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의협 김택우 비대위원장 면허 정지 수순... 법원, 집행정지 기각 2024-04-11 17:58:22
등이 2월 15일 의대 증원 반대 궐기 대회에서 정부가 내린 '집단행동 교사 금지 명령'을 위반하는 발언을 했다고 봤다. 비대위 측은 강하게 반발해 행정소송을 제기하며 처분의 효력을 멈춰달라는 집행정지도 함께 냈다. 정부의 금지 명령이 처음부터 위법했던 만큼 정지 처분도 위법하다는 이유에서다. 법원은 김...
日, 50년 전부터 지역의료 붕괴 대비…韓은 첫발도 못떼 2024-04-08 18:24:37
공공의대, 지역의사제 등 의료계가 반발하는 지역의료 기반 확충 대책이 일본에서 효과적으로 시행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역의 의료 인프라가 개선됐고, 의대 졸업생의 학업능력도 뛰어나다는 평가다. 8일 국회도서관의 정책보고서 ‘일본의 의대 정원 증가와 지역 정원제’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지역의료...
"막말·편법대출 논란, 판세에 큰 영향 못 줘…尹 심판론 그만큼 강해" 2024-04-07 19:22:40
앉아서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 민주당도 의대 증원이 필요하다는 데 동의한다. 의사들도 지역 및 공공의료·필수의료 체계 확보를 위해 공동체 구성원들이 의대 증원이 필요하다는데, 그걸 못 하게 하는 건 말이 안 된다. 의대 증원 자체를 못 하게 하는 건 곤란하다. 의사들이 양보해야 한다.” ▷민주당과 조국혁신당의...
[미술관 속 해부학자] 사과에 대한 사과가 필요한 시점 2024-04-07 18:02:59
후보들의 막말과 의대 정원 확대가 유권자의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들 하지만, 사실 가장 큰 요소는 바로 사과값을 비롯한 물가라고 한다. 총선을 앞두고 혈세를 푸는 선거용 미봉책만으로는 천장을 뚫은 물가를 잡기 어려울 것이다. 오히려 여야 후보들이 당선을 위해 경쟁적으로 쏟아낸 파격 공약까지 더해지면서...
실손보험 적절히 통제해야 필수의료 살아난다[사설] 2024-04-07 17:55:48
진료를 받으려면 환자가 의사 소견을 받아 공공보험에 사전승인을 신청해야 한다. 과잉 진료를 막는 장치다. 반면 국내 실손보험은 이런 통제 장치가 거의 없다. 그동안 건강보험 주무부처인 복지부와 실손보험을 맡고 있는 금융위원회는 팔짱만 끼고 있었다. 그나마 두 부처가 움직이기 시작한 건 최근 의대 증원과 함께 ...
"공공의료기관 확대·강화해야" 비율, 3년 새 2배 '껑충' 2024-04-07 06:04:36
의대 정원 증원이라는 잘못된 해법을 내놨다"고 덧붙였다. 시민단체는 정부 정책에서 공공의료 강화의 핵심인 공공의대 설립 논의가 빠졌다고 비판한다. 공공의대는 입학 후 일정 기간 공공의사로 근무할 것을 전제로 학생들을 뽑는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은 최근 성명에서 "의사인력이 필수의료 등에서 근무할 수...
고령화 대비 '30년 도시 프로젝트'…늙어가던 가고시마 상권도 부활 2024-04-05 18:37:29
상점가는 교통의 요지에다 가고시마대 의대가 자리잡은 지역이라는 강점을 활용하기로 했다. 아이 키우기 좋고, 고령자가 안심하고 살 수 있는 마을로 특성화한다는 전략을 세웠다. 중소기업청 상점가 부활 매뉴얼의 핵심은 ‘PDCA 사이클’이다. 사업을 ‘계획(Plan)-실행(Do)-평가(Check)-개선(Action)’의 4단계로 나눠...
김선민 전 심평원장 "'사회권 선진국' 위해 조국혁신당 합류" [인터뷰] 2024-04-05 17:27:13
우선이다. 지역의사제, 공공의대 등. 그런 정책이 얼마나 정밀하게 배치되느냐에 따라 숫자는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합리적인 경제 활동 주체로서의 의사는 당연히 양지를 먼저 찾아가기 마련이다. 꼭 필요한 지역이나 꼭 필요한 진료 분야엔 대학에 들어갈 때부터 묶어두지 않으면 모이질 않는다. 애초부터...
뉴욕증시, Fed 매파 발언에 급락…오늘부터 이틀간 사전투표 [모닝브리핑] 2024-04-05 06:49:42
등 관공서나 공공기관이 발행하고 생년월일과 사진이 첨부돼 본인임을 확인할 수 있는 신분증을 지참해야 합니다. 모바일 신분증도 가능하지만, 앱을 실행해 사진·성명·생년월일을 현장에서 확인받아야 하며 스마트폰 화면 캡처 등으로 저장한 이미지 파일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대통령-전공의 만남에도 갈등은...
[이슈프리즘] 카너먼의 행동경제학으로 본 의료갈등 2024-04-04 17:54:26
공공정책 분야 의사결정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카너먼 교수의 통찰은 의대 정원 증원을 놓고 2개월 가까이 진행 중인 갈등을 해석하는 데도 유효하다. 그는 전망이론을 설명하면서 동일한 정보라도 표현 방식에 따라 의사결정이 달라지는 프레이밍 효과를 강조했다. ‘수술 시 생존율 90%’와 ‘사망률 10%’는 같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