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월요전망대] 이창용 총재 물가안정 간담회…한은, 내년 금리인하 속도내나 2024-12-15 17:22:55
한은은 19일 ‘우리 경제의 잠재성장률과 향후 전망’ 보고서도 공개한다. 한은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우리나라 잠재성장률을 ‘2% 내외’로 언급하고 있는데, 이날 새로운 추정치가 공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이날 새벽 발표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결과도 한국 경제에 작지 않은 영향을 줄...
세계은행 "미얀마 올해 GDP 1 → -1% 하향 조정…내전 여파" 2024-12-11 18:19:28
2023 회계연도 GDP 성장률이 3.4%를 기록했다고 밝혔으며,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3.8%로 제시한 바 있다. WB는 2021년 쿠데타 이후 이어진 혼란에 물가 상승, 통화 가치 하락, 전력·노동력 부족 등으로 미얀마 경제가 어려움에 부닥쳤다고 분석했다. 또한 지난 9월 슈퍼 태풍 야기 영향으로 발생한 홍수가 상황을 더...
안 그래도 비상인데…계엄 사태에 경제 '표류' [세종LTE] 2024-12-11 17:41:51
"인구 구조 변화에 따라서 고용 상황을 보는 시각이 바뀔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앵커> 아직 탄핵 리스크에 따른 경제 충격이 본격적으로 나타나지도 않았는데, 해외기관들은 줄줄이 우리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낮추고 있습니다. 박 기자, 성장률을 낮추는 이유가 그나마 버티고 있는 우리 수출마저 꺾일...
[이슈프리즘] '잃어버린 20년'의 조짐, 韓증시 2024-12-09 17:36:04
생산가능인구 감소로 저성장이 고착화한 탓이다. 1995년 생산가능인구가 정점을 찍으면서 일본의 잠재성장률이 급락했다.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1990년 4%대에서 2012년 1.4%로 떨어졌다. 23년간 연평균 성장률은 1.1%에 그쳤다. 한국도 2016년 생산가능인구가 정점을 찍은 후 성장률이 추락하고 있다. 올해 2% 초반에...
'피벗'으로 요약되는 2024년…2025년은? [국제경제읽기 한상춘] 2024-12-09 07:28:08
성장률에 잠재성장률을 뺀 값에 정책반응 계수를 곱한 후 모두 더해 산출한다.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테일러 준칙에 의해 도출된 적정수준보다 높아 2022년 3월 이후 Fed의 금리 인상이 얼마나 급하게 단행했던가를 입증해 주고 있다. 2021년 5월 이후 인플레이션이 불거질 당시 '일시적'이라 오판하고 평균...
"글로벌사우스도 자국 보호주의…中과 가격·기술경쟁도 격화" 2024-12-08 08:01:00
상대국으로 주목받고 있다. 높은 인구 증가율과 경제 성장률, 풍부한 핵심자원 등을 갖춰 시장 잠재력이 크다는 점도 매력적인 요소다. 그러나 최근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도 주요국과 마찬가지로 자국 보호주의로 선회하고 있어 정책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있다. 아세안의 전기차 생산 허브화 정책을 추진하는 태국,...
[아르헨 밀레이 1년] '전기톱 개혁' 명암 뚜렷…물가 안정 속 빈곤층 급증 2024-12-08 08:00:07
후 520만명 빈곤층 전락…실업률 ↑·경제성장률 뒷걸음질 [※편집자주 = 20년 가까이 경제난을 겪는 남미 아르헨티나에서 개혁과 기득권 심판론을 내세우며 취임한 하비에르 밀레이 아르헨티나 대통령이 오는 10일(현지시간) 집권 1년을 맞습니다. 극단적인 시장경제 원칙주의자로 통하는 밀레이의 정책은 각종 경제지표를...
미국 11월 실업률 4.2%로 상승…국채금리 일제히 하락세 2024-12-06 23:08:36
상태에 놓인 인구는 710만 명으로 거의 변화가 없었고, 노동 시장에 참여한 인구의 주당 근무 시간은 34.4시간으로 전월 34.2시간에서 소폭 증가하는 등 노동시장 수요는 견고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롬 파월 미 연준(Fed) 의장은 지난 4일 뉴욕타임스 딜북 콘퍼런스 대담 중 “미국 경제는 현재 매우 강하고, 성장률은 약...
일본 넘어서는 인도 '세계 4위 경제 대국' 된다 2024-12-05 17:49:13
5.2%의 성장률을 나타내는 데 그쳤다. 인도는 내년에도 6.6%의 높은 성장률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코노미스트는 “인도의 인구 수는 이미 중국을 추월했다”며 “경제 성장률 역시 향후 몇 년 동안 중국보다 2~3%포인트 더 높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이 중국 견제에 나서면서 인도는 지정학적...
3박자 이론으로 본 한국 계엄조치 영향 평가! 주요국 ‘폴리코노미’·‘폴리큐리티’ 비교해서! [한상춘의 지금세계는] 2024-12-05 07:32:07
- 펀더멘털, 성장률과 주가 상승률 세계 최고 - 트럼프 당선 후 3대 지수, 최고치 행진 지속 - 달러 가치, 세계 모든 통화에 대해 강세 현상 - 애틀란타 GDP 나우, 4분기 성장률 3.2% 예상 - 트럼프노믹스, 양질의 노동과 자본·기업 유치 - USA → USW(united states of world), ‘세계 지배’ Q. 반면에 프랑스를 비롯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