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블랙홀 가장자리서 자기장이?…`블랙홀 미스터리` 풀리나 2021-03-24 23:27:13
덱스터 교수에 따르면 M87 블랙홀 주변 뜨거운 가스 일부가 가장자리의 자기장 압력 때문에 블랙홀 중심부의 강력한 중력 에너지를 이기고 일부가 제트의 형태로 날아가는 것으로 추정된다. 천문연 손봉원 박사는 "천문연이 보유한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을 이용해 M87 블랙홀 주변 제트에 대한 추가 관측을 하고...
안성시, '안성맞춤랜드' 한국관광공사 '강소형 잠재관광지 공모' 선정 2021-02-15 17:11:19
유명관광지의 편중 현상을 완화하고 잠재력 높은 유망관광지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는 곳을 발굴해 체계적인 마케팅으로 새로운 관광명소로 육성하는 사업이다. 서류심사 및 현장실사를 통해 사업대상지를 최종 선정됐다. 안성맞춤랜드는 남사당공연장을 비롯해 박두진문학관, 천문과학관, 공예문화센터, 야생화단지 등...
'태후'·'이태원클라쓰'·'조선구마사'의 공통점 [연예 마켓+] 2021-02-07 08:04:01
이와 무관하지 않다. 쇼박스의 경우 '극장 공동화' 현상으로 지난해 3분기까지 25억 원의 영업적자를 냈다. JTBC에서 방영된 '이태원 클라쓰'가 성공을 거두지 않았다면 쇼박스의 재정 상황은 더욱 악화됐을 평가를 받았다. 여기에 신생 투자배급사인 에이스메이커무비웍스도 오는 17일 방영되는 KBS 2TV...
고려시대 우리나라에서도 종종 볼 수 있었던 황홀한 오로라…지구 대기를 교란시켜 통신과 GPS에 영향 주기도 2021-01-25 09:00:22
볼 수 있었는데 경북 영천에 있는 한국천문연구원 보현산 천문대에서 붉은색 오로라를 관측해 화제가 되었다. 극지방에서 보이는 오로라와 달리 중위도에서는 초록색 오로라 대신 수백㎞ 상공에서 발생하는 붉은색 오로라만 볼 수 있다. 왜? 지구는 둥글기 때문에 우리 위치에서는 아래쪽에 나타나는 초록색 오로라는 보이...
"내년 5월에 달이 사라지는 `개기월식` 일어난다" 2020-12-21 10:16:53
내년 5월에는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완전히 가려지는 개기월식 현상을 볼 수 있을 전망이다. 21일 한국천문연구원에 따르면 서울을 기준으로 내년 5월 26일 오후 8시 9분 30초부터 8시 18분 42초까지 9분 12초 동안 개기월식을 볼 수 있다. 이 월식은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메리카, 아시아, 호주, 남극, 태평양과 인도양에...
2분간 한낮의 어둠…칠레·아르헨티나서 개기일식 '우주쇼' 2020-12-15 04:10:17
아르헨티나 텔람통신은 전했다. 드물게 나타나는 천문현상인 개기일식은 태양계의 '슈퍼볼'이라고 할 정도로 빅 이벤트다. 이번 개기일식이 관측된 유일한 육지 지역인 칠레와 아르헨티나 모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이동이 제한된 상태지만, 많은 이들이 개기일식을 볼 수 있는 지역으로 이동...
[사이테크 플러스] 연말 '우주쇼'…14일 쌍둥이자리 유성우·21일 목성-토성 근접 2020-12-08 06:05:00
천문연구원과 천문학계에 따르면 쌍둥이자리 유성우가 오는 14일 극대기를 맞아 별똥별 우주쇼를 펼치고, 크리스마스를 앞둔 21일 저녁에는 목성과 토성이 중세 이후 가장 가까이 근접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유성우는 소행성이나 혜성이 태양 인력에 의해 부서지면서 우주공간에 뿌려놓은 모래나 자갈 크기의 부스러기가...
[책꽂이] 플렉스 등 2020-11-12 17:51:19
정치 이슈와 사회·문화 현상을 담았다. (정호재 지음, 눌민, 472쪽, 2만1000원) 아동·청소년 ●기네스 세계기록 2021 천문지리, 자연, 역사, 과학, 인문, 스포츠, 예술 등의 분야에서 세계 최고 기록으로 인정된 신기록을 담았다. (기네스 세계기록 지음, 신용우 옮김, 이덴슬리벨, 256쪽, 4만6000원) ●반짝반짝 궁전 속...
[사이테크 플러스] 폴란드·한국 연구팀 "지구보다 작은 떠돌이 외계행성 발견" 2020-10-30 09:31:12
'중력 마이크로렌즈' 현상을 관측해 지구보다 작은 떠돌이 외계행성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4천 개가 넘는 외계행성이 발견됐다. 대부분의 외계행성이 태양계 내의 행성들과는 매우 다른 것으로 밝혀졌지만 한가지 공통점은 중심별 주위를 공전하고 있다는 것이다. 외계행성은 스스로 빛을 내지 않아 직접...
'1초에 2.5京번 연산' 슈퍼컴, 우주 진화의 비밀 풀어줄까 2020-10-23 17:27:14
노벨물리학상이 우주의 기원을 밝히는 천문학 분야에 돌아갔다. 올해는 우주에서 가장 미스터리한 존재인 블랙홀을 이론·실험적으로 규명한 학자들이 상을 받았고, 지난해는 ‘빅뱅’ 이후 우주 진화 과정을 연구한 학자들이 수상했다. 우주를 연구하는 이유는 이 과정에서 파생되는 기술이 무궁무진하기 때문이다. 이를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