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정 박 "美, 北모험주의 억제 노력…北군사행동 준비징후는 없어" 2024-02-04 07:00:06
대북고위관리는 북한이 한국을 겨냥해 과거 연평도 포격과 같은 군사적 행동을 준비하는 징후는 없지만 북한의 위협이 러시아와의 협력으로 더 커졌고 우려된다고 평가했다. 또 미국 정부는 북한의 모든 형태의 군사적 모험주의를 억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북러간 협력으로 북한의 위협은 인도태평양뿐만 아니라...
[일문일답] NCG 美국방부 대표 "北핵역량 진전…연합사, 핵위기시 협의참여" 2024-02-01 08:00:07
억제하는 한편 필요할 경우 이에 대응해 인도·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강화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생각한다. 미국은 북한뿐만 아니라 중국과 러시아의 핵·미사일에 대한 우려가 증대하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다. 미국은 역내 안보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억제력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북...
탈북 공학도 "인도적 대북 지원? 안보 위협 자초하는 격" 2024-01-31 18:34:03
가까이서 지켜봤습니다. 인도적 대북 지원은 한국의 안보 위협을 자초하는 일입니다.” 탈북 공학도로 지난달 국민의힘 총선 인재로 영입된 박충권 현대제철 책임연구원(38·사진)은 31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한국이 인도적 차원에서 북한에 지원한 물자가 군과 무기 개발 분야에 우선 쓰인 후에야 인민들에게...
與 인재 영입 탈북 공학도 "인도적 지원도 韓 안보 위협" 2024-01-30 15:04:04
경제에 입각한 시스템을 실현하고 올바른 대북정책을 제시해 가는 정치인이 되고 싶다"고 했다. 북한의 무기 개발을 가장 가까이서 지켜본 박 박사가 본 남북관계는 어떨까. 박 박사는 남한의 인도적 지원이 북한에 제대로 사용되고 있지 않다고 지적하며 더 이상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에서 한국에서 들...
"北도발 때 美, 확전-동맹신뢰약화 감수 사이 딜레마 빠질수도" 2024-01-27 04:13:00
원치 않는다"면서 "러시아의 대북한 지원은 분명 중국에 문제를 야기하고 중국을 불편하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북러 군사협력과 러시아의 대북 군사 프로그램 지원 등이 중국의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점을 미국이 중국에 강조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jhch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돌아올 트럼프 맞을 '마음의 준비'?…"진짜 위협" 떨고있는 세계 2024-01-17 11:31:37
"EU가 공격받더라도 미국이 도우러 가거나 지원하는 일은 절대 없을 것"이라고 말한 일화가 최근 티에리 브르통 EU 내수시장 담당 집행위원에 의해 공개되기도 했다. 캐나다의 경우도 상품·서비스 수출의 75%를 차지하는 주요 교역국인 미국이 보호무역 정책으로 전환할 경우 상당한 타격이 예상된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대남위협 北 단거리탄도미사일, 러시아에 의해 '실전 테스트'(종합) 2024-01-05 13:17:28
이 같은 러시아발 대북 군사지원이 현실화할 경우 "한반도와 인도·태평양 지역에 우려스러운 안보상 함의를 가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미 북한은 두차례 실패 이후 지난해 11월 3번째 시도에 나선 군사정찰위성 '만리경-1호' 발사에 성공하면서 러시아로부터 관련 기술을 이전받았을 수 있다는 관측을 불러...
대남 위협 北 단거리탄도미사일, 러시아에 의해 '실전 테스트' 2024-01-05 06:49:02
러시아발 대북 군사지원이 현실화할 경우 안보상으로 우려스러운 결과를 낳을 수 있다면서 "한반도와 인도·태평양에 대해 유감스러운 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미 북한은 두차례 실패 이후 지난해 11월 3번째 시도에 나선 군사정찰위성 '만리경-1호' 발사에 성공하면서 러시아로부터 관련 기술을 이전받았을 수...
美전문가 "美, 北핵보유 인정하고 비핵화 대신 군축에 집중해야" 2023-12-29 05:19:22
군사 지원을 받았다는 것이다. 미국은 조지 W. 부시와 버락 오바마 행정부 때 인도와 민간 원자력 협력 합의를 체결해 인도의 핵무기 보유를 사실상 인정했다. 핵무기를 개발했다가 포기한 나라는 남아프리카공화국뿐이다. 이 선임위원은 "북한이 되고 싶어 하는 것은 인도이며, 미국이 원하는 것은 북한이 남아공이 되는...
중·러 공장 빼고 아세안·미국으로…현대차그룹 생산기지 새판 짠다 2023-12-26 09:25:42
정책규제 대비가 필요한 상황.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로 활동한 성 김 전 주인도네시아 미국 대사를 자문역으로 영입한 게 대표적이다. 성 김 전 대사는 현대차그룹의 국외 시장 전략, 글로벌 통상·정책 대응 전략, 대외 네트워킹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앞서 현대차그룹은 지난 7월에도 김일범 대통령실 의전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