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정갑영 칼럼] 투표권 없는 기업은 누가 챙기나? 2020-04-05 18:34:28
부합하게 시장친화적인 기조로 전환해야 한다. 이번 선거에서도 유권자인 국민이 정치적 무관심으로 일관하지 말고, 제대로 된 위기대응 전략에 반드시 한 표를 행사해야 한다. 플라톤은 “정치에 참여하지 않는 가장 큰 벌은 자신보다 훨씬 못한 사람들에게 지배당하는 것”이라고 일갈했다. 훗날 지금보다...
안용규 한체대 총장, 신간 발간 2020-03-24 18:01:48
총장(사진)이 《플라톤의 신체관》이라는 책을 냈다. 안 총장은 한국체대와 고려대에서 각각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한국체대 졸업생 최초로 모교 총장에 올랐다. 2005년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 한국 대표팀 사령탑을 지낸 안 총장은 “책에서 플라톤 철학과 인간 신체의 가치 탐구라는 주제를 다뤘다”고 말했다.
[주목! 이 책] 철학자의 식탁 2020-02-13 17:58:03
플라톤과 칸트는 먹는 행위를 깊게 생각하는 일은 권할 만한 게 아니라고 여겼고, 토마스 아퀴나스는 식탐은 죄라고 말했다. 호주 출신 철학자 피터 싱어는 모든 생명체에게 이로운 식생활을 고민했고, 프랑스의 석학 이브 미쇼는 먹는다는 것의 즐거움과 황홀함은 명백한 탐구의 대상이라고 강조했다. 몬트리올 퀘벡대...
웅진씽크빅·교원·대교 'AI 콘텐츠 경쟁'…사교육 시장 판도 바꾼다 2020-01-27 18:34:13
플라톤아카데미 초등교과 전문 공부방’을 시작했다. 국어·수학·사회과학 등 초등생 전 교과와 연계된 스마트 러닝 시스템을 도입할 예정이다. 학습 콘텐츠를 태블릿PC, 전용 디지털 기기에 넣어 회원제로 운영하는 초등생 디지털 학습시장은 진검승부가 시작됐다. 아이스크림에듀(옛 시공미디어)와...
진화하는 AI, 사교육시장 뒤흔든다 2020-01-27 14:19:06
플라톤아카데미 초등교과 전문 공부방’을 시작했다. 국어·수학·사회과학 등 초등생 전 교과와 연계된 스마트 러닝 시스템을 도입할 예정이다. 학습 콘텐츠를 태블릿PC나 전용 디지털 기기에 넣어 회원제로 운영하는 초등생 디지털 학습시장은 진검승부가 시작됐다. 2014~2015년 아이스크림에듀(옛...
2020새출발, 에듀테크 시대를 선도한 지앤비교육 원종호 대표 2020-01-20 09:00:01
전 플라톤이 세계 최초의 대학인 아카데미아에서 제자 아리스토텔레스를 가르쳤던 방식이 패럴랙스의 모델이다. "플라톤은 일찍이 `교육이란 단순히 지식을 주입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영혼이 지혜에 배고파 하도록 만드는 것`이라고 주장한 바 있습니다. 그로부터 2,500년이 지났지만, 우리 사회는 여전히 입시 위주의...
[다시 읽는 명저] "권력은 여론에, 여론은 선전·선동에 좌우" 2020-01-01 17:50:42
철학자로 플라톤을 꼽았다. “선(善)을 최대로 이해한 사람이 통치자가 되는 국가”를 이상적 모델로 제시한 플라톤에 적극 동조했다. “선이 무엇인지 알기 위한 지성의 훈련과 도덕적 훈련을 받지 않은 자들의 정치참여를 막지 못하면 국가는 반드시 부패한다.” 지성·도덕 없는 정치는 국가...
[다시 읽는 명저] "진실을 알면 행동하는 게 지식인 도리" 2019-11-27 18:12:06
지혜 그의 제자 플라톤(BC 428~BC 348)이 저술한 은 9시간30분간 진행된 이 재판에서 스승이 행한 약 3시간 동안의 변론을 정리한 책이다. 기소를 반박하는 최초 변론, 유죄선고 후 변론, 사형선고 후 변론 등 세 부분으로 나뉜다. 플라톤이 쓴 과 을 같이 읽어야 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 은 소크라테스가 탈옥을 권유한...
[책마을] 고대 그리스인은 체육관, 로마인은 목욕탕서 책 읽었다 2019-11-14 18:05:01
6~5세기에 개인도서관이 등장했다. 플라톤이 세운 학당인 아카데메이아와 아리스토텔레스의 리케이온이 대표적이다. 체육관 안에 도서관을 둔 경우도 많았다. 히포크라테스의 고향인 그리스 코스섬에 건립된 코스 도서관, 아테네 도심의 프톨레마이온 도서관 등이 그랬다. 고대 로마의 통치자들도 도서관 건립에 열을 올...
[현승윤 칼럼] 집권 후반기 文정부, '공감능력'이 필요하다 2019-11-13 18:17:16
것 자체가 불공정이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인 플라톤은 “서로 다른 사람들에게 평등은 불평등이 된다”고 말했다. 세상에는 다양한 생명체가 함께 살고 있다. 예컨대 폐로 숨을 쉬는 사람은 땅 위에서, 아가미로 숨을 쉬는 물고기는 물속에서 산다. 이들에게 동일한 가치와 기준을 적용하는 것은 공정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