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노벨경제학상 존슨 공저자 제임스 곽 "트럼프, 민주주의 위협" 2024-10-18 13:13:24
올해 노벨경제학상 공동 수상자인 사이먼 존슨(61)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2020년 대선 결과 불복에 심각한 우려를 표한 가운데 그와 오랜 기간 공동저술을 해온 한국계 학자도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해 "민주주의에 대한 위협"이라고 우려를 표명했다. 제임스 곽(한국명 곽유신·55)...
[차장 칼럼] 배달앱 수수료, 정부가 정할 일일까 2024-10-17 17:51:00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다론 아제모을루와 사이먼 존슨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 제임스 로빈슨 시카고대 교수는 국가 번영의 이유를 ‘한강의 기적’을 이룬 한국에서 찾았다. 저서 에서 남북한이 경제적으로 다른 길을 걷게 된 원인으로 제도 차이를 들었다. 경제적 인센티브를 중시하고 공정한 경쟁을 인정한 ‘포용적...
美中과학기술협정 갱신되나…"임박했지만 체결은 美대선 이후" 2024-10-17 11:44:01
듀크 쿤산대에서 부총장을 지낸 데니스 사이먼은 "이번에 협정이 갱신된다면 이전과 비교할 때 덜 광범위하고 덜 포괄적일 것으로 예상되며 개방적이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 의회 내 대표적인 중국 견제 세력인 미·중 전략경쟁특위의 존 물레나르(공화·미시간) 위원장은 "STA는 시대가 지난 나쁜 생각"이라면서...
'아웃렛판 블랙프라이데이'…신세계, 19∼20일 '슈퍼 새터데이' 2024-10-16 06:00:11
신세계사이먼은 오는 19∼20일 이틀간 여주·파주·부산·시흥 프리미엄 아울렛 등에서 연중 최대 규모의 쇼핑 축제인 '슈퍼 새터데이'(SUPER SATURDAY)를 연다고 16일 밝혔다. 이 행사는 매년 11월 말에 진행되는 미국 '블랙 프라이데이'보다 한 달 앞서 선보이는 '아웃렛판 블랙 프라이데이'로...
"한국, 민주주의와 포용적 경제 제도가 낳은 최고 성과" 2024-10-15 18:38:09
사이먼 존슨 교수는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로 선정된 뒤 14일(현지시간) 연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한국의 정치·경제 제도를 높이 평가했다. 아제모을루 교수는 “포괄적 경제 제도는 안전한 재산권이나 기회균등, 공정한 경쟁 환경을 지지하는 것들을 갖추고 있느냐가 핵심”이라며 “교육과 공공 인프라, 적절한 종류의...
[사설] 노벨경제학상도 인정한 韓 번영 원동력은 시장경제와 민주주의 2024-10-15 17:40:07
미국 MIT의 다론 아제모을루 교수와 사이먼 존슨 교수, 제임스 로빈슨 시카고대 교수에게 돌아갔다. 이들은 포용적 제도를 지닌 국가는 번영하고 착취적 제도를 지닌 국가는 그렇지 못하다는 걸 체계적 이론과 광범위한 역사적 사례를 통해 제시해 세계적으로 주목받아 온 경제학자들이다. 특히 아제모을루와 로빈슨은 에서...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들 "韓 민주주의와 경제제도가 성공 이끌어" 2024-10-15 15:50:35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와 사이먼 존슨 MIT 교수는 14일(현지시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로 선정된 뒤 가진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한국의 정치·경제 제도를 높이 평가했다. 애스모글루 교수는 “포괄적 경제 제도는 △안전한 재산권 △기회균등 △공정한 경쟁 환경을 지지하는 것들을 가지고 있고 교육, 공공...
알파고 아버지, 지한파 경제학자…한국과 각별한 노벨수상자들 2024-10-15 12:54:43
생각한다고 말했다. 경제학상 공동 수상자인 사이먼 존슨 MIT 교수는 부인이 한국계 미국인으로, 역시 평소 한국에 큰 관심을 보여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지난해 경제학자인 타일러 코웬이 진행하는 팟캐스트 방송에 출연해 "아내의 부모가 한국에서 태어난 만큼 한국이 가장 좋아하는 나라 중 하나"라며 "그들과 ...
'한국 번영 이끈 것은 민주주의'…'국가간 격차' 연구 3인 노벨경제학상 2024-10-15 07:18:40
애스모글루, 사이먼 존슨 미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경제학과 교수와 제임스 로빈슨 시카고대 해리스 공공정책대학원 정치학교 교수 등 3인이 선정됐다.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의 공동 저자로도 잘 알려져있는 대런 애스모글루 교수와 사이먼 존슨 교수는 민주주의가 경제 성장에 직접 기여하는 대표적 사례로 한국을...
다우 '사상 첫 4만3000 돌파'…북-러, 군사동맹 수준 격상된다 [모닝브리핑] 2024-10-15 07:06:33
사이먼 존슨 교수는 현지시간 14일 온라인 기자회견에서 “분단 이전 남·북한은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서로 다른 제도 속에 경제 격차가 10배 이상 벌어졌다. 한국경제는 다른 나라들에 비해 놀라운 성취를 이뤘으며 연구를 통해 ‘지향하게 만들어야 할 방향’이라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제임스 로빈슨 시카고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