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사이테크+] 복원된 6세기 中 황제 얼굴…"전형적 동북아형·뇌졸중 위험" 2024-03-29 08:19:13
유골에서 추출한 DNA를 분석, 유전자 염기서열에서 염기 하나(A,T,G,C)의 차이를 보이는 유전적 변화 또는 변이인 단일염기다형성(SNP)을 100만 개 이상 복구했다. 단일염기다형성에는 피부, 머리카락 색깔 등은 물론 각종 질병 위험 등 다양한 유전 정보가 담겨있다. 무제의 두개골과 유전자 분석 결과를 결합해 얼굴을...
HK이노엔, AACR서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연구결과 발표 2024-03-27 09:55:30
모여 항암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다. HK이노엔은 이번 학회에서 비소세포폐암 유전자(L858R) 변이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알로스테릭 EGFR-TKI' 비임상 연구 내용을 공개한다. HK이노엔은 기존 비소세포폐암 1차 치료제에 내성을 보이거나 L858R 변이 환자를 위한 4세대 표적항암치료제 'IN-119873';...
'백해무익'이라더니…"살도 찐다" 2024-03-22 05:24:50
유럽인을 대상으로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단일 유전자 변이를 이용해 흡연과 복부 비만 사이의 관계를 분석, 이런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체중은 적지만 복부 지방이 더 많은 경향이 있다. 하지만 흡연과 복부 비만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는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복부 비만, 특히 잘 보이지 않...
살찔까 봐 담배 못 끊는다?…"흡연이 복부 비만 증가시킨다" 2024-03-22 05:00:02
유전자 변이를 이용해 흡연과 복부 비만 사이의 관계를 분석, 이런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체중은 적지만 복부 지방이 더 많은 경향이 있다. 하지만 흡연과 복부 비만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는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복부 비만, 특히 잘 보이지 않는 내장 지방은 심장질환, 당뇨병, 뇌졸중, 치매...
"혈액으로 암 조기진단"…아이엠비디엑스, 코스닥 출사표 2024-03-20 14:26:55
잔존암을 탐지하는 제품이다. 최대 500개의 모니터링 변이를 추적 관찰하여 암 재발 여부를 예측해 조기에 맞춤 의료가 가능하다. 특히 이 제품은 대만 TSH와 협업을 통해 1월부터 서비스를 시작했다. 더불어 '캔서파인드'는 다중 암 조기진단 플랫폼으로 정상인을 대상으로 암을 조기진단하는 제품 특성상 유전자...
'저탄고지' 케토 식단 먹였더니…"치매 생쥐 기억력 감퇴 지연" 2024-03-20 08:46:03
이 결과가 인간에게 적용된다면 여성, 특히 치매 위험을 높이는 유전자 변이(ApoE4)가 있는 여성에게 큰 의미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 출처 : Communications Biology, Gino Cortopassi et al., 'Ketogenic diet and BHB rescue the fall of long-term potentiation in an Alzheimer's mouse model and...
KAIST, 서울대병원과 암 추척 기술 공동개발 2024-03-18 18:21:54
유발 대사물질은 모두 유전자 돌연변이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24개 종류의 암에 걸린 환자 1043명의 유전자 돌연변이 데이터를 분석해 이 변이가 비정상 대사물질을 어떤 경로로 분비하는지 파악하는 방법론을 제시했다. 그리고 서울대병원 내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와 신장암 환자 데이터를 토대로...
한미약품 "미국암연구학회서 연구 결과 10건 발표…국내 최다" 2024-03-18 15:15:39
우선 mRNA(메신저 리보핵산) 플랫폼 기술을 활용해 p53 돌연변이 암을 표적으로 하는 '차세대 p53-mRNA 항암 신약' 연구 결과를 7일 발표한다. p53은 대표적인 종양 억제 유전자인데 이 단백질의 돌연변이가 발생하면 암세포가 끊임없이 분열하고 성장하게 돼, 이를 표적으로 하는 치료제 개발이 시도되는 상황이라...
"노화는 치료 가능한 질병…80대 노인도 '40대 활력' 갖게 될 것" 2024-03-17 19:05:13
보는가. “노화세포 제거, 장수 유전자 연구가 좀 더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예컨대 노화세포를 제거해 황반변성 증세를 호전시킨 연구가 있다. 장수 유전자 ‘서투인’을 활성화하는 물질을 기반으로 노화 치료제 개발도 이뤄지고 있다. 세포 리프로그래밍은 아직 인간을 대상으로 한 임상까지는 가지 못했다. 내가 공동...
싸이토젠, 미국암학회(AACR) 참가…연구결과 4건 발표 2024-03-15 10:36:16
발표 주제는 ‘순환종양세포(CTC) 분리·분석의 전립선암 변이 이중확인(double check) 진단법’, ‘폐암 EGFR의 CTC 기반 변이 분자진단법’, ‘고순도 CTC 분리 및 NGS 분석을 통한 다중 유전자 변이 검출법’, ‘스마트바이옵시 플랫폼을 활용한 CTC 분리분석에서의 혈액 운송 조건 최적화’ 등이다. 회사는 발표를 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