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반월당역 클래시아 2차, 대구 최고의 중심 상권인 동성로 인접 2016-04-06 17:23:30
풍부하다. 봉산문화거리, 시립도서관, 근대골목 등 문화 인프라도 풍부하다. 대구지하철 12호선 환승이 가능한 반월당역 5, 6번 출구에 인접해 지하철 이용이 편리하다. 대구의 동서를 가로지르는 주도로인 달구벌대로와 남북을 관통하는 중앙대로의 교차점에 있어 교통여건이 좋은 편이다. 반월당역 주변 기업 종사자들이...
희림, 한국은행 통합별관 설계용역 단독 수주 2016-04-06 09:31:12
사적 제280호로 지정된 화폐박물관 등 근대 건축물과 조화를 이루면서도 글로벌 선진 중앙은행으로서 미래지향적 이미지를 구현했다는 평가다.재건축되는 한국은행 통합별관은 연면적 5만2880㎡ 규모에 3100억원이 투입된다. 2020년께 준공될 예정이다. 민원인용 지하주차장과 방문자센터를 신설하고 대국민 개방공간도...
'근대 부산' 간직한 길 걸어볼까 2016-04-04 19:48:07
근대 부산의 흔적이 곳곳에 남아 있다.이달 말 부산진일신여학교와 자성대를 잇는 ‘좌천 이바구길’ 공사도 끝난다. 이렇게 되면 동구 전역에 다섯 개의 이바구길이 조성돼 지역의 또 다른 관광명소가 될 것으로 동구청은 기대했다.부산=김태현 기자 hyun@hankyung.com 3월 안에 반 壤?매수해야 할 3종목! 조건...
100년 만에 리모델링하는 한국은행 2016-04-04 17:38:04
소공로와 남대문로 일대는 근대 금융의 역사를 담고 있다. 1912년 일제가 건립한 한은 구관(현 화폐박물관)은 그 출발점이다. 국내 최초 은행건물인 구관은 사적 제280호로 지정돼 있다. 일본 건축계의 거장으로 불리는 다쓰노 긴코가 영국 중앙은행과 벨기에 중앙은행을 본떠 설계했다. 창신동 채석장에서 일일이 돌을...
[여행의 향기] 벚꽃향 맡으러 진해 왔다가 옛 향기에 푹 빠졌습니다 2016-04-03 16:24:24
있어 울긋불긋 꽃대궐이 차려졌다.1912~1920년대 근대 건축물 즐비한 진해진해에는 벚꽃 말고도 명물, 명소가 많다. 우선 1910~1920년대 세워진 근대 건축물이 즐비하다. 진해역에서 5분 거리에 군항마을 역사길이 있다. 가장 먼저 보이는 것이 6각형의 중국풍 누각이다. 지금은 곱창전골과 갈비탕 등을 파는 식당이 됐지만...
[책마을] 중부유럽 고속 발전 이끈 독일식 '교육 혁명' 2016-03-31 19:09:32
봉건제, 과학혁명, 계몽주의, 산업혁명 등의 현상이 서유럽과는 많이 달랐거나 별로 나타나지 않았다. 서유럽에서는 중세 이후 상업도시의 출현으로 엄청난 부가 창출되기 시작했다. 활발한 무역을 통해 축적된 부는 왕들이 근대적인 정치권력을 세우는 데 많은 기여를 했다. 중부유럽도 12~13세기 무렵에는 발트해 연안을...
불화 35억·불상 20억 …고미술에 '뭉칫돈' 2016-03-28 18:21:21
분청사기 등 도자기와 옛 서화, 근대 한국화 등의 가격이 1997년 외환위기 이전의 3분의 1 수준으로 떨어진 데다 저가 매물이 쏟아져나오면서 수익성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고서화 도자기 민속품 등의 판매가 호조를 보이면서 신기록도 쏟아지고 있다. 작년 12월 서울옥션 경매에 나온 보물 제1210호인 불화...
지역 유물·유적·유명인을 관광상품으로…산업도시 안산, 역사·문화도시 '탈바꿈' 2016-03-28 17:31:50
국내 최대 규모의 중소기업 산업단지를 보유한 산업도시 경기 안산시가 문화와 예술도시로 도시 이미지를 바꾸는 작업에 나섰다.안산시는 올해 시 승격 30주년을 맞아 ‘역사가 살아있는 문화·예술도시’로 탈바꿈하기 위해 유적 발굴·복원과 함께 퇴적암층을 이용한 자연음악당, 선사시대 조형물...
[책마을] 산업혁명은 왜 중국이 아니라 영국에서 일어났나 2016-03-24 18:03:08
인구·환경적인 제약을 극복하고, 근대 경제 체제를 확립했다. 지속적인 성장의 토대를 구축하며 세계에서 가장 강력하고 부유한 지역으로 떠올랐다.역사학·경제사학자들은 서유럽과 그 밖의 지역, 특히 동아시아와 경제발전의 차이가 크게 벌어진 ‘대분기(the great divergence)’가 언제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