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이지현의 생생헬스] 6~18개월 만에 개발 끝내려는 코로나 백신 2020-05-22 13:58:58
있는 수용체인 안지오텐신전환효소(ACE)2가 만난다. 볼트와 너트처럼 딱 맞아떨어진 단백질과 수용체가 맞물려 세포 안으로 들어온다. 이후 세포 속에서 유전 물질이 복제되고 바이러스가 증식해 세포 밖으로 퍼져 나간다. 이런 과정을 경험한 인체 면역계는 바이러스를 적이라고 인식하고 이에 대응해 싸우는 시스템을...
"우심실 비대, 코로나19 중환자 사망 위험 예고지표" 2020-05-20 09:32:52
인간 세포 속으로 진입하는 데 활용하는 수용체 단백질 안지오텐신 전환효소2(ACE2)는 심장 근육에 유난히 많은 것으로 앞서 밝혀진 바 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심장학회 저널(Journal of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에 발표될 예정이다. skh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흡연, 폐에 코로나19바이러스 수용체 증가시켜…감염위험 커져" 2020-05-19 10:50:30
바이러스가 인체에 침투할 때 결합하는 효소인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2(ACE2)가 더 많이 생성된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결과는 흡연자 중에 코로나19 중증 환자가 많은 이유를 설명해 준다면서도, 이 변화는 가역적이어서 흡연을 중단하면 중증 코로나19에 걸릴 위험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코로나19는 유행...
"만성질환 약, 코로나 감염 위험 근거 없다" 2020-05-08 16:59:39
않다. 고혈압 환자들은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ACEi)와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ARBs) 성분 약이 문제였다. 코로나19가 ACE2 수용체와 결합하기 때문에 몸속 ACE 발현율을 높일 위험이 있는 이들 약을 먹으면 질환에 더 취약해질 수 있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고혈압학회는 “ACE 증가가 어떤 영향을 주는지 임상...
네덜란드 연구팀 "코로나19, 장(腸) 세포도 감염시킨다" 2020-05-06 09:30:25
이용하는 숙주 세포의 안지오텐신 전환효소2(ACE2) 수용체가 폐 세포만이 아니라 장 세포에도 많으며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바로 이 ACE2 수용체를 통해 장 세포 속으로 들어간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MedicalXpress)가 4일 보도했다. 인간의 장 오가노이드(organoid)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이 같은...
"코로나19, 腸 세포도 감염시킨다" 2020-05-06 09:08:49
이용하는 숙주 세포의 안지오텐신 전환효소2(ACE2) 수용체가 폐 세포만이 아니라 장 세포에도 많으며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바로 이 ACE2 수용체를 통해 장 세포 속으로 들어간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MedicalXpress)가 4일 보도했다. 인간의 장 오가노이드(organoid)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이 같은...
"혈압약, 코로나19 증상 악화와 무관" 2020-05-02 09:42:16
특히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CE) 억제제와 안지오텐신2 수용체 차단제(ARB)가 문제가 될 수 있다는 동물실험 결과도 나왔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세포에 침투할 때 숙주 세포의 ACE2 단백질과 결합하는데 이 두 가지 혈압약이 ACE2 단백질을 증가시켜 바이러스의 세포 진입을 쉽게 만든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반대되는...
코로나19 치료제 개발하려면…"바이러스 생활사 차단해야" 2020-05-01 08:01:00
세포의 안지오텐신 전환효소2(ACE2) 수용체에 결합시킨다. 바이러스의 돌기가 '열쇠'라면, 숙주세포의 수용체는 '자물쇠'인 셈이다. 결합 뒤에는 바이러스 막과 숙주 세포막이 융합되며 바이러스 입자 속 유전물질과 단백질이 숙주세포 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숙주 세포의 세포질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스타틴, 유방암 항암치료 부작용 억제" 2020-03-23 09:37:01
치료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고혈압약인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와 베타 차단제가 이 특정 항암제의 심장 독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임상시험도 있었지만 효과가 그리 크지 않은 데다 환자들이 견딜 수 있는 내약성이 약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심장학회(American College of...
[건강이 최고] WHO, 이부프로펜 쓰지 말라더니…이틀만에 권고철회 2020-03-21 07:00:01
장, 신장, 혈관 상피세포에서 만들어지는 안지오텐신변환효소2(ACE2)를 통해 표적세포에 결합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랜싯에 발표된 논문이 의학적인 근거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논란이 일자 연구에 참여한 바젤대학병원 연구팀조차 별도의 성명서에서 "이부프로펜을 복용하는 것이 코로나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