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국고채 금리, 한은총재 국회 출석 앞두고 상승…3년물 2.623%(종합) 2025-02-17 17:02:32
17일 국고채 금리가 일제히 상승했다. 이날 서울 채권시장에서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전 거래일보다 1.2bp(1bp=0.01%포인트) 오른 연 2.623%에 장을 마쳤다. 10년물 금리는 연 2.869%로 2.3bp 상승했다. 5년물과 2년물은 각각 1.8bp, 1.4bp 상승해 연 2.729%, 연 2.702%에 마감했다. 20년물은 연 2.774%로 1.4bp 올랐다....
중부발전, 데이터기반 실태점검 2년 연속 우수기관 선정 2025-02-17 17:00:03
한국중부발전은 행정안전부 주관 '2024년 데이터기반행정 실태점검'에서 2년 연속 최고등급인 '우수' 등급을 달성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실태점검은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 전체 679개 기관을 대상으로, 데이터 분석·활용, 공유, 관리체계 등 3개 영역의 10개 지표에 대해 우수,...
IPO 한파 해소됐나...오름테라퓨틱, 이틀만에 상한가 2025-02-17 16:56:19
- 작년 4분기부터 신규 상장주 시장이 얼어붙어 상장만 하면 마이너스 20~30%를 기록했음. - 올해 상장한 12개 종목 중 6개가 시초가가 공모가를 상회했으며 평균 상승률은 36%임. - 신규 상장주 투자 시, 회사의 재료 크기, 적정한 밸류에이션, 락업 및 유통 가능 물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함. - 오름테라퓨틱은...
방산이 끌고 조선이 밀고…4개월 만에 2600 탈환 성공한 코스피 2025-02-17 16:51:00
전체 투자심리를 호전시켰다는 분석이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들어 유가증권시장에서 가장 많이 오른 종목은 한화오션이다. 미국 해군 함정 건조·수리 사업을 수주할 수 있다는 기대감 등에 힘입어 108.57% 뛰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76.72%)와 전진건설로봇(74.93%), 현대로템(68.61%)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이날...
레페리, 알렉스디자인 인수 2주년 성과 발표…'오프라인 컨셉 스토어' 사업 본격 확대 2025-02-17 16:46:09
있는 700여 명의 한국·일본 크리에이터들의 현장 방문과 참여를 유도하여 단순한 제품 판매를 넘어 브랜드의 철학과 가치를 현장에서 생생히 전달하는 차별화된 공간 경험을 제공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해당 컨셉스토어 사업 부문 총괄을 맡고 있는 이동후 레페리 전무는 “세계적인 팝스타 테일러 스위프트는 작년 한 해...
무역 전쟁에 中 배터리 통제…"한국 기업 타격 우려" 2025-02-17 16:42:58
지난해 글로벌 LFP 양극활물질 99%를 생산하며 시장을 지배하고 있다. 한국은 LFP 배터리 시장 후발주자로, 중국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시장 점유율 확대를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의 새로운 규제가 위협이 될 수 있다고 FT는 지적했다. 한국의 한 배터리 제조업체 관계자는 중국 당국에 우려를 전달했고, 규제...
내일장 공략주…켐트로닉스·이수스페셜티케미컬 2025-02-17 16:39:23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따라 시장이 움직일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관세 정책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편 내일장 공략주로는 켐트로닉스와 이수스페셜티케미컬이 제시되었다. 켐트로닉스는 삼성전자의 유리기판 사업 진출 소식에 힘입어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유리기판 핵심...
"中 공세 막아라"…삼성·LG, AI TV로 승부 2025-02-17 16:38:40
기업과의 차별화를 꾀하려는 영향으로 분석된다.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TV 시장에서 TCL은 시장점유율 12.3%(1~3분기 누적 매출 기준)를 기록, 3위를 차지했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각각 28.7%, 16.5%의 점유율로 1, 2위를 지켰지만 “중국 기업의 공세가 심상치 않다”는 평가가 나온다. 중국의...
"경기 침체·소비 위축…서울 리테일 시장 둔화 국면 진입" 2025-02-17 16:36:51
주요 상권 중 5개 상권은 상점 10개 중 1개 이상을 빈 곳으로 유지한 셈이다. 명동(4.4%)만이 10% 미만의 공실률을 나타냈다.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 관계자는 "한국 리테일 시장은 팬데믹 회복 모멘텀을 지나 둔화 국면에 접어들었다"면서 "올해에는 당분간 소비 회복이 어려울 전망"이라고 밝혔다. ohyes@yna.co.kr (끝)...
'아세안 데이터센터 허브'로 떠오르는 말레이시아 2025-02-17 16:29:52
갖춘 한국 건설사에도 기회가 생겨나고 있다. 데이터센터용 케이블, 변압기, 차단기와 비상발전기 수요 증가도 예상되며, 초전도 차단기, 친환경 수소연료전지 등 신기술 친환경 기자재에 기회가 생겨날 것이다. 세 번째는 데이터센터 및 AI 관련 디지털서비스 분야의 기회다. 아직 말레이시아에 진출한 한국 디지털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