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퓨젠바이오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2형 당뇨환자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과 확인 2022-09-22 10:36:08
인슐린 기능이 몸에 제대로 작용하지 않아 혈당이 근육 세포로 들어가지 않고 혈액 속에 남게 된다. 즉 인슐린 저항성이 높아져 혈당 수치가 올라가고 정상 수준을 넘어간 것이 제2형 당뇨병이다. 인슐린 저항성이 유발되면 인슐린의 효율이 떨어져 췌장에서 더 많은 인슐린을 분비하게 되고 이는 췌장 베타세포가 과로하...
퓨젠바이오, 2형 당뇨환자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과 확인 2022-09-21 11:54:01
혈당 수치가 정상 수준을 벗어난 것이 제2형 당뇨병이란 설명이다. 인슐린 저항성이 유발되면 인슐린의 효율이 떨어져 췌장에서 더 많은 인슐린을 분비하게 된다. 이는 췌장 베타세포가 과로해 사멸하는 악순환을 유발하게 된다고 했다. 이번 연구는 세리포리아 락세라타가 당뇨병 전단계뿐 아니라, 당뇨병 환자의 인슐린...
"혈당 높으면 소주 2잔만 마셔도…담도암 위험 높아진다" 2022-08-29 14:52:45
전당뇨병처럼 혈당이 경미하게 높은 경우에도 아주 적은 양의 음주가 담도암으로 이어질 수 있어 방심해서는 안된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공복혈당 100 ㎎/㎗ 미만으로 정상 혈당이면서 술을 마시지 않는 사람을 기준으로 비교했더니 전당뇨병 환자(100 ㎎/㎗ 이상 125 ㎎/㎗ 이하)는 하루 음주량이 소주 2~3잔(알코올...
당뇨병 환자 음주는 `독`…"담도암 위험 최대 104%↑" 2022-08-29 11:17:05
고혈당인 사람은 평소에 술을 조금만 마셔도 담도암 발생 위험이 크게 높아져 주의가 필요하다는 연구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홍정용 교수, 고려대안산병원 가정의학과 박주현 교수 공동 연구팀은 2009년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을 받은 952만629명(평균나이 47세)을 대상으로 평균 8년간 추적 관찰한...
"단백질 프로스타신 수치로 당뇨병 예측·진단" 2022-08-08 08:42:56
프로스타신 혈중 수치가 높은 사람은 공복 혈당이 높고 혈중 인슐린이 많고 인슐린 작용에 세포가 반응하지 않는 인슐린 저항이 있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이는 모두 당뇨병 위험요인들이다. 또 하나 밝혀진 중요한 사실은 프로스타신이 암으로 인한 사망과도 연관이 있다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밝혔다. 프로스타신...
다이어트에 희소식?…비만도 유전자 치료 길 열린다 2022-08-05 17:05:26
알려진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 증가, 공복 혈당 감소 등의 변화도 보였다. INHBE 유전자에 변이가 있으면 사망 위험도 더 낮았다. 변이에 따른 부작용은 발견되지 않았다. 앨라일람은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INHBE 혹은 액티빈 E 유전자를 표적으로 하는 RNA 치료제를 개발할 계획이다. 연구진은 “복부 지방을...
삼천당제약, 먹는 인슐린 사람 대상 예비연구서 안전성·효능 확인 2022-06-30 11:39:31
건강한 성인들을 대상으로 공복 상태에서 포도당을 주입한 후, 경구용 인슐린을 투여했다. 이후 일정 시간마다 혈당 관리 및 혈중 인슐린과 ‘C-펩타이드’를 측정하고, 이상반응 유무를 확인했다. 그 결과 경구용 인슐린은 복용 후 15분부터 약효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낮은 복용량을 투여한 참가자들에서도 대조군...
전 당뇨도 심근경색 위험요인…"전(前)이라는 말에 속아선 안 돼" 2022-06-15 19:44:03
전 당뇨는 공복 혈당이 정상 범위의 상한선인 99mg/dL을 넘고 당뇨병 진단 기준인 126mg/dL에는 못 미치는 경우(100~125mg/dL)를 말한다. 127mg/dL을 넘으면 당뇨병으로 진단된다. 연구팀은 "179만4149명의 1%인 33만814명이 전 당뇨였다"면서 "전 당뇨에 해당하는 사람은 심근경색 발생률이 41%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당뇨도 심근경색 위험요인" 2022-06-15 09:02:56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전당뇨는 공복 혈당이 정상 범위의 상한선인 99mg/dL을 넘고 당뇨병 진단 기준인 126mg/dL에는 못 미치는 경우(100~125mg/dL)를 말한다. 127mg/dL을 넘으면 당뇨병으로 진단된다. 2~3개월 동안의 장기적인 혈당을 나타내는 당화혈색소(A1c)가 5.7~6.4%인 경우도 전당뇨로 간주한다. A1c가 6.5%를...
[책마을] 먹는 메모장·MRI 주유소…이색 日기업들 2022-06-10 17:50:57
본 경험이 있는가. 끝날 듯 이어지는 회의에 혈당은 바닥으로 떨어지고, 말은커녕 숨 쉬기조차 힘들어지는 악몽의 시간. 어느 날 일본의 한 SNS에 “조용한 회의석상에서 나 혼자 꼬르륵거리는 공복의 소음을 어떻게든 해결하고 싶다”는 말이 올라왔다. 145년 된 인쇄회사 직원은 이 글을 보자마자 ‘먹는 메모장’ 개발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