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진화의 역설? '기억 연결' 방해 유전자로 기억력 되살린다 2022-05-27 17:24:12
신경생물학 교수팀이 수행한 이 연구 결과는 25일(현지시간) 저널 '네이처'(Nature)에 논문으로 실렸다. 인간 세포의 표면엔 많은 수용체가 있다. 어떤 분자가 세포에 들어가려면 자기에게 맞는 수용체와 먼저 결합해야 한다. 세포를 방(房)이라고 하면 표면 수용체는 문을 여는 손잡이와 같다. 실바 교수팀은 CCR...
스카이다이버 자세로 나뭇가지 사이서 활공하는 도롱뇽 2022-05-25 11:50:15
급할 땐 이런 고난도 자세로 나무 사이를 건너뛰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물학 저널 발행사인 '셀프레스'(Cell Press)에 따르면 사우스플로리다대학의 생물학 박사과정 연구원 크리스천 브라운이 이끄는 연구팀은 무폐도롱뇽류인 '방랑도롱뇽'(wandering salamander)이 삼나무 가지를 옮겨 다니는 비행...
박물관 수장고서 150년 만에 빛 본 오리너구리의 항변 2022-05-12 15:55:02
아는 생물학의 기본 상식이 돼 있다. 하지만 19세기 말만 해도 모든 포유류는 어미의 태반에서 일정 기간 자란 뒤 태어나는 태생(胎生)만 있는 것으로 알고 있었으며, 알을 낳는 오리너구리의 존재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뜨거운 논쟁적 사안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영국 동물학자 윌리엄 콜드웰(1859∼1941)이 호주 현장...
말벌 '윙윙' 소리 흉내 내 포식자 올빼미 피하는 박쥐 2022-05-10 00:01:01
것으로 제시됐다. 생물학 저널 발행사인 '셀 프레스'(Cell Press)에 따르면 이탈리아 '나폴리 페데리코 2세 대학'의 생태학 교수 다닐로 루소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큰생쥐귀박쥐'(Myotis myotis)가 말벌의 윙윙거리는 소리를 모방해 올빼미를 피하는 것을 규명한 연구 결과를 '커런트...
짝짓기 뒤 잡아먹히지 않으려 번개처럼 내빼는 수컷 거미 2022-04-26 00:01:00
처음으로 밝혀졌다. 생물학 저널 발행사인 '셀 프레스'(Cell Press)에 따르면 중국 후베이(湖北)대학 생명과학 부교수 장시창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왕관응달거미'(Philoponella prominens)의 성 선택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수컷의 사출을 파악하고 분석한 결과를 '커런트 바이올로지'(Current...
동물 덩치와 먹이 U자형 곡선 인간이 와해 시켜 2022-04-22 16:50:38
생물학자 윌리엄 기어티 박사 등이 참여한 연구팀은 현존 동물과 멸종 화석을 분석해 얻은 이런 결과를 과학 저널 '네이처 생태 및 진화'(Nature Ecology and Evolution)에 발표했다. 포유류의 덩치와 먹이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를 갖고있다. 먹이는 에너지 소비량으로 이어져 동물의 성장과 크기를 결정하고,...
"인간처럼 흡혈박쥐도 우연히 만난 룸메이트와 친구된다" 2022-04-10 07:00:00
논문의 교신 저자인 오하이오대 진화·생태·유기체 생물학과 제럴드 카터 조교수는 연구 결과에 대해 "놀라운 패턴"이라며 "우리가 상상한 것은 박쥐들이 잠시 함께 있다가 결국 서로 빠르게 헤어지는 모습이었지만 9주가 지난 뒤에도 실험 박쥐들은 비교 대상 박쥐보다 더 많이 서로의 털을 손질해주고 있었다"고 말했다....
티라노사우루스 짧은 앞다리는 물리지 않기위한 진화? 2022-04-06 16:37:19
생물학 국제학술지인 '폴란드 고생물학 회보'(Acta Palaeontologia Polonica)에 발표했다. 집단 사냥을 하는 T. 렉스가 먹잇감에 한꺼번에 달려들어 머리를 들이밀고 경쟁적으로 살점과 뼈를 뜯어 먹다가 지나치게 접근한 옆의 T. 렉스 다리를 경고의 의미로 물어뜯을 수도 있는데, 출혈이나 감염 등으로 목숨까지...
개의 귀여운 표정 비밀은…"얼굴 근육, 늑대와 다르게 진화" 2022-04-06 16:33:12
것으로 나타났다. 콜로라도대 진화생물학·동물행동학자인 마크 베코프 명예교수는 그러나 "사람이 키운 코요테나 늑대도 인간과 잘 소통할 수 있지만 누구도 개와 비교해 소통 능력을 연구한 적은 없다"면서 "개의 얼굴 근육이 개의 성격에 큰 차이를 만들어내지 않을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scitech@yna.co.kr (끝)...
먹잇감 칭칭 감고 통째로 삼키는 뱀은 어떻게 숨쉬나 2022-03-25 16:47:22
해답을 내놓았다. 영국의 비영리 생물학 출판 조직인 '생물학자 동아리'(The Company of Biologists)에 따르면 브라운대학 박사후 연구원 존 카파노가 이끄는 연구팀은 보아뱀이 먹잇감을 죄거나 소화할 때 압박받지 않는 부위의 흉곽(ribcage)을 움직여 숨을 쉰다는 결과를 '실험생물학 저널'(Journal 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