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스태그플레이션 확률 낮다"는 韓銀…무슨 근거로? 2022-06-12 17:17:14
금리 인상 등과 같은 총수요 관리대책에서 총공급 중시대책으로 바뀌고 있는 가운데 1980년 초의 감세뿐만 아니라 규제 완화, 노사 화합, 생산성 증대, 인프라 확충, 공급망 확보 등 가용 가능한 모든 수단이 동원되고 있다. 문제는 한국은행의 입장이다. 우리 경제는 그 어느 국가보다 대외환경에 크게 의존하고 있지만...
세계 경제와 증시 최대현안 `인플레이션`…그 실체와 과연 극복될 수 있나? [국제경제읽기 한상춘] 2022-06-07 12:46:23
올라가는 스태그플레이션 국면이 발생한다. 반대로 비용여건이 개선돼 총공급 곡선이 우측(AgS1→AgS2)으로 이동되면 성장률이 높아지고 인플레이션율이 낮아지는 ‘골디락스’ 국면이 도래한다. <그림 2> 총공급 곡선과 총수요 곡선(자료: 한국경제신문) 1913년 Fed가 설립 이래로 ‘인플레...
윤 대통령의 감세 vs 바이든의 증세…세금으로 물가를 잡는다고 ? 2022-06-06 17:17:28
줄면 투자를 촉진하고 생산 비용이 절감되면 총공급이 늘어날 수 있다. 와 같이 공급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소득세 감세도 노동 공급을 늘리고, 임금 인상 압박을 줄여 물가 압력을 낮출 수 있다. 로널드 레이건 전 미국 대통령의 ‘공급 중시 경제정책’이 감세를 통해 물가 안정을 꾀한 사례로 꼽힌다. 레...
4월 PCE로 재확인된 인플레 peak out론 추락하던 빅테크와 대형주, 기사회생되나? [한상춘의 지금 세계는] 2022-05-30 08:30:37
총수요 요인과 총공급 요인, vicious cycle - 디지털 요인 가세, 심리요인과 네트워킹 효과 - 미첼 “비관론은 신생아가 아니라 거인의 위력” - 작년 4분기 ‘인플레 갭’, 올해 1분기 ‘디플레 갭’ Q. 인플레와 경기와 관련된 양대 논쟁이 거센 만큼 벌써부터 다음 달 10일 전후에 발표될 CPI 상승률에 벌써부터 관심이...
[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美 옐런·中 리커창의 반란…증시에 대형 호재되나 2022-05-29 17:11:54
중시 경제학의 효과를 살펴보면 감세 등으로 총공급 곡선이 우축(AS1→AS2)으로 이동하면 성장률이 높아지고 물가는 떨어진다(그림 참조). 증시 입장에서는 ‘경제성장률 수준’보다는 ‘경기 저점’이 언제 형성되느냐가 더 중요하다. 중국과 미국이 공급 중시 대책을 추진한다면 올해 2분기에 저점이 형성될 가능성이 높...
美?中 경제,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가시화, 시진핑과 바이든 주도력 약화, 증시에 호재? [한상춘의 지금 세계는] 2022-05-27 09:09:47
봉쇄조치, 총공급곡선 좌측 ‘스태그플레이션’ - 경제봉쇄조치 해제, 총공급곡선 우측으로 이동 - 이때 성장률 높아지고 물가는 하락 ‘골디락스’ - 감세 조치와 병행할 경우, 골디락스 효과 확대 Q. 중국과 마찬가지로 미국도 최근에 발표되는 경제지표가 좋지 않아 경기침체 우려가 본격화되고 있지 않습니까? - 올해...
테슬라 마진콜 위기, 연준이 살렸다! 韓 경제 복합위기 징후, 한은이 잡을 수 있나? [한상춘의 지금 세계는] 2022-05-26 09:22:56
좋은 연준, 왜 금리인상에 신중할까? - 금리 올리는데 추경, 새 정부도 반복해야 하는지? - 복합위기 해법, 정부 주도보다 국민과 풀어가야 - 양극화 심화, 통화정책 핵심 타깃 ‘하위층’ 겨냥 - 금리인상, 총공급측 요인이 강할 때는 ‘성장 훼손’ - sacrifice ratio, 한국은 인플레보다 실업률에 민감 지금까지 도움...
원달러 환율 급등 `제2 외환위기설`…상시적인 한미 통화스와프 체결로 잡자 [국제경제읽기 한상춘] 2022-05-23 10:30:25
의장은 최근에 인플레이션은 총공급 요인에 기인하는 만큼 출구전략 추진만으로 한계가 있음을 인정했다. 파월 의장이 인플레이션 성격을 ‘일시적’이라고 고집할 당시부터 이 점을 간파한 재닛 옐런 재무장관은 총공급 요인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수입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해 달러 강세를 용인해 왔다. ‘제2의 루빈...
美 증시, 우려했던 더블 데드 캣 바운스 발생, 세계 4대 석학의 해법 `주목` [한상춘의 지금 세계는] 2022-05-19 08:39:47
크루그먼, 총공급요인→ 완만한 금리인상 적절 - 지난 4월, 서머스와 옐런 간 경기논쟁 관심 - 서머스 ‘구조적 장기침체론’ vs. 옐런 ‘낙관론’ Q. 오늘 경기침체 우려로 미 증시가 크게 하락한 상황이라 루비니 교수가 어떤 입장을 보일 것인가도 주목을 받지 않을까 싶은데요? - 2020년 3월, 루비니 vs. 버냉키 ‘1차...
美中 지표 악화, 세계 경제 스태그플레이션? 세계 증시, 그럼에도 버티는 이유는? [한상춘의 지금 세계는] 2022-05-17 08:52:47
- 中 인구 지속 증가, 총공급곡선 우측으로 이동 - 이때 세계성장률 높아지고, 물가는 하락…골디락스 - 인구 감소, 총공급곡선 좌측 이동…스태그플레이션 中 인구 감소, 각국 통화정책과 국민경제에 변수 Q. 인플레가 증폭되는 상황에서 경제지표가 빠르게 악화됨에 따라 각국 중앙은행의 고민은 늘어가지 않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