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책마을] '침묵의 봄' 작가, 바다의 삶을 쓰다 2017-11-02 19:31:12
‘바다의 가장자리’에서는 북극 툰드라지방에 사는 바닷새의 여름 영웅담에 관한 이야기를, 2부 ‘갈매기의 길’에서는 넓은 바다에서 살아남기 위해 분투하는 고등어와 플랑크톤 무리의 우여곡절을, 3부 ‘강과 바다’에서는 바다의 심연을 헤엄치는 뱀장어의 일생을 다룬다.카슨은 이 책...
'침묵의 봄' 레이첼 카슨의 글쓰기는 바다생명체에서 시작됐다 2017-10-31 07:30:00
바다'는 바다의 깊은 심연을 배경으로 한다. 바닷새와 고등어 '스콤버', 뱀장어 '앤귈라'라는 각 부 주인공들의 이야기는 자연스럽게 연결되며 확장된다. 린다 리어는 "이 책은 살아남고 번식하기 위해 분투하는 각각의 생명체에 관한 이야기로 이뤄져 있다"며 "격렬한 투쟁에 입각한 다윈주의적...
폐어망으로 운동화 만든 거쉬 "플라스틱 사용 중단해야" 2017-10-18 16:55:16
플라스틱을 먹고 죽어가는 바닷새를 8년간 추적 촬영한 동영상을 제공받아 공개하고 플라스틱 해양오염의 심각성을 알리는 각종 사진 자료도 보여줬다. 거쉬씨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먹고 동물이 죽고 아주 작은 나노 플라스틱 입자를 먹은 물고기가 우리 식탁에 오르고 있다는 사실을 많은 사람이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며...
[AsiaNet] 붉은 해변: 희귀 새들 불러모으는 세계 최대의 습지 2017-09-14 12:59:02
바닷새를 포함해 약 287종의 새들이 이 땅에서 살아간다. 또한, 이곳은 검은 머리 갈매기와 점박이물범의 번식 장소이기도 하다. 중국관광청이 선정한 등급에 따르면, 판진 붉은 해변은 중국에서 모범적인 첫 습지 관광지에 속한다고 한다. 최대 3,149㎢에 달하는 면적을 자랑하는 판진 붉은 해변은 세계 최대의 습지다....
"1회용 비닐봉지는 그만!" 호주, 퇴출 가속도 2017-09-10 16:07:45
재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거북과 바닷새를 포함한 해양동물이 무심코 비닐봉지를 삼키는 일이 잦은 만큼 이들의 보호에도 도움이 되리라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지난 3월 호주 연방과학원(CSIRO)은 지금처럼 비닐봉지를 포함한 플라스틱이 마구 바다에 버려질 경우 금세기 중반이면 바닷새 약 95%의 몸 안에...
지구온난화 속 북극 북서항로 최단시간 통과 신기록 2017-07-30 08:06:23
쇄빙선에 탑승했던 AP통신 기자는 항해 도중 바닷새와 바다표범, 고래, 심지어 희귀한 북극곰도 목격했다며 "이런 동물들은 그들의 삶의 터전인 해빙이 매년 급속히 사라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이들은 북극 생태계가 직면한 위협을 상징한다"고 밝혔다. 북서항로는 영국이 지난 1846년 북극 항로 개척을 목적으로...
부산서 해양수산 국제행사 잇단 개최 2017-07-20 20:43:06
참석한다. 북태평양 참다랑어의 보존관리 상황을 점검하고 바닷새, 바다거북 등 주요 해양생물의 보존 대책을 논의한다.9월4일부터 8일까지 ‘유엔 식량농업기구(fao) 수산위원회 어류교역소위’ 제16차 회의가 예정돼 있다. 국제기구 및 회원국에서 300여 명이 참석해 전 세계 수산물 교역과 관련된 주요 주제를...
해수부, 부산서 수산분야 국제회의 잇달아 개최 2017-07-19 11:00:06
및 바닷새, 바다거북 등 주요 해양생물의 보존 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9월 4일부터 8일까지는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수산위원회 어류교역소위' 제16차 회의가 열리고, 7일과 8일 양일간은 한국과 아프리카 및 남태평양지역 해양수산분야 협력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2017년도 해양수산 공적개발원조(ODA)...
온난화, 괭이갈매기 번식도 앞당겨…2003년보다 열흘 빨라 2017-06-11 12:00:07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해양자료센터(KODC)의 정선해양관측자료에 따르면 홍도 해수표면의 연평균 수온은 2000년대 들어 1990년대보다 0.61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나공주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장은 "바닷새의 번식 시기를 비롯해 종합적인 섬 생태계 연구를 통해 기후변화의 영향을 파악할 계획"이라고...
"바다 숨쉬기 편해질까" 중국·태국 등 플라스틱 투기자제 서약 2017-06-09 09:12:20
생태계 특히 산호초에 치명적이며, 물고기와 바닷새 등이 플라스틱을 먹이로 오인해 먹는 경우도 적지 않다. 바다로 흘러들어 간 쓰레기 더미가 엉켜 거대한 섬 모양을 한 채 떠다니는 경우도 종종 목격된다. 태국 인근 타이만 바다에서는 지난 2월에 이어 4월에도 길이 1㎞ 가량의 거대한 '쓰레기 섬'이 목격돼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