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여행의 향기] '예술의 향기' 감도는 글래스고 어디를 둘러봐도 눈이 즐겁다 2016-12-18 17:13:23
스미스의 국부론, 찰스 레닌 매킨토시의 아르누보 양식 모두 글래스고에서 태어났다. 과거의 영광에만 머물지 않고, 고풍스러운 건축물에 예술을 입히고 공원을 가꿨다. 지금도 글래스고 사람들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창조한다. 이 도시의 캐치프레이즈인 ‘사람이 글래스고를 만든다(people make glasgow)’는...
가격 결정 땐 생산원가 아닌 '고객이 느끼는 가치' 따져 봐라 2016-11-25 17:41:13
국부론》은 ‘보이지 않는 손’ 즉 가격(price)에 의해 수요와 공급의 균형이 이뤄지는 시장경제 메커니즘을 설명한다. 1974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프리드리히 하이에크는 제품과 시장 상황에 대한 정보가 가격에 시시각각 반영돼 경제주체들의 의사결정을 돕는다는 점에서 가격의 정보 전달 및 커뮤니케이션...
[역사 속 숨은 경제이야기] 현대적인 의미의 조세제도는 언제부터 등장했을까? 2016-10-28 17:21:03
대한 일반원칙을 천명한 것이다. 스미스의 국부론의 마지막 장인 5편은 조세문제와 조세징수에 대한 일반원칙을 다루고 있다. 여기에 기술된 조세 부과의 일반적인 원칙은 오늘날 현대적인 조세징수의 법적 근거들과 그 맥을 같이한다. 국부론에 기술된 조세징수의 원칙은 크게 네 가지로 압축할 수 있다. 첫째 세금은 국민...
[한경 미디어 뉴스룸-정규재 NEWS] 소비냐, 저축이냐…무엇이 경제를 성장시키나 2016-10-21 18:17:41
《국부론》에서 “매년 절약되는 것은 당연히 자본에 추가돼 연간 생산을 늘리게 된다”고 말했다. 그는 한 사회에서 생산되고 교환된 가치가 저축을 통해 자본으로 전환돼야 사회 전체의 부가 늘어난다고 봤다.정규재 뉴스의 극강 ‘국부론에 맞춰본 경제민주화’에서 한정석 미래한국 편집위원은...
조찬 회동한 김종인·정의화·윤여준 "확실한 대선인물 없다"…제3지대 탄력받나 2016-09-23 18:31:57
것인지를 논의했다”고 말했다.이날 조찬은 《21세기 대한민국 국부론》의 저자인 김택환 전 경기대 교수의 주선으로 성사된 것으로 전해졌다.은정진 기자 silver@hankyung.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모바일한경 구독신청] [한 경 스 탁 론 1 6 4 4 - 0 9 4 0]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주목! 이 책] 홍익국부론 2016-09-22 17:42:46
강정모 지음 한민족 고유의 홍익인간 정신을 한국 경제 발전의 원동력이 된 인적자본의 근본적 사상으로 설명한다. 저자는 대변혁 시기를 맞은 한국 사회에 가장 필요한 정신도 홍익인간 사상을 바탕으로 한 상생의식이라고 강조한다. 이는 현대사회가 안고 있는 과제는 물론 경제발전과 같은 실천적 과제 해결에도 필요한...
홍익국부론 "홍익인간 사상에 한국 경제의 길이 있다" … 강정모 저 · 김도형 서평 2016-09-21 10:34:26
홍익국부론 "홍익인간 사상에 한국 경제의 길이 있다" 강정모 저자 · 김도형 서평 우리민족 전래의 홍익인간 사상을 한국경제 발전모델에 접목한 '홍익국부론'이 나왔다. 전인미답의 뉴노멀 신시대에 능동적으로 대응해야 하는 현 시점에서 압축 성장의 요인을 인적자본 축적과 그 정신적...
은행 입사 어떻게 준비할까…"금융지식·창의성·인성 중요" 2016-07-10 07:01:10
영향을 질문했고, 농협은행은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 기술금융, 중소기업금융과 관련한 문제를 출제했다. 산업은행은 탕평책과 조조의 인사 방식에 대한 예문을 제시하고 의견을 묻기도했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평소 경제나 금융에 관한 이슈와 트렌드를 접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틈틈이 경제신문이나...
[한경포럼] '국부론'과 '북학의' 2016-06-14 17:42:16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國富論)》이 출간된 게 1776년이니, 딱 240년 전이다. 그해 미국이 독립을 선언했다. 유럽의 대부분은 봉건시대 미몽에서 깨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은둔의 나라’ 조선에서는 치매를 앓던 영조가 82세로 세상을 떴다. 시민혁명 이후 근대의 가치에 눈을 뜨기 시작한 영국에는 몇 개의...
[다산칼럼] 신중상주의를 우려한다 2016-06-07 17:54:54
《국부론》 이후 거의 모든 경제학자들이 의견의 일치를 보는 것이 자유무역이다. 그런데 최근 겉으로는 자유무역을 표방하지만 실제로는 자국 경제와 기업의 보호를 위한 조치를 취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전 세계적으로 경제가 침체하자 각국은 수출 증가를 통해 경제를 성장시키기 위해 자국의 화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