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최고 수준의 밝기'…옷처럼 입는 디스플레이 개발 2017-08-24 10:45:13
= 최고 수준의 밝기와 유연함을 자랑하는 입는 디스플레이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최경철 교수 연구팀은 유연한 옷감 위에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소자 스스로 빛을 내는 디스플레이)를 구현해 냈다고 24일 밝혔다. 최근 사물인터넷(IoT)과 웨어러블 기기 발달로 직물 기반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기술이...
[이달의 산업기술상] 강상우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센터장, 차세대 센서 핵심소재 상용화 기술 선보여 2017-08-17 18:37:39
이황화몰리브덴을 유연기판 소재인 플라스틱 위에 직접 합성할 수 있는 상용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기존 이차원 소재는 500도 이상의 고온에서 합성이 가능해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는 유연소자 상용화에 걸림돌로 작용했다. 연구팀은 350도 이하 저온에서 고품질, 고균일, 대면적 이황화몰리브덴을 합성하는...
[BIZ 이슈진단] "한국, 복합소재전시회 계기로 차세대 소재강국 도약할 것" 2017-07-27 17:46:23
pcb 기판소재, 신축성 인터페이스 기판 및 유연전극 소재, 전자파를 조절할 수 있는 흡차폐 가변형 소재, 3d 프린팅용 기능성 복합재료, 고전도성 그래핀 나노 복합재료에 이르기까지 사용 범위가 넓어지고 있습니다. 관련 기업들과 대학 연구소 등이 뭉쳐서 미래에 대처해 나가야 합니다.정리=김낙훈 중소기업전문 기자...
차세대 마이크로LED 대량생산 기술 국내 개발 2017-07-24 12:00:03
소자를 기판의 원하는 위치에 전사(轉寫)했다. 이는 롤러에 원하는 색상의 잉크를 묻히고 종이 위에 그 색을 옮기는 과정과 비슷하다. 연구진은 이어 이 기판 위에 발광다이오드(LED) 소자를 입힌 롤 스탬프를 굴려 두 소자가 결합된 구조의 능동매트릭스(AM)형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가 완성되도록 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3D프린터로 영역 넓히는 창원 대건테크 2017-06-28 21:47:38
발달하며 여기 들어가는 전자회로 역시 유연한 기판 위에 집적화하려는 연구가 활발하다.설 연구원은 “개발된 기술을 적용하면 기존의 거시적인 구조물을 제작하는 것에 그쳤던 3d 프린팅 기술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며 “다양한 소재로 마이크로, 나노미터 수준의 기능성 3차원 미세구조물을 제작할...
가시광 100% 투과하는 신소재 투명 반도체 개발 2017-06-28 15:30:30
높이기 위해서는 뜨거운 열처리가 필요한데, 유연한 기판에 적용하려 해도 기판이 고온에 취약해 유연한 소재로 만들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서 교수는 "이번에 발견한 신소재는 두께가 두껍지 않아 100%에 가까운 가시광 투과율을 보이고, 낮은 온도에서도 공정이 가능해 유연한 전자 소재로 만들 수 있다"라며 "또 1년...
플라스틱 기판서 나노막대 제작 60분에서 1분으로 단축 2017-06-15 11:35:22
= 플라스틱 기판에서 나노막대를 빨리 만들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태양전지나 LED와 같은 광소자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포항공대(POSTEC)는 이종람 신소재공학과 교수와 박사과정 박재용씨 연구팀은 전기회로가 있는 플라스틱 기판에서 나노막대를 기존보다 수백 배 빠르게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을...
"머리카락보다 가는 전자회로, 펜으로 쓰듯 3차원 인쇄 가능"(종합) 2017-06-12 13:31:03
여기 들어가는 전자회로 역시 유연한 기판 위에 집적화하려는 연구가 세계적으로 활발하다. 이런 연구의 하나로, 연구진은 기존 2차원(2D) 전자회로를 3차원(3D)으로 인쇄해 집적도를 높이기로 했다. 설승권 연구원은 이날 정부과천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아이언맨 수트' 제작을 예로 들겠다"며 "기존 3D...
"머리카락보다 가는 전자회로, 이제 3차원으로 인쇄한다" 2017-06-12 12:00:06
유연한 기판 위에 집적화하려는 연구가 세계적으로 활발하다. 이런 연구의 하나로, 연구진은 기존 2차원 전자회로를 3차원으로 인쇄해 집적도를 높이기로 했다. 우선 탄소나노튜브와 은 나노입자를 이용해 이런 3차원(3D) 프린팅에 적용할 수 있는 잉크를 개발했다. 이어 이 잉크로 다양한 3차원 형상을 인쇄하는 방법도...
DGIST 연구팀 제브라피시 뇌파 다채널로 측정 성공 2017-06-12 10:39:24
아가미 호흡을 지속시키는 기술을 고안해 유연한 회로기판으로 만든 전극으로 한 시간 동안 안정적으로 다채널 뇌파 측정을 했다. 단일 채널로 뇌파를 측정하면 어느 부위에서 뇌파가 발생해 어느 방향으로 전파하는지 관찰할 수 없다. 다채널 뇌파 측정 기술은 그런 관찰과 연구가 가능해 뇌전증 같은 뇌 신경계 질환 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