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창조경제 현장> 제조업 중심 충북 "답은 현장에 있다" 2015-11-19 07:00:35
스웰링 테이프는 원통형 2차전지를 전극 조립체로 감싸서 외부충격으로부터 진동을 최소화하는 핵심소재다. 세일하이텍은 제공받은 특허를 자체 필름 제조기술과 융합, 기존 제품보다 성능이 대폭 향상된 스웰링 테이프 생산에 성공했다. 세일하이텍은 개발한 스웰링 테이프를 LG화학에 납품함으로써 매년...
삼성SDI 3분기 영업익 179억…45.1% 감소(종합) 2015-10-30 15:38:26
소재와 PV Paste(태양광 패널 전극소재) 판매 호조로 양호한 실적을 유지했다. 삼성SDI는 4분기에 전지사업을 중심으로 매출이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삼성SDI 측은 "자동차용 전지는 울산사업장 신규 라인과 중국 시안 공장 라인이본격 가동되면서 매출이 큰 폭으로 성장할 것"이라며 "ESS(에너지저장장치)...
코스닥 상장 앞둔 유앤아이 "생체흡수성 소재 점유율 확대" 2015-10-29 15:44:57
척추질환을 치료하는 1회용 전극 및 카테터를 개발·판매하는 업체다. 지난 2007년부터 4년간의 연구를 바탕으로 방향 제어가 가능한 미세 전극으로척추 통증 부위의 조직만을 제거해 치료하는 의료기기 '엘디스큐'를 개발하기도 했다. 구 대표는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바탕으로 최근에는 9년만에 세계...
나노입자 촉매 저비용·친환경 제조공정 기술 개발 2015-10-27 12:00:28
국내 연구진이 촉매나 연료전지 전극 등에 널리쓰이는 나노입자를 포도당 분말을 이용해 균일한 크기로 양산할 수 있는 저비용 친환경 공정을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연료전지연구센터 유성종 박사 연구팀이 27일 포도당 분말을 나노입자에 붙였다가 포도당을 녹이면서 촉매지지체인 탄소와...
양자점 태양전지, 중금속 독성 없애고 효율 높였다 2015-10-22 12:00:19
8.1%로 중금속 양자점 태양전지(약 10%)에 육박했으며 무독성 양자점 태양전지로는 최고 효율을 기록했다. 연구진은 전극표면에 기존 대비 2배 두께의 황화아연 막을 코팅, 효율 저하의주범인 전하 재결합을 80%까지 낮춰 독성은 없애면서 중금속과 비슷한 효율을 얻을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 고민재 박사는 ...
출력 50배 높인 나노기반 테라헤르츠파 발생소자 개발 2015-10-15 09:36:02
기술이전을 진행 중이다. 박경현 THz포토닉스창의연구센터장은 "이 연구는 나노구조에서 일어나는 물질적 현상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대면적 나노전극 광전도 안테나 기술을 이차원 구조로확장, 각각의 단위 소자 특성을 조절해 새로운 응용 가능성을 연 것"이라고 설명했다. scitech@yna.co.kr(끝)<저...
산화된 금속나노와이어 재활용 공정 개발 <연구재단> 2015-10-12 12:00:58
전극과 활성화 물질을 동시에 상온에서 쉽고 빠르게 원하는 모양으로 구현할 수 있는 공정을 개발했다는데 의미가 있다"며 "이번 연구 성과를 발전시켜 금속산화물을 전자소자 제작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공정으로 적용 범위를넓혀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을...
나무 이용한 차세대 종이배터리 개발 2015-10-12 09:52:56
리튬이차전지의 전극과 분리막을 제조하는 방식으로 고용량에 유연성이 있는 종이배터리 원천기술을 확보했다. 이번 기술은 현재 국내와 국제 특허출원을 마쳤으며, 나노재료 분야의 세계적권위지인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즈' 10월 12일자에 표지 논문으로 게재됐다. 공동 연구팀은 지난해 9월에도...
LGD 박종현 책임연구원 세계 인명사전 등재 2015-10-12 08:58:59
투명전극(transparent electrode)을 적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연구실적과 웨어러블 및 플렉서블 올레드 봉지(encapsulation) 기술 분야 성과를 인정받아 인명사전 등재가 결정됐다. 올레드 및 신소재 분야에서 17편의 논문과 21건의 특허를 출원하기도 했다. 박 연구원은 "앞으로 팀원들과 함께 더욱 연구에...
나뭇잎모양 탄소나노구조물로 고성능 리튬전지 음극 개발 2015-10-05 12:00:22
시 부피변화가 걸림돌이 됐다. 전극 재료를 나노 입자로 만들면 부피는 줄지만 늘어난 표면적 때문에 주반응이 아닌 부반응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연구진은 나뭇잎 모양의 이차원 탄소나노구조물에 나노기공(Nanopore)을 넣고,이 기공 안에 산화주석(SnO₂) 나노입자를 주입했다. 탄소 내부는 정육면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