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 분야별 송고기사 LIST ]-정치 2019-06-19 15:00:00
함경도서 출항…14일 저녁 해상대기" 190619-0392 정치-022811:06 北, 4월 대중국 수출 2천226만 달러… 유엔 본격 제재 후 최대치 190619-0400 정치-023411:10 한국당, 기재위 전체회의 불참…여야 4당끼리 진행 190619-0407 정치-002111:14 세종시의원 해외 출장·연수 깐깐해진다…조례 개정 190619-0426 정치-024611:20...
[속보] 軍 "北목선 9일 함경도서 출항…14일 저녁 해상대기" 2019-06-19 11:02:25
[속보] 軍 "北목선 9일 함경도서 출항…14일 저녁 해상대기"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유엔 "北, 아태지역 국가 중 인도적 식량지원 가장 시급" 2019-06-19 10:38:06
세계보건기구(WHO)와 북한 당국의 긴밀한 조율하에 함경도, 강원도, 양강도 등에 거주하는 결핵 환자 약 8천명도 식량 지원 대상에 포함했다. 보고서는 지난달 분배감시(monitoring) 과정에서 북한 지방 관리 및 기관 직원 외에도 일반 가정을 비롯한 지원 수혜자들을 직접 만났다며 탁아소, 기숙학교, 병원, 식품생산공장...
[ 분야별 송고기사 LIST ]-정치 2019-06-15 08:00:00
한반도 평화의 신뢰할 수 있는 조언자" 190615-0052 정치-001707:00 [김귀근의 병영톡톡] 신병훈련 '20㎞ 완전군장 행군' 없어지나 190615-0056 정치-000907:03 [북한날씨] 흐리고 평북·함경도 한때 비 --------------------------------------------------------------------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북한날씨] 흐리고 평북·함경도 한때 비 2019-06-15 07:03:00
[북한날씨] 흐리고 평북·함경도 한때 비 (서울=연합뉴스) 최선영 기자 = 북한은 15일 흐리고 평안북도와 함경도 지역에서 가끔 비가 내리겠다고 기상청이 예보했다. 조선중앙방송은 북부 내륙과 동해안 지역에서 흐려서 비와 소나기가 내리겠으며 서해안지역에서 주로 개겠으나 불안정한 대기의 영향으로 내륙 일부...
[북한날씨] 대부분 지역 비…서해안은 우박 2019-06-09 07:05:11
기상청이 예보했다. 이날 황해도, 평안도, 함경도에서 20∼60mm의 비가 내릴 것으로 기상청은 내다봤다. 강수량이 많은 경우 80mm 이상인 곳도 있겠다고 기상청은 덧붙였다. 조선중앙방송도 대부분의 지역이 흐리고 평안북도, 함경남도, 강원도에서는 때때로 비가, 그밖의 지역에서는 한두 차례 비와 소나기가 내리겠다고...
"조선 후기 당파정치, 고종 친정 이후에도 지속" 2019-06-02 07:00:03
친정 이후에도 지속" 김덕헌 교수, 함경도 지방관 명단 '관북관안' 분석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소수 가문이 정국을 주도한 세도정치가 등장하면서 약화했다고 알려진 당파적 요소가 고종이 아버지 그늘에서 벗어나 친정을 시도한 1870년대에도 여전히 강력하게 작용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김덕헌...
"전기차 등 배터리 시장, 국가나 기업이 독점 못할 정도로 엄청나게 커질 것" 2019-05-31 17:50:56
화산재가 함경도를 휩쓴 뒤 일본 북부인 홋카이도까지 날아갔다. 영국 버벡대의 제임스 해먼드 교수는 “백두산이 분화하면 화산재나 마그마가 천지에 고인 물과 접촉하면서 수증기가 급격하게 대량 발생해 대규모 폭발이 일어날 수 있다”고 내다봤다.한편 ibs는 1일 이탈리아 국립핵물리연구소(infn)와 우주의...
[#꿀잼여행] 강원권: 타오르는 불, 흥겨운 몸짓…밤새 불태울 사람, 쉿! 2019-05-31 11:00:03
만나겠다는 바람으로 휴전선과 가까운 이곳에 터를 잡았다. 함경도에서 내려온 피난민들이 많이 거주한 까닭으로 '아버지'의 함경도 사투리인 '아바이'를 사용해 아바이마을이 됐다. 실향민 음식으로 유명한 '아바이 순대'도 바로 이 마을에서 시작됐다. 각종 채소와 찹쌀 등을 넣어서 만든 아바이...
"백두산 지면 7cm 부풀어…땅 속 민감도↑ 심상찮다" 2019-05-30 21:03:05
김 분과장에 따르면 당시 화산재는 함경도를 휩쓴 뒤 일본 홋카이도까지 날아갔다. 홋카이도에 쌓인 화산재 두께는 5㎝ 정도로 분석됐다. 백두산 주변에선 직접적인 인명 손실과 농작물 고사, 가축 폐사 등 피해가 상당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백두산 연구에서 북한은 영국 과학계와 협력하고 있다. 북한과 협력 연구를 했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