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LG생활건강, 지난해 4분기 영업익 434억…전년비 20.7%↓ 2025-02-04 16:00:53
20.7% 감소한 434억원을 기록했다고 4일 밝혔다. 국내 인력 구조조정 등 일회성 비용(약 200억원)을 제외하면 실질적인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개선됐다. 구체적으로 화장품 부문은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5.4% 증가한 6,994억원, 영업이익은 50.3% 증가한 110억원을 기록했다. 중국과 북미, 일본 등 해외 사업이...
아시아 증시, 미중 관세전쟁 촉발에 상승분 일부 반납(종합2보) 2025-02-04 15:29:53
닛케이225 평균주가(닛케이)는 0.78%, 한국 코스피는 1.09%, 대만 자취안 지수는 0.32% 각각 오른 상태다. 홍콩 H 지수는 오후 2시께 미국과 중국 간 관세 부과 소식이 전해진 직후 순식간에 상승분을 1.6% 가량 내줬다가 이후 이를 대부분 만회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닛케이 지수와 자취안 지수 역시 순식간에 각각 1%,...
현대차 1월 판매 '최다 vs. 주춤'...뭐가 맞나 [팩트체커] 2025-02-04 15:08:01
지난해와 비교해 국내에서 10.5%, 해외에선 0.7% 줄었습니다. 특히 국내 판매량은 1월 기준 2017년 이후 가장 적습니다. 2017년을 기준으로 잡은 이유는 이때부터 집계기준이 공장출고가 아닌 도매판매로 바뀌었기 때문입니다. 현대차 측은 설 연휴에 따른 영업일수 감소의 영향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앵커> 국내...
국고채 금리 일제히 상승…3년물 장중 연 2.585% 2025-02-04 11:41:12
올랐다. 30년물과 50년물은 각각 0.8bp, 0.7bp 상승해 연 2.730%, 연 2.623%를 기록했다. ┌─────────┬─────────┬────────┬────────┐ │ │ 당일(오전ㆍ%) │전일(%) │ 전일대비(bp) │ ├─────────┼─────────┼────────┼────────┤ │...
작년 주식 발행액 24조6천억원…전년보다 10.9%↓ 2025-02-04 10:32:55
주식은 36억8천만여주(19.9%)였고 코넥스 주식은 1억2천만여주(0.7%)였다. 발행 금액은 코스피가 11조1천491억여원으로 가장 컸다. 그 뒤로는 코스닥 9조7천575억원, 비상장 3조6천623억여원, 코넥스 661억원 순이었다. 발행 사유별로는 '유상증자'가 65억9천만여주(발행량의 35.7%)로 가장 많았다. 유상증자는...
작년 주식 발행액 24조6천억원 전년보다 10.9% 줄어 2025-02-04 09:59:40
코넥스 주식은 1억2천만여주(0.7%)였다. 발행 금액은 코스피가 11조1천491억여원으로 가장 컸다. 그 뒤로는 코스닥 9조7천575억원, 비상장 3조6천623억여원, 코넥스 661억원 순이었다. 발행 사유별로는 '유상증자'가 65억9천만여주(발행량의 35.7%)로 가장 많았다. 유상증자는 기업이 자본금을 늘리고자 주식을...
美 증시, 하락...금 사상 최고 [글로벌 시황] 2025-02-04 08:45:01
다우지수는 0.2%, 나스닥은 1.2%, S&P500은 0.7% 하락했습니다. 미국의 주요 관세 대상국인 멕시코가 관세 부과 한달 유예 합의를 이끌어내면서 다우지수는 한때 상승 전환하기도 했지만, 후반으로 갈수록 매도세가 몰리며 다시 하락했습니다. 섹터별 흐름도 살펴보겠습니다. 필수소비재 섹터는 0.68% 상승한 반면, ...
예상외 (트럼프) 관세 품목 [원자재& ETF 뉴스] 2025-02-04 08:27:21
섹터별로는 XLE 에너지 ETF가 0.7% 정도로 상승폭이 가장 크고요, 반대로는 XLY 임의소비재 ETF가 1.2%로 낙폭이 가장 깊습니다. 오늘은 ‘예상외 관세 품목’을 주제로 한 ETF 살펴보겠습니다. 트럼프발 관세 전쟁이 예고된 가운데, 어떤 국가와 상품에 대해, 얼만큼, 언제부터, 어떠한 방식으로 미국이 관세를 부과할 지...
트럼프발 관세폭탄 영향...국제유가·금값↑, 美천연가스↓ 2025-02-04 07:54:13
: XLE 에너지 ETF 0.7% 상승, XLY 임의소비재 ETF 1.2% 하락. - 예상 외 관세 품목 : 방울토마토, 메이플 시럽, 장난감, 트럭, 의류, 스마트폰, 공구, 아보카도, 데킬라 등 소비자들이 예상치 못했던 제품들의 가격이 트럼프발 관세 인상으로 높아질 것이라 전망. - 미국 고물가 자극 :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골드만 "트럼프 관세 지속시 美증시 5% 하락 예상" 2025-02-03 22:52:01
500이 5~10% 하락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경고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골드만은 이전에 캐나다와 멕시코산 수입품에 25% 관세를 지속적으로 부과하면 미국의 실질 관세율이 현재 3%에서 7%포인트 상승하여 미국의 핵심 개인소비지출(PCE) 물가가 0.7% 상승하고 미국의 GDP가 0.4% 하락할 것으로 추산했다. 김정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