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디엑스앤브이엑스 "올해 실적 두배 성장"…3월 신제품 출시 2024-03-08 11:53:41
단백질 보충제 프로틴메이트는 동물성과 식물성 단백질이 1:1비율로 균형 있게 배합되어 단일 배합 제품보다 단백질 흡수율이 높다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베타카제인 함유량이 높고 모유에 가까운 고품질 산양유 단백질을 사용했기 때문에 소화장애를 유발하지 않고 맛이 좋아서 남녀노소 온 가족이 함께 먹을 수 있다는...
김대훤 에이버튼 대표 "넥슨서 성공했던 '빅앤리틀' 이어간다" 2024-03-08 09:00:01
김 대표는 개발자들이 온전히 창의성을 발현할 수 있는 환경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컴투스[078340]로부터 지분 투자를 받을 때도 개발의 자율성을 가장 중시했다고 한다. 김 대표는 넥슨 시절 '민트로켓'과 관련해 "창의적인 프로젝트일수록 어설픈 개입이 애매한 결과물을 만드는 경우가 많다"며 "믿을만한...
티움바이오, 美 AACR서 경구용 면역항암제 연구결과 발표 2024-03-07 11:07:40
동시에 저해하는 물질이다. 종양미세환경에서 과발현되는 TGF-β와 VEGF는 면역항암제 효능을 방해하는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티움바이오는 두 원인을 동시에 표적하는 TU2218을 개발해 면역관문억제제와 함께 투여할 때 반응률을 높이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티움바이오 관계자는 “TU2218은 면역항암제 효능을...
에이비온, 미국암학회서 ABN202 항암기술 3종 공개 2024-03-06 15:01:50
결과 △Trop2 양성 고형암 비임상 결과 △이중항체 사이토카인 접합 단백질 비임상 결과 등을 발표한다. 우선 에이비온은 비소세포폐암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세툭시맙에 항체·사이토카인 융합 단백질 플랫폼을 적용한 연구결과를 발표한다. 세툭시맙은 표피성장인자수용체(EGFR)와 결합하는 표적항체다. 다양한 EGFR...
다가오는 도나네맙 임상에 주목받는 퓨쳐켐…“알츠하이머 진단 매출 주목” 2024-02-29 14:25:58
분석했다. 도나네맙은 초기 알츠하이머 환자에게 과발현되는 나쁜 단백질(아밀로이드 베타)를 제거하는 전문의약품이다. 현재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며, 국내에서도 임상 3상이 진행 중이다. 국내 15개 병원에서 80명 환자를 대상으로 투약이 이뤄질 예정이다. 첫 투약은 오는 4월 이뤄진다....
HLB, 항암제 개발 벤처 아테온바이오에 10억원 투자 2024-02-21 15:47:40
표적항암제 '리보세라닙'과 ATN001을 함께 사용해 여러 적응증(치료 범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한용해 HLB그룹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아테온바이오는 완전 인간 항체 라이브러리로부터 항체를 발굴하고, 고효율 발현 시스템으로 항체를 대용량 생산하는 '원스텝 자체 플랫폼'을 보유하고...
전통적 역량평가 No! '일하는 방식 진단'이 뜬다 2024-02-20 17:32:33
일했는지의 ‘과정’을 균형적으로 고려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문제는 역량평가가 본연의 기능을 하지 못하는 데에 있다. 대체로 역량평가는 평가자의 주관적 판단에 따라 점수를 주게 된다. 이러한 방식은 여러 평가오류를 낳는다. 승진을 앞둔 팀원에게 높은 점수를 몰아주거나, 성과 점수가 낮은 팀원에게 종합점수...
GC녹십자, 세계심포지엄서 리소좀축적질환 치료제 개발 동향 발표 2024-02-13 09:31:44
치료제(MPS IIIA)인 'GC1130A'과 파브리병 치료제인 'GC1134A/HM15421'의 비임상 결과를 각각 공개했다. 산필리포증후군(A형)은 유전자 결함으로 체내에 헤파란 황산염(Heparan sulfate)이 축적돼 점진적인 손상이 유발되는 열성 유전질환으로 심각한 뇌손상이 주요 증상이며 대부분의 환자가 15세 전후에...
에이비엘바이오, BCMA 단일항체 국내 특허 등록 완료 2024-02-08 13:33:28
8일 밝혔다. BCMA는 다발성 골수종에서 과발현되는 단백질이다. 다발성 골수종 환자의 상당수가 기존 치료제에 반응하더라도 다시 재발하는 경우가 많아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제에 대한 미충족 수요가 높다. 이에 전 세계적으로 이중항체, 항체약물접합체(ADC), 키메릭항원수용체 T세포(CAR-T) 등 다양한 형태의...
파멥신, 황반변성 치료제 3㎎ 단회 용량군으로 증량 결정 2024-02-08 10:58:13
안정화하는 기전을 갖고 있다. TIE-2는 내피세포에 발현하는 세포 표면 수용체로 신생혈관생성, 세포 간 부착 등을 정상화한다. PMC-403은 지난해 임상 1상에서 최저용량(0.7㎎) 안전성 확보 후 최근 두 번째 용량군(2㎎)에서도 안전성을 확보했다. 본 임상 1상은 신생혈관성 연령관련 황반변성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