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탄소흡수 소나무 3배"…'맹그로브' 韓 상륙 2023-06-18 17:39:16
계속 오르면 아열대·열대 수종인 맹그로브가 국내에 들어오게 될 가능성이 크다. 김종성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연구에 따르면 맹그로브의 북방한계선은 북위 33도 38분까지 올라왔다. 일본 규슈섬 남부 지역이다. 제주도 남해안 일대와 위도가 겹친다. 김 교수는 “조만간 맹그로브가 제주도를 넘어 한반도 남해안에...
10만원 훌쩍 초고가 '애플망고 빙수'…무심코 먹었다간 '깜짝' [건강!톡] 2023-06-17 10:42:19
가격을 7~12만원대로 책정했다. 애플망고는 열대, 아열대 기후에서 자라는 열매다. 망고가 수확한 후 후숙하는 반면, 애플망고는 완전히 익은 후에 수확하기 때문에 망고보다 당도가 높고 맛이 달다. 열량은 100g당 64kcal로, 빙수에 사용되는 우유를 함께 섭취하면 망고의 베타카로틴과 우유의 단백질, 지방을 동시에 섭...
강릉 주문진서 '160㎏' 초대형 참치 잡혔다…310만원에 위판 2023-06-16 17:42:23
역대급 참치가 잡혔다"고 말했다. 아열대성 어류인 참치는 동중국해 남부 해역으로부터 쿠로시오 지류인 쓰시마난류를 따라 북상해 우리나라 남해안에 잠시 머물다가 다시 일본 동부 연안을 따라 북상해 북태평양 해역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1990년대 후반 우리나라 남해안에서도 봄·여름철에 참다랑어 어장이...
완도 해안서 1m 넘는 '식인 상어' 사체 발견 2023-06-14 20:46:16
백상아리는 주로 평균 수온 21도 이상인 아열대성 바다에서 나타나는 어종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바다 온도가 상승하면서 남해와 동해에서 백상아리 등 상어가 종종 출현하고 있다. 완도해경 관계자는 "남해에서 상어가 발견돼 어업인과 레저 활동자들은 주의가 필요하다"며 "상어를 만났을 때는 고함을 지르거나 작살로 찌...
"고함지르면 안 된다"…완도 앞바다 '식인 상어' 주의보 2023-06-14 17:24:25
주로 평균 수온 21도 이상인 아열대성 바다에서 나타나는 어종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바다 온도가 상승하면서 남해와 동해에서 백상아리 등 상어가 종종 출현하고 있다. 완도해경 관계자는 "남해에서 상어가 발견돼 어업인과 레저 활동자들은 주의가 필요하다"며 "상어를 만났을 때는 고함을 지르거나 작살로 찌르는...
황금연휴 또 '많은 비' 온다…태풍 영향은 미지수 2023-05-25 12:17:53
태풍 동쪽에 위치한 아열대고기압과 중국 남부에 자리 잡은 고기압의 세력 변동에 따라 태풍 경로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25일 기준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 발사대가 있는 전남 고흥군 봉래면 나로도의 날씨는 대체로 양호하다. 이광연 기상청 예보분석관은 "오늘 대기가 불안정할 가능성이 작고 낙뢰...
'인류의 조상' 호모종, 기후변화 견디고 살아남은 비결은 '이것' 2023-05-12 05:32:01
특징지어진 지역으로 연구팀은 열대우림, 아열대, 사바나, 초원 등 11가지로 나눴다. 연구팀이 여섯 호모종을 분석한 결과 우선 호모종들은 점차 복합적인 환경에 적응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200~300만년 전 아프리카에서 처음 출현한 초창기 호모종인 호모 에르가스테르와 호모 하빌리스는 주로 초원과 건조한 관목지대...
인류는 어떻게 살아남았을까?…해답은 "복합적 생태환경 선호" 2023-05-12 03:00:00
특징지어진 지역으로 연구팀은 열대우림, 아열대, 사바나, 초원 등 11가지로 나눴다. 연구팀이 여섯 호모종을 분석한 결과 우선 호모종들은 점차 복합적인 환경에 적응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200~300만년 전 아프리카에서 처음 출현한 초창기 호모종인 호모 에르가스테르와 호모 하빌리스는 주로 초원과 건조한 관목지대 등...
[르포] "생약, 보고 맡고 만지며 놀아요"…제주 '생약누리' 가보니 2023-04-29 12:54:17
밖으로 나와 전시 온실에서 자라고 있는 아열대식물과 재배장에 식재된 묘목을 보고 있노라면, 이곳이 단순한 전시·체험 공간에 그치지 않고 생약자원 확보, 보존, 연구 일선에 서 있는 식품의약품안전처 국립생약자원관의 일부임을 새삼 깨닫게 된다. 식약처는 이곳 제주를 비롯해 충북 옥천, 강원 양구 등 모두 세 곳의...
해안 생물, 플라스틱 쓰레기 타고 번식하며 신원양생물군 형성 2023-04-18 11:44:13
서식 영역을 넓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태평양 아열대 환류 동부 수역에 떠다니는 '태평양 거대 쓰레기섬('GPGP)에서 수거된 플라스틱 부유물의 70% 이상에서 해안 서식종이 발견됐으며, 일부는 바다 한가운데지만 원양(遠洋) 종보다 해안 종이 더 많은 것으로 제시됐다. 미국 마노아 하와이대학교에 따르면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