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재건축 허들 낮추고, 공공주택 25만가구 공급 2025-01-13 17:40:46
연장한다. 전국 ‘4×4 고속철도망’ 구축지난해 무안 제주항공 참사(12월)와 인천 전기차 화재 사고(8월), 서울 연희동 싱크홀 사고(8월) 등 유독 안전사고가 많았다. 이러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국토 전반에 걸쳐 안전관리도 강화한다. 먼저 항공사와 공항, 관제, 규정 등 분야별 긴급 안전 점검을 하고 오는 4월까지...
사고기종 101대 중 56대 블랙박스 '보조배터리' 없어…전수 조사 2025-01-13 16:06:55
자료가 온전히 저장돼 있어 이를 분석하고 있다. 또 무안공항 터미널 옥상과 활주로 인근의 폐쇄회로(CC)TV를 확보하고, 사고 현장 목격자들과도 면담하는 한편 사진과 영상 자료를 제공받아 조사하고 있다. 항철위 관계자는 "CVR과 FDR 기록이 없기에 조사에 난항은 겪겠지만, 이들 자료에만 기반해 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
국토부, 4월에 항공안전 혁신방안 내놓는다…백서 발간도 추진 2025-01-13 16:00:01
무안 제주항공 참사(12월), 인천 전기차 화재 사고(8월), 서울 연희동 싱크홀 사고(8월) 등…. 지난해엔 유독 안전사고가 많았다. 국토교통부가 ‘안전한 대한민국 만들기’를 올해의 첫번째 핵심 추진과제로 꼽은 배경이다. 항공안전 전반에 대한 혁신을 추진하고, 건축물 안전관리 전문가도 대폭 확충할 계획이다....
전국 공항 '콘크리트 둔덕' 손본다…교통·건설 전반 안전 강화 2025-01-13 16:00:00
재시공을 검토한다. 둔덕이 2m 높이였던 무안공항 외에도 여수공항(4m), 포항경주공항(2m), 광주공항(1.5m) 등 최소 3곳의 전국 공항에는 콘크리트와 흙으로 만들어진 둔덕 위에 로컬라이저가 세워져 있다. 무안공항의 둔덕이 설치·개량되는 과정에서 위반 논란이 제기된 공항 건설·운영 지침은 검토를 거쳐 올해...
한국인들 '일본 여행' 푹 빠지더니…"이 정도일 줄은" 깜짝 2025-01-13 14:32:43
7037만명으로 1년 전에 비해 26.8% 늘었다. 이어 김해공항(900만명)이 38.1%, 김포공항(393만명)이 22.4% 증가했다. 노선이 크게 회복된 제주공항(244만명)은 104.8%, 청주공항(146만명)은 181.3% 증가했다. 대구공항(140만명)은 26.1%, 무안공항(35만명)은 50.9% 늘었다. 신용현 한경닷컴 기자 yonghyun@hankyung.com
제주항공 참사 희생자 유족 모욕하고 조롱한 남성…결국 2025-01-13 13:41:59
전남 무안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희생자 유족을 모욕하거나 조롱한 남성 2명이 경찰에 붙잡혔다. 부산경찰청 사이버수사대는 모욕 혐의로 20대 남성과 40대 남성을 검거해 수사 중이라고 13일 밝혔다. 이들은 참사 발생 후 인터넷 게시판 등에 참사 희생자 유족을 향해 보상금을 운운하는 등 조롱하거나...
활주로에 '콘크리트 둔덕'…위험시설 줄줄이 2025-01-13 13:34:35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를 계기로 정부가 국내 공항 활주로 근처 항행 안전시설에 대한 충돌 시 위험성을 전수 조사한 결과, 7개 공항의 9개 시설에서 개선 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2∼8일 인천·김포국제공항 등 전국 13개 공항의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LLZ) 등...
"콘크리트 둔덕, 또 있다"…국내 공항 전수조사했더니 2025-01-13 13:13:20
결과 무안공항을 비롯해 총 7개 공항에서 항공기와의 충돌 시 쉽게 부서지지 않아 피해를 키울 것으로 우려되는 로컬라이저 시설이 발견됐다. 무안공항 외에 광주공항, 여수공항, 포항경주공항에는 각 1개씩 콘크리트 둔덕 형태의 로컬라이저 구조물이 있었다. 김해공항(2개)와 사천공항(2개)에는 콘크리트 기초가 일부 땅...
정부, 전국 7곳 공항서 '콘크리트 둔덕' 등 위험 시설 9개 확인 2025-01-13 12:07:10
결과 무안공항을 비롯해 총 7개 공항에서 항공기와의 충돌 시 쉽게 부서지지 않아 피해를 키울 것으로 우려되는 로컬라이저 시설이 발견됐다. 무안공항 외에 광주공항, 여수공항, 포항경주공항에는 각 1개씩 콘크리트 둔덕 형태의 로컬라이저 구조물이 있었다. 김해공항(2개)과 사천공항(2개)에는 콘크리트 기초가 일부 땅...
"메이데이" 외친 뒤 충돌…'마지막 4분' 기록 끊겼다 2025-01-12 18:01:19
무안 제주항공 사고의 원인을 밝힐 핵심 장치로 꼽히는 블랙박스에 ‘마지막 4분’이 저장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기체의 전원 셧다운(공급 중단) 가능성이 커지는 가운데, 추락 직전 기록의 부재로 진상 규명에 난관이 예상된다. 비상 상황에서 블랙박스를 정상 작동시키기 위한 보조배터리 설치 의무가 사고 항공기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