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대웅제약 "비탈리바이오,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기술수출 반환 통보" 2024-11-15 08:14:43
대웅제약이 개발 중인 자가면역질환 경구용 치료제다. 대웅제약의 DWP213388 기술수출 계약에는 개발 중인 2건의 후보물질을 추가로 기술이전할 수 있는 옵션권이 포함됐다. 본 계약의 해지가 확정되더라도 해당 옵션권에 관한 조항은 존속된다. 비탈리바이오의 옵션권 행사에 따라 대웅제약은 각 후보물질에 대한 임상개발...
네오이뮨텍, NT-I7과 CAR-T 병용임상에서 안전성 확인 2024-11-14 11:12:23
기반 면역치료제 개발사 네오이뮨텍이 자사 후보물질과 CAR-T(키메릭 항원수용체 T세포) 치료제 병용 임상에서 안전성을 확인했다. 네오이뮨텍은 후보물질 NT-I7(에피네프타킨 알파)과 CAR-T 치료제 병용 임상 1b상(NIT-112)에서 안전성을 검증했다고 14일 밝혔다. 의약품 안전성 모니터링 위원회(DSMB)는 NIT-112 임상에서...
수조원 드는 신약 개발…'오픈 이노베이션' 공동개발로 '윈윈' 2024-11-13 16:07:49
국내 바이오 기업에서 가져온 물질이다. 일동제약의 R&D 자회사 유노비아는 지난 5월 대원제약과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를 공동 개발하기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 양사는 소화성 궤양용제 시장에서 점유율이 꾸준히 늘고 있는 3세대 위장약(P-CAB·칼륨경쟁적 위산분비 억제제)을 개발한다. 대원제약은 유노비아가 보유한...
"항암 평가지표 PFS가 만능? 간암 신약은 생존기간 연장 충분" 2024-11-13 09:41:58
데 그쳤다. 간은 몸에 들어간 독성 물질을 해독하는 장기다. 암을 없애려면 독성이 강한 약물을 투여해야 하는데 암 탓에 기능이 떨어진 간에 항암제까지 투여하면 환자가 버티질 못한다. 화학독성항암제 치료가 간암엔 잘 활용되지 못하는 이유다. 넥사바, 렌비마 등의 표적항암제가 간암 치료에 활용되고 있지만 환자...
"임신 중 환경호르몬 뇌 발달에 치명적…성인까지 영향" 2024-11-13 09:11:41
알킬페놀류 내분비계 교란물질 일종인 옥틸페놀이 쥐의 뇌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신경 발달 시기 옥틸페놀 노출이 에스트로젠 신호전달 경로를 통해 성체 자손 쥐 미세아교세포의 형태와 기능에 지속적인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다. 교세포는 신경세포의 기능을 도와줄 뿐 아니라, 뇌...
지씨셀 "이뮨셀엘씨와 CAR-NK 쌍두마차로 성과낼 것" 2024-11-12 14:46:31
바이오테라퓨틱스가 개발하던 CAR-NK 후보물질의 바통을 넘겨받아 지씨셀이 임상개발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면역세포의 일종인 NK세포에 암항원수용체를 발현한 CAR-NK는 해외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선두주자였던 미국 페이트 테라퓨틱스나 엔카르타 등이 임상에서 성과를 내지 못했다. NK세포는 T세포...
바이로큐어 "먹는 항암바이러스가 주사보다 효과 우수해" 2024-11-11 08:54:15
면역 반응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로큐어는 최신 연구결과를 근거로 최초의 먹는 항암백신 개발에 집중할 예정이다. 바이로큐어는 ‘RP116 개량형 레오바이러스’에 대한 미국 물질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백신플랫폼으로 국내특허를 취득했다. 먹는 레오바이러스에 대한 특허도 출원했다. 이왕준 바이로큐어...
[SITC 2024]한미약품, 'HM16390' 흑색종·유방암 병용 가능성 확인 2024-11-10 06:16:01
한미약품의 장기지속형 면역항암제 후보물질이 PD-1, CTLA4 계열 면역항암제와 함께 투여하면 높은 암 사멸 효과를 낸다는 동물실험 결과가 나왔다. 병용치료제 개발 가능성이 높다고 연구진은 평가했다. 10일 미국면역항암학회(SITC 2024)에 따르면 전날(현지시간) 한미약품 연구진은 장기지속형 인터루킨(IL)-2 후보물질...
[SITC 2024]리가켐바이오, 동물실험서 항암 신약 가능성 확인 2024-11-09 14:46:14
두 군데에 붙이도록 만들어져 면역세포 간섭을 덜 받아 암에만 효과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동물모델을 통해 DAR이 계속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확인했다. 유인원 모델에서 안전성도 파악했다. 이를 토대로 연구진은 "LNCB74이 유방암, 난소암, 자궁내막암 등 다양한 고형암에 유망한 후보물질"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분석+] 지씨셀, 5개월만에 MSD와 CAR-NK 개발 다시 나서 2024-11-07 14:32:33
물질 개발 및 사업화를 위한 3자 라이센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선급금이나 총 계약규모 등은 공개하지 않았다. 앞서 지씨셀은 관계사 아티바를 통해 MSD와 함께 CAR-NK 세포치료제 3종을 공동개발 해왔었다. 하지만 지난 6월 MSD가 내부 의사결정을 거쳐 공동연구개발계약 해지를 알리면서 지난 6월 공동개발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