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역사교원 100명, 국내외 곳곳서 역사공부하고 한국 홍보 2017-08-03 11:30:02
수집에 초점을 맞춘 활동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팀별로 현지 한국학교 등에서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홍보하는 활동도 벌인다. 발칸반도 답사단 팀장을 맡은 오석진 대전교육청 장학관은 "사라예보는 1984년 동계올림픽을 개최했기 때문에 평창올림픽에도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며 "평창올림픽이 세계 평화와 화합의 장이...
[주목! 이 책] 낙엽이 지기 전에 2017-07-20 20:32:29
퇴임부터 사라예보 총격사건 등을 시간순으로 재구성했다. 저자는 1차 세계대전을 두고 “침략자 없는 비극” “일어날 이유가 없던 비극”이라고 묘사한다. 빠르게 수도를 점령해 강화 조약을 맺겠다는 선제공격의 유혹 때문에 독일은 공격을 감행했지만 실패로 끝났다. 국방부에 재직 중인 저자는...
도종환 장관 "국정농단이 체육 통해 일어난 것에 책임감 느낀다" 2017-07-13 13:00:59
등 학계 원로들, 정현숙(1973년 사라예보 세계탁구선수권대회 단체전 금메달), 조혜정(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여자배구 동메달) 씨 등 경기인 출신들이 참석했다. 도 장관은 이 자리에서 "국정농단의 한 부분이 체육을 통해 일어난 것에 대해 정부는 반성하고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면서 "다시는 체육인들이 상처받는 일이...
"민족주의와 자본주의 심화가 제1차 세계대전 낳았다" 2017-07-11 13:23:23
만든 제1차 세계대전의 표면적 원인은 사라예보 사건이었다. 하지만 각국 사이의 갈등은 이미 임계치에 이르러 있었다. 사라예보에서 울린 총성은 갈등이 폭발할 시기를 앞당겼을 뿐이다. 영국 철학자인 버트런드 러셀(1872∼1970)은 계몽주의가 꽃피고 산업혁명에 성공한 유럽에서 대규모 전쟁이 발생한 이유를 찾고자...
[신간] 리리, 오늘도 안녕!·우리는 죽을지도 모르는… 2017-06-29 08:00:04
세계대전이 발발하기까지 원인과 경과를 살펴본다. 사라예보 암살 사건이 터진 1914년 6월 28일까지 영국이 독일에 전쟁을 선포한 8월 4일까지 약 한 달이 넘는 기간에 벌어진 일들이 펼쳐진다. 저자는 누구도 전쟁을 원하지 않았음에도 1차 대전이 일어났음을 지적하면서 이 전쟁을 "침략자 없는 비극", "일어날 이유가...
[여행의 향기] 포화 속 피어난 장미의 이름, 보스니아 2017-05-07 17:01:52
문화…사라예보에 어우러지다 오스만제국이 세운 모스타르의 석재다리…"밤낮 없이 아름다워"2005년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재…다리 놓인 네레트바 강변 한쪽엔 이슬람 사원과 건축물이 빼곡…반대편엔 가톨릭성당·고전극장도심 곳곳 포탄 자국 그대로 '사라예보의 장미' 라고 불려 북쪽 구도심엔 이슬람 정취...
'한반도 위기'에 中전문가제언 "치킨게임,전쟁분위기 고조" 경고 2017-04-10 17:30:00
없었지만, 사라예보의 총소리 한 번에 전쟁이 일어났다"고 강조했다. 그는 북한의 6차 핵실험 가능성에 대해 "북한이 핵실험을 준비하고 있지만, 이 시점에서 하는 것은 굉장히 위험한 것"이라면서도 "북미 간 치킨게임의 수위가 계속 올라가다 보면 마지노선을 넘길 수 있으니 양측 모두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인터뷰] 모투스 IOM 아태사무소장 "사회는 다양할수록 발전" 2017-04-07 10:00:03
내전 발생 이듬해인 1993년부터 5년간 사라예보에서 긴급구호와 의료지원 활동을 펼친 것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힘든 순간도 많았지만 이들을 도울 기회를 얻은 것에 감사한다. 캄보디아와 우크라이나의 건강회복센터에서 인신매매 피해자들을 진료하고 상담해 건강을 되찾게 한 뒤 가족의 품으로 돌려보냈을 때도 큰 보람...
EU, 발칸국 6개국에 단일시장 권고…러시아 견제책 2017-03-17 16:11:04
한 집행위원은 사라예보에서 열린 서발칸 정상회의에 참석해 "심각한 내부 위기와 인종 갈등이 더 동쪽에서 오는 외세 개입과 나란히 결합해 발칸 지역을 향한 유럽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발칸 6개국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마케도니아, 코소보, 알바니아,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다. 이들 국가는 오랜 정정...
여자탁구, 중국인 코치 수혈로 '만리장성 넘는다' 2017-03-11 11:10:49
여자탁구는 지금 침체기를 겪고 있다. 한국은 1973년 사라예보 세계선수권대회에서 이에리사, 정현숙을 앞세워 구기 종목 사상 첫 단체전 금메달 쾌거를 이룬 이후 양영자, 현정화, 류지혜, 김무교, 이은실, 김경아 등을 주축으로 2000년대 초반까지 중국과 경쟁해왔다. 1980-90년대에는 86년 서울 아시안게임 단체전 금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