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2차전지 수명 늘릴 '신소재' 찾았다 2021-10-31 18:06:01
높아진다. 흑연, 그래핀과 같은 탄소동소체인 풀러렌은 탄소 원자 60개가 오각형과 육각형 꼭짓점으로 연결된 축구공 모양으로 돼 있다. 연구팀은 열증발-냉각법을 활용해 수백 나노미터(㎚) 크기의 풀러렌 입자를 균일하게 얻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를 리튬이온과 조합해 2차전지 음극재에 적용해보니 비용량이...
동아대 이헌상 교수팀, 4세대 나노카본 '그래핀 메소튜브' 개발 2021-10-06 10:13:34
탄소나노튜브와는 다르게 2차원 특성이 유지돼 소프트 젤과 같이 말랑하고, 10만 번 이상 구부려도 원형이 회복되는 탄성을 가지고 있다. 작은 밴드갭을 가진 반도체 특성도 있어 ‘소프트 로보틱스’와 ‘전자피부’, ‘센서’, ‘촉매’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이 교수는 “원자 단일층 두께의 그래핀 시트를...
현대중공업파워시스템, 탄소배출 줄이는 순환연소시스템 구축 2021-09-30 10:27:02
두 개의 반응기 사이를 순환하는 고체입자가 한쪽 반응기에서 공기 중 산소를 흡수하고, 다른 쪽 반응기에서 산소를 공급해 연료를 태우는 기술이다. 별도의 이산화탄소 분리 설비가 없어도 전기 또는 스팀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분리 배출할 수 있는 게 장점이다. 이 기술은 산업용 보일러 등의 이산화탄소...
'홈추족' 취향 저격…"이건 꼭 사야해" 난리난 제품 2021-09-20 10:51:37
회사 측은 설명했다. 또 함께 탑재된 활성 탄소 필터가 가정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제거하며 매우 미세한 단위의 포름알데히드까지 지속적으로 파괴한다고 귀띔했다. 액정표시장치(LCD) 화면을 통해 어떤 입자와 오염물질이 자동 감지되고 있는지 실시간으로 표시해준다. 오디오 회사 하만은 새 사운드바 'JBL 바...
한국화학연구원, 창립 제45주년 맞아 2021-09-01 10:51:37
탄소중립에 적극 기여할 수 있도록 준비 중이다.”고 밝혔다. 이어서 이미혜 원장은 “출연연이란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국가와 사회가 원하는 연구를 수행해야 하는 임무를 가지고 있다. 현재 화학연이 수행하고 있는 핵심소재, 감염병, 탄소중립기술 연구가 이에 해당되며, 출연연으로서 담당해야 하는 역할을 충실히...
한국전기연구원, 차세대 배터리 기술 개발해 11억원에 이전 2021-08-30 14:17:38
실리콘 입자가 부서지거나 전극 박리 및 연속적인 전해액 분해 반응으로 전지 성능을 급격히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도 있어 상용화에 큰 걸림돌이었다. KERI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래핀’에 주목했다. 그래핀은 2차원 탄소나노소재로서 전도성이 매우 우수하고, 전기 화학적으로도 안정하여 실리콘을 전해질로부터...
부경대 '흑연 5배' 고승능 실리콘, 탄소 복합 음극재 개발 2021-08-30 10:30:24
음극재인 흑연보다 용량이 5배나 높은 실리콘/탄소 복합 음극재가 개발됐다. 국립부경대학교는 채수종 교수(공업화학과·사진) 연구팀이 최근 고성능 다공성 실리콘·탄소 복합 음극재를 개발했다고 30일 발표했다. 채 교수 연구팀은 4 나노미터(nm) 미만의 실리콘 일차 입자가 마이크로미터(μm) 크기의 입자를 형성해 972...
제일제강, 신성장 동력 확보 나서…그래핀 첨단 부품 소재 사업 진출 2021-08-27 10:45:23
철강 제품을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그래핀은 탄소원자가 육각형으로 배열된 물질로 강철보다 200배 이상의 강도를 가지고 있다. 현존하는물질중 가장 가볍고, 구리 대비 100배 이상 전기가 잘 통하며 반도체에 사용되는 실리콘 보다 100배 이상 전자의 이동성이 빠르다. 휘어져도 물리적 특성을 잃지 않아 초고속 반도체,...
심장마비 위험 얼마나 큰지 알려주는 진단법 개발됐다 2021-08-10 17:46:43
확인했다. 탄소 원자를 소재로 미세관 형태의 나노 입자를 따로 개발한 것도 면역세포를 식별하고 탐색하기 위해서다. 연구팀은 생쥐의 동맥에 나노 입자를 투입하고 레이저를 조사하는 성능 테스트에 성공했다. 플라크를 발견하면 이 나노 튜브는 레이저를 흡수해 음파를 내보내게 디자인됐다. 인간의 귀에 들리지 않는 이...
수소연료전지 수명 늘릴 백금 나노구조 전극 개발 2021-08-08 12:00:10
입자를 탄소 입자 위에 붙여 안정화하는데, 탄소 입자는 연료 전지를 반복적으로 구동하는 과정에서 부식이 발생해 사라지고 연료 전지의 성능은 저하된다. 연구진은 탄소 입자를 쓰지 않는 안정적인 백금 촉매를 만들기 위해 도장을 찍는 것과 같은 간단한 초미세 나노 인쇄 공정을 반복해 백금 구조물을 적층했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