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최악 가뭄에 '중국 최대 담수호' 포양호 수위 사상 최저 2022-09-24 13:20:20
최대 벼 생산기지인 창장 중·하류의 식량 생산 감소는 물론 중국의 대표적인 광역 경제권인 창장삼각주의 공급망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지난달 말 기준 포양호 일대 농경지 13만㏊가 수확을 포기하는 등 중국의 농경지 4천76만㏊가 가뭄 피해를 본 것으로 집계됐다. pjk@yna.co.kr (끝) <저작권자(c)...
중국 중·남부 33일 연속 가뭄 경보…타들어가는 벼 생산기지 2022-09-20 13:26:53
중·하류는 중국의 대표적인 벼 생산기지다. 중국 전체 벼 생산량의 65.7%가 이곳에서 나온다. 중국 전체 식량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32%에 이른다. 중국 당국은 지난달 말 407만6천㏊의 농경지가 가뭄 피해를 본 것으로 집계했으며 지속된 가뭄으로 피해 면적은 더 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식량 안보를 강조해온...
"중국 가뭄 장기화로 벼 생산 차질 우려 현실화" 2022-09-14 11:56:03
피해를 봐 직접적인 경제 손실이 315억위안(약 6조3천억원)에 달한다며, 이는 최근 5년 간 동기보다 피해 규모보다 훨씬 큰 것이라고 밝혔다.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는 최근 중국 전체 벼 생산량의 65.7%를 차지하는 창장 중·하류의 가뭄으로 올해 중국의 벼 생산량이 700만∼1천400만t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중국...
태풍 '힌남노' 농작물 피해규모 1만5천602㏊…침수 8천897㏊ 2022-09-08 14:34:50
3천300.8㏊, 낙과(과일 떨어짐) 3천403.8㏊로 각각 파악됐다. 작물별 피해 규모는 벼 4천211.4㏊, 채소 4천164.5㏊, 밭작물 3천616.6㏊, 과수 3천580.3㏊, 특용작물 29.3㏊로 집계됐다. 이와 더불어 농경지 69.8㏊가 유실·매몰됐고 비닐하우스 등 농업시설도 21.1㏊가 파손됐다. 또 산란계 187마리, 꿀벌 11군(1군은 꿀벌...
[태풍 힌남노] 농작물 7천141㏊ 피해…"성수품 공급 차질 없어"(종합) 2022-09-07 18:20:27
12만㏊였다. 현재까지 집계된 피해만 고려하면 추석 성수품 공급은 차질없이 이뤄질 전망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침수된 농지 대부분은 벼 논인데 벼는 하루 이틀 정도 물에 잠겨도 생육에 지장이 없고 이미 논에서 물이 많이 빠진 상태"라며 "채소 피해는 남부지역에 집중된 만큼 주로 강원도 고랭지에서 재배되는 배추,...
[태풍 힌남노] 농작물 5천132㏊ 피해…"성수품 공급 차질 없어" 2022-09-07 10:14:19
12만㏊였다. 현재까지 집계된 피해만 고려하면 추석 성수품 공급은 차질없이 이뤄질 전망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침수된 농지 대부분은 벼 논인데 벼는 하루 이틀 정도 물에 잠겨도 생육에 지장이 없고 이미 논에서 물이 많이 빠진 상태"라며 "채소 피해는 남부지역에 집중된 만큼 주로 강원도 고랭지에서 재배되는 배추,...
[태풍 힌남노] 농작물 3천815㏊ 피해…농식품부 "응급복구 총력"(종합) 2022-09-06 16:47:00
각각 24만㏊, 12만㏊였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번 농작물 피해 상황을 보면 침수 2천607.5㏊, 도복(쓰러짐) 538㏊, 과일 떨어짐(낙과) 669㏊, 비닐하우스 파손 0.4㏊로 각각 파악됐다고 밝혔다. 침수된 농지 대부분은 벼 논인 것으로 조사됐다. 통상 벼는 하루 이틀 정도 물에 잠겨도 생육에 지장이 없다. 정황근 농식품부...
[태풍 힌남노] 농작물 1천320㏊ 피해…침수 713㏊·낙과 351㏊ 2022-09-06 11:22:52
따른 농작물 피해 규모가 6일 오전 8시 기준 1천320㏊(헥타르·1㏊=1만㎡) 수준으로 집계됐다. 농림축산식품부는 태풍에 따른 농작물 침수 규모가 713㏊, 도복(쓰러짐)은 256㏊, 과일 떨어짐(낙과)은 351㏊로 각각 파악됐다고 밝혔다. 침수된 농지 대부분은 벼 논인 것으로 조사됐다. 통상 벼는 하루 이틀 정도 물에 잠겨도...
농사짓고 전기도 생산하고…농가 새 수익모델 '영농형태양광' 2022-09-04 12:00:04
겨울철에는 추운 공기의 흐름을 막아 냉해 피해를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 농지법 따라 8년 지나면 철거해야…"규제 대폭 완화해야" 영농형태양광은 국내 재생에너지 전환 및 국가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환경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전체 농지 면적의 약 5%에만 영농형태양광을...
중국 가뭄 확산…식량 생산 차질 우려 커져 2022-09-01 14:50:29
커지고 있다. 특히 밀과 더불와 중국인들의 주요 주식인 벼 수확량 감소가 불가피해 보인다. 중국 전체 식량 생산량의 32%를 차지하는 벼의 주산지가 양쯔강 유역이기 때문이다. 양쯔강 유역은 중국 전체 벼의 65.7%를 생산한다. 이미 이 일대 주민 3천785만명과 농작물 404만5천㏊가 가뭄 피해를 봐 직접적인 경제 손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