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러시아 "무인기 사건, 한국의 北주권 침해" 2024-10-15 07:16:28
북한이 남한 무인기가 평양 상공에 침입해 대북 전단을 살포했다고 주장하는 가운데 러시아도 동조했다. 러시아 외무부는 이번 사건에 대해 서울을 언급하면서 "북한에 대한 주권 침해이자 내정간섭"이라며 밝혔다. 외무부는 14일(현지시간) 성명에서 "서울의 이러한 행동은 북한 주권에 대한 중대한 침해이자 독립...
다우 '사상 첫 4만3000 돌파'…북-러, 군사동맹 수준 격상된다 [모닝브리핑] 2024-10-15 07:06:33
남한 무인기가 평양 상공에서 대북 전단을 살포했다”는 북한 측 주장과 관련, 마리야 자하로바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은 이날 성명에서 “북한에 대한 주권 침해이자 내정간섭”이라며 한국 정부를 비판하기도 했습니다. ◆ NASA, 목성 위성 탐사선 발사…'생명체 가능성' 조사 목성의 위성 ‘유로파’에 생명체가...
'전쟁 처하면 군사원조' 북러조약 비준 절차…푸틴, 법안 제출(종합) 2024-10-15 04:35:27
측에서 나왔다. 북한이 남한 무인기가 평양 상공에 침입해 대북 전단을 살포했다고 주장하는 가운데 마리야 자하로바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은 이날 성명에서 이 사건이 "북한에 대한 주권 침해이자 내정간섭"이라며 한국 정부를 비판하며 북러 밀착을 과시했다. abbie@yna.co.kr [https://youtu.be/_fNZIjZbgwg] (끝)...
러 "무인기 사건, 南의 北 주권침해·내정간섭…멈춰야"(종합) 2024-10-15 03:49:35
= 북한이 남한 무인기가 평양 상공에 침입해 대북 전단을 살포했다고 주장하는 가운데 러시아도 "북한에 대한 주권 침해이자 내정간섭"이라며 동조했다. 마리야 자하로바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은 14일(현지시간) 러시아 외무부를 통해 발표한 성명에서 "서울의 이러한 행동은 북한 주권에 대한 중대한 침해이자 독립 국가의...
러 "무인기 사건, 한국의 北주권 침해이자 내정간섭" 2024-10-15 02:24:43
= 북한이 남한 무인기가 평양 상공에 침입해 대북 전단을 살포했다고 주장하는 가운데 러시아도 "북한에 대한 주권 침해이자 내정간섭"이라며 동조했다. 러시아 외무부는 14일(현지시간) 성명에서 "서울의 이러한 행동은 북한 주권에 대한 중대한 침해이자 독립 국가의 합법적인 국가·정치 체계를 파괴하고 자주적으로...
노벨경제학상 애스모글루 교수 "모범사례 한국, 고령화로 위기" 2024-10-15 01:01:07
시작 부분에서 남한과 북한을 대조적으로 묘사한 이유는 제도의 역할을 아름답게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가진 가장 정확한 데이터에 따르면, 남한과 북한은 나라가 분단되고 제도 면에서 갈라지기 전에는 동등한 수준이었습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서 10배 이상의 차이가 생겼습니다. 민주화는 매우 어려웠으나...
'포용적 제도' 국가의 富 가른다…남·북한에 주목한 美경제학자(종합) 2024-10-14 21:48:57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남한과 북한의 문제에도 관심이 깊은 '지한파'다. 지리적, 역사적, 인종적 배경이 같은 남한과 북한의 경제발전 차이 역시 제도에서 비롯된다는 봤다. 아제모을루 교수가 MIT 부임 당시 박사과정을 밟았던 안상훈 한국개발연구원(KDI) 산업·시장정책연구부 선임연구위원은 "'국가는...
노벨경제학상,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 저자에게…지한파 3인방 2024-10-14 21:42:26
번영을 이끈다고 설명하고 있다. 특히 남한과 북한을 예로 들어 정치적 선택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남한은 포용적 경제 제도를 선택했지만, 북한은 착취적 경제 제도를 고집해 국가의 실패를 맞았다는 설명이다. 국가의 성공과 실패에 대한 근본 원인을 살펴본 내용을 담고 있는 만큼 이 책은 국내 정치권에서도...
"韓 포용, 北 착취…정치·경제제도가 빈부 갈랐다" 2024-10-14 20:35:04
크지 않았지만 남한은 선진국으로 도약한 반면 북한은 사하라사막 이남 아프리카 수준의 초라한 경제력을 갖게 됐다. 사유 재산과 공정한 경쟁을 인정하는 ‘포용적 제도’를 구축한 남한과 소수 집단에 부와 권력이 집중되는 ‘착취적 제도’를 지닌 북한의 정치·경제적 제도 차이가 번영의 차이로 극명하게 나타났다는...
국가번영 핵심은 포용적 제도…현대판 국부론 주목한 노벨상 2024-10-14 20:16:35
교수는 남한과 북한에도 관심이 깊다. 지리적, 역사적, 인종적 배경이 같은 남한과 북한의 경제발전 차이 역시 제도에서 비롯된다는 것이다. 아제모을루 교수가 MIT 부임 당시 박사과정을 밟았던 안상훈 한국개발연구원(KDI) 산업·시장정책연구부 선임연구위원은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에는 남북한의 위성사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