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산업부, 내년 반도체·디스플레이 R&D 총 2,321억원 지원 2020-12-30 11:13:00
유연 디스플레이에 적합한 소자(산화물 반도체) 관련 기술 등 폼펙터 디스플레이 시장을 선도할 유망기술 개발을 지원한다. 특히 AR/VR용 마이크로 디스플레이의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해 관련 소재부터 광학계, 컨트롤러, 표준화 및 인체 영향평가까지 상용화에 필요한 핵심기술 개발과제를 집중적으로 발굴했다. 또한,...
시스템반도체용 조립 기술 등 5건, 국가핵심기술로 신규 지정 2020-12-15 11:00:09
1㎛(마이크로미터) 이하 이미지센서 설계·공정·소자 기술, 5G 시스템 설계기술, 구경 1m 이상 위성탑재 전자광학 카메라 조립·정렬·검사기술 등이 포함됐다. 이 가운데 감염질환용 다종면역 분석 시스템 기술은 독감, 코로나19 등 여러 질환을 동시에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전 세계적으로 정확한...
삼성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연구성과 네이처지에 게재 2020-11-11 15:49:13
특별한 광학 소자를 개발했다. 이 소자를 활용하면 관찰자 방향으로 영상을 꺾어 시야각을 약 30배 넓힐 수 있다. 또한 4K 홀로그램 영상을 실시간으로 생성할 방법을 제시한 것도 이번 연구의 주요 성과라고 삼성전자는 전했다. 삼성전자 측은 "홀로그램을 실제 일상에서 원활하게 사용하기까지는 연구 개발이 더...
삼성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연구, 네이처지에 실렸다 2020-11-11 14:59:36
'S-BLU(Steering-Backlight Unit)'라는 특별한 광학 소자를 개발했다. 이를 활용하면 관찰자 방향으로 영상을 꺾어 시야각을 약 30배 넓힐 수 있다. 또한 4K 홀로그램 영상을 실시간으로 생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 것도 주요 성과로 평가된다. 원강희 연구원은 "기존 10인치형 4K 해상도 화면은 0.6도의 아주 ...
에타맥스, LED 검사장비 국산화…가성비 우수 2020-11-04 17:25:04
및 반도체 소자의 광학적 물성을 측정하는 장비를 개발·판매하고 있다. 에타맥스가 국산화에 나선 건 마이크로 LED 검사 장비라는 신시장을 일본 업체가 독점하고 있어서다. 요구되는 기술력도 만만찮다. 마이크로 LED는 소자의 크기가 수십㎛(마이크로미터·1㎛는 1000분의 1㎜) 정도로 작다. 기존 검사방식으로는 결함...
[사이테크 플러스] "앞면과 뒷면이 다른 '야누스' 유리 개발…가스센서 기능까지" 2020-10-29 12:00:14
보이는 유리의 이미지가 달라지는 이 기술은 광학 스위치, 광소자 저장기기로도 응용 가능성 매우 크다"며 "외부 가스, 액체, 온도, 습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유리창 제작 등에는 바로 적용할 수 있어 수소 유출을 감지할 수 있는 수소저장용 유리 창고나 수소 센서로 사용하기 위한 추가 실험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이...
한국이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국제 표준화 주도한다 2020-10-29 11:00:00
표준화 논의를 제안했다. 또 '아이웨어(안경류) 디스플레이 광학 소자 특성 측정 방법'과 'VR(가상현실) 타입을 위한 광 특성 측정법' 등 아이웨어 디스플레이 기기에 특화된 측정 방법에 관한 국제표준안의 필요성도 제안했다. 국표원은 다음 달 4일 '제1회 디스플레이 국제 표준 포럼'을 개최해...
[사이테크 플러스] 빛 회전특성 이용해 반도체 보안성능 획기적으로 높인다 2020-10-20 12:00:10
이 소자는 근적외선을 흡수하는 고분자 반도체의 높은 흡광도와 트랜지스터의 신호 증폭, 콜레스테릭 액정 필름의 광학적 간섭 효과로 기존 나노패터닝 기반 근적외선 원편광 감응 광트랜지스터보다 감도가 30배 이상 우수하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들은 이 기술을 활용하면 기존 가시광선 원편광만 감지할 수 있던 유기...
2020년 노벨물리학상 '블랙홀 과학자' 3명…역대 수상자는 2020-10-06 19:24:00
광학이론 이용, 빛의 결맞음 이론 정립 공헌 존 홀(미국)·테오도어 헨슈(독일) = 레이저 정밀 분광학 개발 기여 ▲ 2004년: 데이비드 그로스·데이비드 폴리처·프랭크 윌첵(이상 미국) = 원자핵 내의 강력과 쿼크의 작용 규명 ▲ 2003년: 알렉세이 아브리코소프(러시아)·앤서니 레깃(영국)·비탈리 긴즈부르크(러시아)...
한국동서발전, '광기반 전류측정 시스템 국산화 추진' 2020-08-26 11:03:10
광학소자와 회로를 하나의 칩 안에 넣어 구현한다. 연구과제의 최종목표는 실제 현장설치, 운용 가능한 전류 측정 시스템 개발에 있다. 전기설비는 전류를 통해 동력을 얻는데, 발전소에서 사용되는 전류 측정시스템은 발전기, 변압기 및 전동기 등 중요 전기설비에서 공급 및 소비하는 전류의 크기를 측정해 고장과 효율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