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정년연장형 임금피크제는 괜찮다고?…전문가들 "장담 못해" [곽용희의 인사노무노트] 2022-05-29 06:50:00
낮았고, 대기발령을 받아서 근로제공을 하지 않은 직원과 비슷했다. 앞서 1심은 임금피크제가 "근로자들의 집단적 동의를 얻지 못했다"며 절차적인 문제가 있어 무효라고 판단한 바 있다. 2심 서울고등법원은 여기 그치지 않고 "임금피크제 자체가 현저히 부당하다"고 판단해 근로자들의 손을 들어줬다. 재판부는 "비슷한...
이정식 "근로시간 선택권 확대"…주 52시간제 유연화 속도 낸다 2022-05-25 17:43:14
장관(사진)이 노사의 자율적인 근로시간 선택권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윤석열 정부가 추진하기로 한 주 52시간 근로제 유연화가 속도를 낼 전망이다. 이 장관은 25일 중소기업 오토스윙에서 연 노사간담회에서 “근로시간 운영에 관한 노사 선택권을 확대하면서 노동의 가치가 존중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게 국정과제에 ...
중기 절반 "주52시간제 시행 어려워…월단위로 바꿔달라" 2022-05-18 14:46:21
대해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 지(복수응답)를 물어보니, ‘탄력근로, 선택근로 등 유연근무제 도입’(23.4%), ‘8시간 추가연장근로제 활용’(22.6%), ‘추가 인력 채용’(22.1%) 등이 골고루 나왔고 ‘마땅한 대책이 없음’도 20.9%에 달했다. 정부가 주52시간제 도입 효과로 노린 '추가 인력 채용'효과는 미미한...
회계사 '모셔가기' 경쟁 '치열'…회계법인 신입 채용 올해 '최대' 규모 2022-05-17 15:40:01
사업본부를 선택해 체험할 수 있는 '커리어 여정' 지원, 대표이사와의 라이브채팅 등을 진행하고 있다. 최근엔 거점별 위성오피스 개소도 준비 중이다. 삼정 역시 입사 후 글로벌 엘리트 프로그램에 참여해 3년 동안 스스로 러닝 트랙을 설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등 MZ 겨냥 복지책을 마련해뒀다. 유연근로제...
권성동 "주52시간제로 기업 위축…근로시간 유연화해야" 2022-05-11 16:39:12
'경제통'의원들이 주52시간 근로제 등 근로시간 규제 개선을 위한 정책토론회에 모여 규제 개선을 다짐했다. 국민의힘 중소기업위원장을 맡고 있는 한무경 의원과 경제계를 대표하는 한국경영자총협회의 공동 주최로 11일 열린 '근로시간 유연성 개선'정책토론회에서다. 근로시간 유연화는 윤석열 정부의...
"70년 된 낡은 노동제도…근로시간 유연성 개선하는 입법 필요" 2022-05-11 10:00:00
애로를 겪고 있다"며 "업종별 특성과 현장 상황에 맞게 근로시간을 유연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제도적 보완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현재 30인 미만 기업을 대상으로 한시적으로 허용해주고 있는 8시간 추가연장근로제의 대상과 기간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vivid@yna.co.kr (끝) <저작권자(c)...
통상임금 대란 2라운드?…"재직조건 무효" 판결 또 나왔다 [곽용희의 인사노무노트] 2022-05-08 12:30:02
받아들인 것이다. 재판부는 "그날그날의 근로제공으로 그 몫의 임금이 이미 발생했는에도 지급에 관한 조건(재직 조건)을 부가해 지급일 전에 퇴직하는 근로자에 대해서는 이미 제공한 근로에 상응하는 부분까지도 지급하지 않는 것은 근로제공의 대가로 당연히 지급 받아야 할 임금을 사전에 포기하게 하는 것"이라며 "이...
임원인 아내와 이혼하더니 해고까지 한 '사장 남편'…법원 "부당해고" 2022-04-30 19:06:02
받기 위한 근로계약서 작성을 요구하거나 근로제공 의사를 밝혔지만, 되레 A는 B가 근로자가 아니라고 반박한 적이 없고, 오히려 징계권을 행사하겠다는 취지로 말했다"라고 꼬집었다. 자신의 근로자에게 행사하는 징계권을 운운한 것은 결국 자신의 근로자로 인정한 것과 다름없다는 지적이다. A 측은 B가 근무 시간이나...
인수위 "중대재해·화평법·주52시간은 기업 족쇄"…전면수술 예고 2022-04-19 17:42:18
대대적인 수술을 예고했다. 선택적 근로시간제는 윤 당선인이 대통령 후보 시절부터 공약한 정산 기간 확대를 추진한다. 현행 1개월(신상품 또는 신기술의 연구개발 업무의 경우 3개월)인 정산 기간을 최대 1년으로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선택근로제는 근로자대표(노동조합 등)와의 서면합의가 있다면 1개월 혹은 3개월...
[유병연의 논점과 관점] '뉴노멀' 재택근무가 던진 과제 2022-04-19 17:22:22
주 4일 근로제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촉발할 가능성도 있다. 노동계와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논의돼온 주 4일 근로제는 지난 대선 과정에서 ‘뜨거운 감자’로 부상했다. 주 52시간제를 도입한 지 4년 만에 주 4일제에 대한 요구가 한꺼번에 분출하면 막대한 경제·사회적 비용을 치르게 된다. 사회적 대화를 통해 이런 갈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