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美 '호황의 역설'…무역적자 사상 최대 2025-02-06 17:30:14
흑자 4위국인 베트남(1235억달러)도 긴장하는 분위기다. 싱가포르 싱크탱크 힌리치재단의 무역정책 전문가 데버라 엘름스는 베트남이 ‘관세 표적’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한국도 안심할 수 없다. 한국은 지난해 미국을 상대로 660억달러 흑자를 냈다. 전년 대비 146억달러(28.4%) 증가하며 흑자 규모가 사상...
한화솔루션, 첫 연간 적자..."관세전쟁에 흑자 기대감" 2025-02-06 15:17:31
실적이 부진했는데, 증권가에서는 올해 단숨에 흑자로 돌아설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습니다. 어떤 이유 때문입니까? <기자> 한화솔루션의 주력 시장인 미국의 움직임이 크게 달라졌기 때문입니다. 현재 미국 태양광 시장 점유율의 70% 이상을 중국 업계가 차지하고 있는데, 저가 공급 과잉 탓에 생태계가 무너진...
경상수지 흑자 '역대 2위'…트럼프 관세 압박 커지나 2025-02-06 15:01:31
이 흑자 규모 중에 대미 경상수지 흑자가 정확히 얼마나 됩니까? <기자> 오늘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치 데이터에는 해당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는데요. 지역별 경상수지 규모는 오는 6월에 공표가 됩니다. 다만, 수출 데이터와 대미 무역흑자 규모를 볼 때, 대미 경상수지 흑자 역시 큰 폭으로 늘어났을...
대미 무역흑자 3배...트럼프발 관세압박 어쩌나 2025-02-06 14:29:02
- 지난해 한국의 대미 수출은 10.4% 늘고, 대미 무역수지 흑자는 557억 달러로 사상 최대임. - 미국의 무역적자 상황이 심각해지면서 관세 압박 현실화 우려가 높아짐. - 우리 기업들이 미국에 투자를 늘려 대미 수출이 증가한 것이므로, 무역 흑자를 이유로 관세를 부과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주장이 제기됨. - 정부는 아직...
"트럼프 행정부, 지식재산 보호 강화…FTA 재협상 등 대비해야" 2025-02-06 14:00:05
무역수지 흑자가 계속해 증가하고 있는 점을 거론하며, 한미 FTA 및 지식재산 관련 조항 재협상 가능성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전 부연구위원도 "한미 FTA 추가 재협상을 요구할 가능성에 따라 지식재산 챕터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어진 패널 토론에서 전문가들은 기업들이 미국과 유럽이...
베트남 대미 무역흑자 역대 최대…트럼프 관세 표적 우려 2025-02-06 12:35:56
베트남 대미 무역흑자 역대 최대…트럼프 관세 표적 우려 지난해 흑자 178조원…미국상대 4위 흑자국 (하노이=연합뉴스) 박진형 특파원 = 베트남의 대(對)미국 무역흑자가 지난해 역대 최대치로 불어나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밀어붙이는 '무역전쟁'의 표적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한층 커지고 있다....
"한국 무역구조 보호무역주의에 취약…경쟁력 확보 핵심은 AI" 2025-02-06 11:45:41
대미(美) 무역 흑자를 기록하고 있는 만큼, 트럼프 2기 행정부 무역정책의 주요 타깃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따라서 대미무역 수지 균형을 위해 수입 가능 품목을 발굴하고, 금리를 낮춰 수출·수입 기업의 금융 부담을 완화하는 등의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traum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인니, 작년 GDP 5.03% 성장으로 목표치 하회…3년 내 최저 2025-02-06 11:18:43
낮았지만 6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무역수지 흑자는 310억달러를 기록해 흑자를 유지했다. 다만, 흑자 규모는 전년 대비 약 16% 줄었다. 전문가들은 인도네시아 경제 성장세가 둔화함에 따라 인도네시아 중앙은행(BI)이 추가 금리인하에 나서고 인도네시아 정부도 경기 부양책을 내놓을 것으로 기대했다. 아베 료타...
작년 경상흑자 990억달러, 역대 2위…12월 124억달러로 최대(종합) 2025-02-06 10:30:05
한은은 지난해 11월 경제전망 당시 올해 경상수지 흑자 규모를 800억달러로 예상했다. 이달 25일 수정 경제전망을 발표한다. 신 국장은 "올해 경상수지 흐름에서 가장 중요한 리스크 요인은 미국 트럼프 정부의 통상 정책과 그에 대한 주요국 반응"이라며 "시기와 강도를 계속 점검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1월 통관 ...
프랑스 바이루 정부 불신임안 부결…예산안 처리 청신호 2025-02-06 02:34:18
병합하겠다고 발표했다. 중국의 무역 흑자는 1조 달러를 돌파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세계정세가 급변하는 와중에 프랑스는 정치적 갈등과 분열에 빠져있다는 점을 지적한 것이다. 이날 정부 불신임안 두 건이 모두 부결되면 재정법안과 사회보장재정 법안은 하원에서 채택된 것으로 간주한다. 6일 상원에서도 두 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