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40대男 4명 중 1명 '싱글'…20년 전보다 7배 늘었다 2024-12-19 14:26:28
남성은 80.0%, 여성은 72.5%였다. 한편 2020년 기준 전국 13∼34세 청년 중 가구 내 가족 돌봄을 주로 담당하는 가족돌봄청년은 15만3천44명으로 추정됐다. 13∼34세 인구의 1.3%에 해당한다. 이들 가운데 25∼34세가 55.1%로 가장 많고, 학령기인 13∼18세도 16.0%를 차지했다. 어머니를 돌보는 경우가 30% 이상으로...
"男, 女보다 결혼 의향 높아"…부정적 인식↑ 2024-12-19 13:44:33
안전 위협과 기후 위기 역시 청년 여성이 남성보다 더 많이 걱정했다. 2000년 이후 지역 간 인구 불균형은 '출생'보다 '지역 간 인구이동'이 더 주요한 요인이라는 연구도 눈에 띈다. 핵심 요인은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의 인구 이동이었는데, "20∼30대 이동은 학업부터 직업, 가족 형성·주거 및 가족...
"설마 내 일자리도?"…AI가 대체 가능한 직업 뭐길래 '화들짝' 2024-12-19 12:00:05
논문이 실렸다. 한국의 사회 동향은 우리 사회의 인구, 노동, 주거, 웰빙 등과 관련한 다양한 논문을 종합한 자료다. 올해는 가족돌봄청년, 비만 위험, 중장년의 사회적 관계, AI의 일자리 영향 등 최근 사회에서 주목받고 있는 주제를 실었다. 전병유 한신대 교수가 작성한 'AI가 일자리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에...
20년간 40대 미혼비율 5배 이상 증가…"결혼 긍정인식 감소추세" 2024-12-19 12:00:00
가족돌봄…40%는 경제적 책임도 함께 부담 2020년 기준 전국 13∼34세 청년 중 가구 내 가족 돌봄을 주로 담당하는 가족돌봄청년은 15만3천44명으로 추정됐다. 13∼34세 인구의 1.3%에 해당한다. 이들 가운데 25∼34세가 55.1%로 가장 많고, 학령기인 13∼18세도 16.0%를 차지했다. 어머니를 돌보는 경우가 30% 이상으로 ...
충남도, 공주·보령시 등 서남부권 10개 시군 성장동력 발굴 2024-12-18 20:52:50
및 청년창업센터 조성(170억원) 등이다. 위원회는 시·군별 인구, 재정·소득, 고용·산업, 기반, 생활환경, 교육·문화, 복지 등 7개 부문, 17개 지표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인구소멸 위기 극복을 위한 중점 사업을 선정했다. 구체적으로 신산업 육성, 원도심 활성화, 인구 유입 및 정주 여건 개선 등이다. 위원회는...
2024년 기업이 뽑은 올해의 HR 이슈는? 2024-12-18 11:11:28
이슈’를 조사한 결과, ‘청년층 구인난과 조기퇴사’가 40.8%(복수응답)로 1위로 꼽혔다. 인구구조 변화로 청년 인구는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통계청에 따르면 일도 구직활동도 하지 않는 ‘쉬었음’ 청년층(25~34세) 인구는 올해 3분기 42만2000명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25.4% 늘었다....
국내 외국인 취업자 100만 시대…'한국이 골라받는 시대' 끝나나 2024-12-17 16:19:47
'쉬었음' 인구가 240여만명에 달하는 취업난 속에 외국인 노동자를 늘리는 것이 옳으냐는 지적도 한다. 다만 가장 문제가 되는 청년 쉬었음 인구 증가는 눈높이에 맞는 일자리 부족이 주요인으로 꼽힌다. 아직은 외국인 노동자가 청년 일자리를 위협하는 단계는 아닌 셈이다. 전문가들은 '노동력을 들여오면,...
경북경제진흥원, 청년정주 지원사업 성과공유회 개최 2024-12-13 18:48:02
내부청년 유출방지 및 인구소멸위기 극복을 위하여 실시하고 있다. 지금까지 300여 팀이 경북 각지에서 지역특산물과 환경에 맞는 비즈니스모델로 인구소멸지역에 새로운 활력을 넣고 있다. 청년정주 지원사업은 청년정주지원센터를 통해 지원되는 사업으로 현재 창업지원을 받고있는 참여자뿐 아니라, 지원이 종료된...
"규제 혁신해 민간참여 확대해야 시니어주택 활성화" [집코노미-집 100세 시대] 2024-12-12 07:00:05
유망할 것"이라고 말했다. 2050년께 인구 40% 이상이 65세 이상 고령자가 될 것이란 예상에 대한 준비도 해야한다고 지적했다. 40%의 시니어를 위해 60%의 청년과 중장년층이 시니어 산업에 종사하는 것이야말로 비효율적이라는 것이다. 그는 "일본과 같은 경우는 외국인 요양보호사들에게 비자를 열어줬다"며 "외국인...
건설기술인 평균 연령 51.2세…20∼30대 비중 15.7% 2024-12-12 06:00:04
청년 부족이 심화하는 원인은 국가 인구구조 변화 외에 건설산업에 대한 고정 관념 등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했다. 예컨대 청년세대는 개인의 취향이나 의사를 중시하고, 수평적 의사소통에 익숙하며 비대면 의사소통을 선호하는 특성이 있는데 건설업무 문화는 개인보다 조직을 중시하고, 팀워크를 강조하며 수직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