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파리기후협정 같은 지구촌 생태협정 체결하자" 2018-06-29 16:54:58
1992년 처음 채택된 유엔 생물다양성협약(CBD)의 범주에 속한다고 가디언은 설명했다. 2010년 10월 일본 아이치현 나고야시에서 열린 제10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 총회에서는 2020년까지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해 5개 분야의 20개 실천 목표를 국가별로 수립하도록 규정한 세계생물다양성 목표(아이치 목표)에 합의했다....
[주간 뉴스캘린더](18일∼24일) 2018-06-17 08:57:11
523호) ▲ 환경운동연합, 한국 해양보호구역의 현황과 미래 토론회 (10:00 의원회관 2세미나실) ▲ 인권위, 문화예술계 성희롱ㆍ성폭력 특조단 활동 결과 브리핑 (11:00 인권위 11층 교육센터별관) ▲ 평화재단 평화연구원, 2018 심포지엄 '정전에서 평화로' (14:00 프레스센터 20층) ▲ 고려대학교...
그린피스 "남극 오지도 미세플라스틱·유해 화학물질에 노출" 2018-06-07 16:29:44
해양보호구역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영국 옥스퍼드대 마틴스쿨의 지속가능한 해양 전문가인 알렉스 로저스 교수는 "이러한 화학물질의 다수는 매우 위험하고 먹이사슬을 타고 올라가면서 야생동물, 궁극적으로 인간의 건강에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이번 보고서는 남극 대륙 주변 바다에 세계...
바닷물 수온 상승 방치하면 금세기 안에 북극곰 멸종 2018-05-08 11:51:15
노스캐롤라이나대학 생물학자 존 브루노는 "지금처럼 수온이 상승하면 해양생물보호 구역 안에서 전부 다는 아니라도 상당수를 잃게 될 것"이라고 했다. 인간의 어로나 석유시추 등으로부터 북극곰이나 산호초 등을 보호하기 위해 해양생물보호 구역을 정해놓고 있지만 지구온난화에 따른 수온상승에는 속수무책인 상태다....
[여행의 향기] 1년간 단장 마친 생태섬 대이작도… "관광객 맞을 준비 완료" 2018-04-22 14:55:38
하벌천퇴(下伐川退)라 부른다. 바다 생물의 산란장 역할을 해 바다 생태계의 보고로 불리는 대이작도의 풀등은 2003년 해양생태보호구역으로 지정됐다.대이작도를 찾는 관광객의 발길이 줄어들기 시작한 것은 모래섬인 풀등의 입도(入島)가 전면 금지된 2016년부터다. 당시 풀등은 주변 해안의 무분별한 모래 채취로 면적이...
'텃새·철새 사이좋게'…통영 홍도, 철새 기착지 자리매김 2018-04-22 12:00:29
해양국립공원의 핵심 생태 축인 도서 지역의 생물자원 보존을 위해 홍도를 포함한 특별보호구역을 지속해서 관찰할 계획이다. 2015년부터는 인근 무인도에 멸종위기 야생식물 Ⅰ급 풍란 500개체를 이식하는 등 멸종위기종 복원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이수식 한려해상국립공원 동부사무소장은 "올해는 한려해상국립공원 지정...
[천자 칼럼] 무인도 개발 2018-04-08 18:26:43
문화재보호구역이나 생물보존지역 등 각종 개발 규제와 접안시설, 차량 운행가능 여부도 현장 답사를 통해 확인할 필요가 있다. 마침 정부가 무인도에 생태복원·산책로 설치 등 공공사업과 건물 개·보수를 허용하도록 규제를 완화할 계획이라고 한다. ‘나만의 섬’을 꿈꾸는 이들에겐 호재라...
[서남해안 갯벌을 가다] ④ 엄마 품처럼 넉넉한 곳…순천만 2018-03-28 16:23:51
순천을 가로지르는 동천 하구와 갈대밭, 갯벌 생물들이 살던 터전이었다. 1992년 순천만 하구는 버려진 채 방치됐고 1993년 민간업체의 골재 채취사업이 알려지면서 순천만은 주목을 받았다. 순천만의 갈대숲을 보전하려는 시민과 시민단체들이 나서 결국 사업이 무산됐고 1996년 본격적인 생태조사가 시작됐다. 조사 결과...
충남 서해 천수만 간척 30년…부영양화·수질 오염 심각 2018-03-20 13:36:03
저서생물에 독성을 일으키는 중금속은 4개 담수호 모두 농도가 기준치 이하였다. 간월호와 부남호의 축산폐수 방류와 우천 시 침적토·퇴적물 유입으로 인해 천수만 내측 수질이 점차 악화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도는 설명했다. 오염이 지속할 경우 양식어장을 운영하는 어민은 물론 대하, 농어, 도미, 숭어 등...
국내 유일 '탐라해저분화구' 가치 탐사…활용방안 모색 2018-02-28 11:23:38
해양수산연구원은 탐라해저분화구에 대한 지질학적, 화산학적, 생태학적 가치를 조명할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이번 탐사를 기획했다. 탐사를 통해 영상자료를 제작하고 탐라해저분화구에 서식하는 생물상, 보호 생물종 등을 조사해 가치를 판단한다. 해양보호구역 지정 가능성과 수중경관 자원을 활용한 지역 소득 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