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박진수 LG화학 부회장 "2017년 카자흐공장 양산 시작" 2014-03-02 11:08:34
EP(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 분야를 적극 육성하고 CNT(탄소나노튜브), CO2 플라스틱 등 고기능·친환경 사업 분야의 상업화를 추진한다. 정보전자소재 부문에서는 이미 세계 최고 수준인 LCD용 편광판, 3D 광학 필름등 분야의 성과를 극대화하고, OLED 등 신규 시장에 R&D 역량을 집중한다. ITO(인듐주석산화물)...
삼성전자, 모바일 '고화질·고성능' AP칩 1분기 양산 2014-02-26 11:58:34
삼성전자는 이밖에 차세대 이미지센서 기술인 '아이소셀(ISOCELL)'을 적용한 모바일 이미지센서, 근거리무선통신(NFC) 칩, 와이파이(Wifi) 커넥티비티 신제품도 공개했다. 아이소셀은 이미지센서를 구성하는 화소(Pixel)에 모이는 빛을 최대한 활용할수 있도록 센서의 구조를 혁신적으로 변화시킨 기술로...
삼성전자 "올해 스마트폰 부문 성장 자신…메모리 실적 개선될 것" 2014-01-24 11:01:28
경우 20나노 고성능 모바일 ap와 해상도 한계를 넘은 차세대 '아이소셀 센서' 등 고부가가치 제품 출시를 확대할 예정이다. 14나노 핀펫 등 선행공정 개발에 이어 신규 거래선도 확대할 방침이다.이창훈 삼성디스플레이 상무는 디스플레이 패널(dp) 시장에 대해 "lcd패널의 경우 tv 수요 증가와 태블릿 수요 증가가...
[컨콜] 삼성 "메모리반도체 공정전환으로 실적 개선"…시설투자 전년 수준 유지 2014-01-24 10:40:21
20나노 고성능 모바일 ap와 해상도 한계를 넘은 차세대 '아이소셀 센서' 등 고부가가치 제품 출시를 확대할 예정이다. 14나노 핀펫 등 선행공정 개발에 이어 신규 거래선도 확대할 방침이다.디스플레이 패널(dp) 시장은 "lcd패널의 경우 tv 수요 증가와 태블릿 수요 증가가 기대된다"며 "올레드(oled) 패널을 채용한...
[2014 대전망-기업 경영전략] 내실 다지는 SK…신성장 투자 가속 2014-01-02 06:58:01
20나노급 기술을 적용해 세계 최초로 고용량 8gb(기가비트) lpddr3와 6gb lpddr3를 개발하는 등 모바일 시장에 대한 대비를 철저히 했다. 16나노 공정을 적용한 64gb mlc(멀티레벨셀) 낸드플래시 양산을 시작했고 128gb mlc 개발까지 완료해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새해에는 차세대 고사양 모바일...
모바일 수요 회복·고부가 제품 확대…내년 실적도 '청신호' 2013-12-27 06:58:35
이어가고 있다. ○고부가가치 제품 비중 확대 d램29나노(nm)를 양산하고 있는 sk하이닉스는 앞으로 d램 25나노 양산을 통해업계 선두권에 합류할 전망이다. 또 범용화된 pc d램 중심에서 탈피해 고부가가치 제품인 모바일 d램, 서버 d램, 그래픽 d램의 비중을 확대하고 있다. pc d램 수요 감소라는 리스크에서 벗어날...
[2014년 투자 유망 주식 찾아보니 ①] 역시, 삼성전자 … 내년은 반도체의 해 2013-11-27 10:33:54
최초로 v-낸드플래시의 양산을 시작했다. 셀을 수평이 아닌 수직으로 배치하는 3차원 구조로 물리적인 한계로 여겨졌던 10나노급 공정을 돌파한 획기적인 제품이다.이승우 ibk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삼성전자는 v-낸드플래시로 경쟁사보다 훨씬 적은 투자비로 품질 좋은 낸드플래시를 생산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SK하이닉스, 16나노 낸드플래시 본격 양산 2013-11-20 14:20:47
16나노미터 미세공정을 적용한 64Gb(기가비트) MLC(멀티레벨셀) 낸드플래시를 본격 양산합니다. SK하이닉스는 지난 6월 세계 최초로 16나노 공정을 적용한 1세대 제품을 양산한 데 이어, 칩 크기를 줄여 원가경쟁력을 강화했다고 설명했습니다. SK하이닉스는 16나노 낸드플래시 제품을 기반으로 MLC 기준 단일 칩 최대...
SK하이닉스, 16나노 낸드플래시 본격 양산 2013-11-20 09:08:30
16나노 64Gb MLC 낸드플래시 제품의 특성과 신뢰성을 기반으로 MLC기준 단일 칩 최대 용량인 128Gb(16GB·16기가바이트) 제품도 개발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 제품은 내년 초 양산될 계획이다. 일반적으로 공정이 미세화될수록 셀 간 간섭 현상이 심해지는데, SK하이닉스는최신 공정방법인 에어갭(Air-Gap) 기술을...
기초과학연구원 개원 2년…17개 연구단 착수 2013-11-19 16:36:09
지난해 11월호 온라인판에 실렸다. 이어 나노입자연구단(단장 현택환)은 황화아연(ZnS) 나노입자로 기존 근적외선광학현미경보다 해상도가 뛰어난 생체 영상을 얻는데 성공, '네이처 머터리얼즈(Nature Materials)' 온라인판에 소개됐다. 식물 노화·수명 연구단(단장 남홍길)은 식물세포 내 단백질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