 2021-07-22 10:08:29
페가시가 선보이고 있는 `꿀잠 수면안경`. 녹색 자연광을 내뿜는 장치를 이용해 수면 호르몬인 멜라토닌 분비를 활성화시킨다. 페가시측은 "제품에 사용된 LED는 광생물학적 안정테스트를 통과해 사람과 동물의 눈에 직접적으로 조사되어도 안전하다"고 설명했다. 침구 브랜드 `헬렌스타인`은 여름 밤 숙면을 돕는 구스...
다시 뜬 '지구의 눈'…허블 우주망원경, 한 달 만에 고장 수리 2021-07-17 02:14:47
넘김에 따라 앞으로 수년은 더 활동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NASA가 올해 말 발사할 예정인 차세대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은 원적외선 영역에만 특화돼 있어, 근자외선과 가시광, 근적외선 영역을 관측할 수 있는 허블 망원경의 운용이 길어질수록 상승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jamin74@yna.co.kr...
허블 우주망원경 한 달째 가동 중단…금주 초 '고비' 2021-07-12 13:24:03
망원경이 이번 고비를 넘기면 앞으로 수년은 더 활동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올해 말 발사될 차세대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이 원적외선 영역에만 특화돼 있어, 근자외선과 가시광, 근적외선 영역을 관측할 수 있는 허블 망원경의 운용이 길어질수록 상승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허블 우주망원경 관측 중단 보름 넘도록 컴퓨터 고장원인 못찾아 2021-06-28 16:02:21
가동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허블 우주망원경을 이을 차세대 우주망원경인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JWST)이 올해 말 발사될 예정이나 원적외선 영역에 특화돼 있어, 근자외선 및 가시광, 근적외선 영역을 관측할 수 있는 허블과 병행 운용될 때 상승 효과를 누릴 수 있는 것으로 지적돼 왔다....
김대건 신부 탄생 200주년…솔뫼~신리성지로 이어진 순례길을 걷다 2021-06-28 15:45:53
좋아하는 새로 유명하다. 멸종 위기 종인 가시연꽃과 해당화도 자생한다. 수려한 자연경관을 바라보며 즐길 수 있는 둘레길(9.8㎞)이 조성돼 있다. 대난지도와 소난지도를 연결하는 난지대교가 오는 9월 완공되면 배로 다니던 소난지도와 대난지도를 차량이나 도보로 왕래할 수 있다. 정영환 시 문화관광과장은 “코로나1...
한화디펜스, AI·4차 산업혁명 기술 접목 2021-06-24 15:02:43
개발한 RCWS는 가시광 및 열영상 표적 식별, 안정화 및 자동추적기술을 바탕으로 주간 및 야간 기동 중에도 움직이는 표적을 정밀하게 추적·타격할 수 있다. 레이더와 전투체계, 항법센서, 총성탐지센서 등과 연동돼 전장에서 정확한 상황인식 및 적 대응 능력을 갖추고 있다. 안재광 기자 ahnjk@hankyung.com
'서른한살' 허블망원경 1980년대 컴퓨터 고장으로 또 관측 중단 2021-06-17 10:55:37
기아나 우주센터 발사장으로 이송하는 일정이 빠듯한 점 등을 들어 다시 11월 중순 이후로 연기된 상태다. 과학자들은 JWST가 차세대 망원경으로 강력한 성능을 갖고 있지만 원적외선 영역에 특화돼 있어 근자외선 및 가시광, 근적외선 영역을 관측할 수 있는 허블과 병행해서 운용될 때 상승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수성보다 크다"...근접 촬영 성공한 가장 큰 달 2021-06-09 09:43:04
장으로 탐사선에 탑재된 가시광 이미저 `주노캠`과 궤도를 유지해주는 내비게이션용 카메라 `스텔라 레퍼런스 유닛`(SRU)으로 각각 촬영한 것으로 얼음으로 덮인 위성 표면의 지형적 특징과 충돌구, 명암지역 등을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다. 주노캠 이미지는 녹색 필터를 적용한 것으로 나중에 적색 및 청색 필터로 촬영한...
태양계 가장 큰 달 '가니메데' 20여년만에 찍은 근접 사진 공개 2021-06-09 09:02:24
두 장으로 탐사선에 탑재된 가시광 이미저 '주노캠'과 궤도를 유지해주는 내비게이션용 카메라 '스텔라 레퍼런스 유닛'(SRU)으로 각각 촬영한 것으로 얼음으로 덮인 위성 표면의 지형적 특징과 충돌구, 명암지역 등을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다. 주노캠 이미지는 녹색 필터를 적용한 것으로 나중에 적색 및...
나선팔 구조 최고(最古) 은하 124억광년 떨어진 곳서 찾아내 2021-05-22 12:12:38
엄청난 양의 먼지가 별빛을 가리고 있어 가시광으로는 관측이 어렵지만, 전파망원경은 탄소 이온에서 방출되는 전파를 통해 세부적인 관측이 가능하다. 연구팀은 ALMA 관측 자료를 통해 BRI 1335-0417의 나선팔 구조가 중앙에서 1만5천 광년에 걸쳐 펼쳐져 있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우리 은하 나선팔 구조의 3분의 1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