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헬릭스미스 "골드만이 주장한 임상 성공확률 22% 터무니없어" 2019-10-17 17:15:15
범위를 넓히기 위해 유럽 임상도 준비 중”이라며 “3-2상 결과가 나오면 이를 바탕으로 기술수출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서울대 미생물학과를 나와 영국 옥스퍼드대에서 분자유전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하버드대 의대 교수를 거쳐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로 재직하던 1996년...
"과도한 뇌 신경 활동, 수명 단축할 수 있다" 2019-10-17 16:53:44
하버드대 의대의 브루스 양크너 유전학 교수팀은 이런 내용의 논문을 16일(현지시간) 저널 '네이처(Nature)'에 발표했다. 양크너 교수는 이 대학 부설 폴 F. 글렌 노화 생물학 센터의 부소장이다. 이날 온라인에 공개된 논문 개요(링크[https://www.eurekalert.org/pub_releases/2019-10/hms-iaf101019.php]) 등에...
"유전자 온·오프 제어 관여하는 단백질 6종 발견" 2019-09-24 15:29:13
분자 세포(Molecular Cell)'에 최근 발표했다. 20일(현지시간)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공개된 보고서 개요에 따르면 MSKCC의 후성유전학 센터 소장인 크리스티안 헬린 교수팀은 코펜하겐대 부설 '생명공학 연구·혁신 센터(BRIC)' 등의 과학자들과 협업해 유전자의 온·오프 제어 메커니즘을 수년간...
자동화 로봇 기술 덕분에…10년 걸리던 표현형 데이터 수일 內 확보 2019-09-17 16:21:48
있다. 정확히 말하면 통계학과 유전학의 관계다. 완두콩 실험으로 유명한 그레고어 멘델의 실험은 통계 이론을 정립하는 데 중요한 데이터로 사용됐다. 멘델은 완두콩 실험을 통해 유전인자가 어떤 규칙에 의해 자손에 전달되고 형질을 결정하는지 발견했다. 완두콩 유전인자와 표현형질의 관계를 설명하는 통계 모형에는...
"'도약 유전자' 트랜스포존, 잠금장치 풀리는 이유 규명" 2019-09-17 15:14:19
"이런 식의 트랜스포존 억제가 바로 후성유전학적인 조절"이라고 강조했다. 후성유전학(또는 후생유전학)은 DNA 염기서열이 변하지 않는 상태에서 이뤄지는 유전자 발현의 조절을 연구하는 유전학의 하위 학문이다. 매거트 교수의 다음 연구 목표는, 헤테로크로마틴의 트랜스포존 조절 기억이 후성유전학과 별개로 어떤...
"정상 세포의 텔로머라아제, 세포 노화 늦추기도 한다" 2019-09-04 15:19:54
세포 생물학·분자유전학 부교수팀은 이런 내용의 연구 보고서를 2일(현지시간)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PNAS)에 발표했다. 이번 연구엔 미국 국립보건원(NIH) 연구진도 참여했다. 이날 온라인에 공개된 연구 개요(링크[https://www.eurekalert.org/multimedia/pub/209969.php?from=439664])에 따르면 카오 교수팀은, 한배의...
이종수 아주대학 연구진, '유전체 손상 복구 조절시스템' 규명 2019-08-21 16:26:04
유전체·유전학·분자생물학 분야 저명 학술지인 '뉴크레익 액시드 리서치'에 지난달 24일자로 'CTCF는 CtIP와 함께 끊어진 DNA 이중가닥의 정확한 복구를 촉진한다'는 제목으로 온라인 게재됐다. 해당 논문의 제1저자로는 아주대학교 생명과학과 황순영 박사과정 학생과 강미애 연구교수가...
"독감 바이러스에 살아남는 곤봉체 세포, 비법은 DNA 자체 수리" 2019-08-02 16:18:21
히튼 분자유전학·미생물학 조교수팀은 관련 연구보고서를 저널 '네이처 미생물학(Nature Microbiology)'에 최근 발표했다. 1일(현지시간) 온라인(링크)에 공개된 연구 개요에 따르면 곤봉체 세포는 폐포(허파꽈리)와 기도를 연결하는 기관지에 많이 존재한다. 원래 이들 세포는 기관지 내벽 점막의 계면활성...
"뇌 조직 이식한 미세 장치로 '대장 유전자' 온·오프 제어" 2019-07-18 15:38:14
것으로 보인다. 광학(optics)과 유전학(gesetics)을 연계한 광 유전학(optogenetics)이 등장한 건 20년이 넘었다. 이 분야의 과학자들은, 인체 내 세포들이 주고받는 생물학적 정보의 오류에 질병의 원인이 있다고 보고, 그런 오류를 바로잡는 데 연구의 초점을 맞췄지만, 유전체의 기능 이상을 직접 파고드는 덴 한계가...
뎅기열·지카 옮기는 흰줄숲모기 박멸 새 퇴치법 개발 2019-07-18 11:31:55
따르면 미시간주립대 미생물·분자유전학과 시지융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중국 광저우(廣州)의 하중도 두 곳에서 2년에 걸쳐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야생 개체수를 83~94% 떨어뜨리는 결과를 얻었다. 연구팀은 모기 퇴치에 이용해 온 방사선 조사와 볼바키아(Wolbachia) 박테리아 감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