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성추행' 오거돈, 항소심서도 징역 3년 선고 2022-02-09 17:46:34
항소심에서도 징역 3년을 받았다. 부산고등법원 형사2부(부장판사 오현규)는 9일 열린 오 전 시장에 대한 항소심 선고 공판에서 검찰과 오 전 시장 측의 항소를 모두 기각하고 1심 판결을 유지했다. 1심은 징역 3년과 성폭력치료 프로그램 40시간 이수, 아동·청소년시설과 장애인복지시설 5년 취업 제한을 선고하고, 오 전...
대법관·경찰간부·제약사 임원…로펌 '스카우트 전쟁' 2022-02-06 17:15:57
부산지검 동부지청 검사(39기)와 김세관 전 대전지검 검사(40기)가 조만간 출근할 예정이다. 법조계에선 최근 검찰과 법원 정기인사가 마무리되면서 이제 막 현직에서 물러난 판·검사를 상대로 한 로펌들의 영입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현행 공직자윤리법상 대법관·고등법원 부장판사 이상 고위 법관과...
'우리법·인권법 판사'로 사법부 채우고 '민주 정부' 말하나 [여기는 논설실] 2022-01-28 10:12:55
서울고등법원은 사법부 내에서 상징성이 남다른 법원이다. 대법원을 빼고 나면 가장 중요한 법원으로 꼽힌다. 서울 대전 대구 부산 광주 수원에 설치된 전국 6곳의 항소심(2심) 법원중 한 곳이지만, 언론에 오르내릴 만한 주요 사건의 판결을 도맡다시피하고 있어서다. 서울고법은 서울·인천·경기·강원권의 항소심을...
[인사] 대법원 ; 법무부 2022-01-25 18:01:49
소재지 근무)▷대전고등법원 판사 이의석▷〃 이혜성▷〃 김형식(청주지방법원 소재지 근무)▷대구고등법원 판사 곽병수▷부산고등법원 판사 김민기▷〃 최은정▷〃 김영환▷〃 추경준▷〃 반병동(울산지방법원 소재지 근무)▷〃 김종기(창원지방법원 소재지 근무)▷부산고등법원 판사 박성준(창원지방법원 소재지...
유학간 손주에게 보낸 생활비…'증여세'로 돌아온 손주사랑 [더 머니이스트-김태준의 세금해부학] 2022-01-16 09:00:01
않는다고 문리해석 됩니다. 이에 대해 법원은 가치판단이 개입되는 사회통념의 수준을 논하기 보다는, 당사자 간 관계가 ‘부양의무자 사이’인지 여부를 판단의 방점으로 두는 경향이 있습니다. 과세관청 또한 당사자 간 부양의무의 존부를 증여세 과세 여부의 판단기준으로 삼고 있습니다. 부산고등법원2013누680, 2014....
[부고] 구허인 씨 별세 外 2022-01-06 17:33:36
부산고등법원장 별세, 안병하 강원대 로스쿨 교수·안병준 현대제뉴인 책임 부친상, 권기훈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 장인상=5일 부산 남천성당 발인 8일 오전 5시20분 051-623-4528 ▶유일염씨 별세, 권순호 HDC현대산업개발 상근고문 장모상=6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8일 오전 5시 02-3010-2263 ▶이백영씨 별세, 이인찬 前...
한국조선해양 "통상임금 소송 당사자 지위 현대重에 승계" 2021-12-21 18:16:24
법원은 앞서 지난 16일 현대중공업 근로자 10명이 전체 근로자를 대표해 회사를 상대로 낸 임금 청구 소송 상고심에서 사측의 손을 들어준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부산고등법원으로 돌려보낸 바 있다. 현대중공업 노사는 정기 상여금과 명절 상여금을 통상임금 소급분에 포함해 지급해야 하는지를 놓고 9년간 소송전을...
'검단 법조타운' 인근 ‘e편한세상 검단 어반센트로’ 분양 2021-12-10 09:00:03
인근 부동산 시장이 들썩이고 있다. 법원, 경찰청 등을 끼고 있는 법조타운은 지역 내 행정 중심지로 평가받으며 부동산 시장에서 변하지 않는 프리미엄 입지로 꼽힌다. 특히 법조타운을 중심으로 변호사, 법무사 등 양질의 일자리가 유입돼 일대가 이들의 배후 주거지역으로 떠오르게 된다. 구매력이 뒷받침되는 만큼 상권...
원청의 노조법상 사용자성, 어디까지 인정해야 하나 2021-12-07 17:36:47
있어야 함은 마땅하다. 하급심 법원 또한 단체교섭 의무를 부담하는 사용자와 부당노동행위의 주체가 될 수 있는 사용자를 동일한 개념으로 해석하기는 어렵다고 판단하여 위 대법원 2007두8881 판결을 도급인의 노동조합법상 사용자성을 일반적으로 인정한 것으로 보기 어렵다는 입장이다(울산지방법원 2018. 4. 12. 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