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금값 고공행진에 金 ETF도 '반짝반짝'…1년새 순자산 3.7배 불어 2025-02-13 06:30:01
금 가격이 최근 급등을 거듭하면서 금을 기초자산으로 한 상장지수펀드(ETF)도 두드러진 수익률로 투자자들의 관심을 끈다. 1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내에 상장된 금 ETF는 'ACE KRX금현물' 등 모두 6종으로 해당 상품들의 순자산 총계는 11일 종가 기준 1조2천605억원에 달했다. 1년 전 이 ETF들의 순자산은...
서울 강서에 첫 창고형 할인점 트레이더스 마곡점 개장 2025-02-13 06:00:02
단독 상품을 준비했고 사무용품 품목 수도 대폭 확대했다. 최강의 가성비(가격 대비 품질)를 자랑하는 T-카페 역시 170평 면적의 최대 규모로 자리 잡았다. 원형 테이블을 포함하면 120명 이상의 고객을 수용할 수 있다. 트레이더스는 마곡점이 3년 이내에 매출 최상위권으로 도약할 잠재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한다....
다이소도 깜짝 놀라겠네…1020女 입소문 나더니 '인기 폭발' 2025-02-13 05:57:31
중 10~20대가 차지하는 비중은 75%나 된다. 이들이 상품 찜과 리뷰 등 단독 선론칭 제품에 대해 반응을 보이면, 데이터가 쌓이고 입소문이 나면서 신규 고객 유입 및 브랜드 매출 성장으로 이어진다는 설명이다. 단독 선론칭 제품은 '뷰티 강자'인 다이소와 올리브영이 쓰는 방법이기도 하다. 다이소는 브랜드들과 ...
美 '금값'된 계란에 '에그플레이션' 우려 다시 고개 2025-02-13 01:47:00
이날 1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에너지 및 식품 가격 상승 영향으로 전년 동월 대비 3.0% 상승했다고 밝혔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대로 다시 올라선 것은 지난해 6월(3.0%) 이후 7개월 만에 처음이다. 인플레이션 지표가 예상 밖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해 들어...
뉴욕증시, 더 뜨거워진 CPI·트럼프-파월 줄다리기…급락 출발 2025-02-13 01:14:26
각각 올랐다. 국제 유가는 내림세다. 근월물인 3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 대비 1.54% 내린 배럴당 72.19달러,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4월 인도분 가격은 전장 대비 1.32% 낮은 배럴당 75.98달러에 각각 거래되고 있다. chicagorh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美 1월 소비자물가 '깜짝 상승'…계란·휘발유값 상승에 3.0%↑(종합) 2025-02-12 23:35:35
가격 상승세는 2015년 6월 이후 가장 높았다고 노동부는 설명했다. 주거비는 전월 대비 0.4% 상승해 전체 월간 상승률의 약 30%에 기여했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근원 CPI는 전년 동월 대비 3.3%, 전월 대비 0.4% 각각 상승했다. 근원지수 상승률은 지난해 하반기 이후 3.2∼3.3% 수준에서 정체된 모습을...
美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6개월 만에 3%대로 치솟아 2025-02-12 23:23:41
0.5%로 예상치인 0.3%보다 높았다. 가격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근원 CPI도 3.3%로 시장 전망치(3.1%)를 웃돌며 물가 둔화 흐름이 반전될 가능성을 시사했다. 특히 주거비와 서비스 부문 물가 상승세가 지속되면서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완화되지 않았다는 분석이다. 시장에서는 Fed의 금리 인하가 지연될 수...
美물가 예상외 상승…10년물 국채 금리 4.631% 급등 2025-02-12 23:09:04
가격이 급등하면서 식품과 교육비용도 오른 것이 이 달의 예상밖 소비자 물가 상승에 기여했다. 12월을 제외하면 미국의 헤드라인 소비자 물가는 평균적으로 한달에 0.3%씩 올랐다. 1월은 트럼프의 관세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기도 전이다. 그러나 일부 기업들이 관세를 예상해서 선제적으로 가격을 인상했을 가능성도...
묻지마 高물가…"오늘이 가장 싸다" 2025-02-12 17:26:53
대형마트·편의점·슈퍼마켓 등에서 판매하는 상품의 평균 가격을 전수 조사한 결과, 전체 464개 품목 중 절반(227개)이 지난해 12월보다 비싸졌다. 세제, 샴푸, 티슈 등 반복 구매가 잦은 생필품은 56개 품목의 가격이 상승했다. 신선식품의 오름세도 가파르다. 농산물 가격 플랫폼 팜에어·한경에 따르면 무 도매가격은...
'월급 올라도 왜 가난해지나' 했더니…곡소리 나는 한국 2025-02-12 17:26:22
가격 인상 압력도 높아”김씨의 소비생활 변화는 다락같이 오른 요즘 물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한국경제신문이 12일 한국소비자원을 통해 이달 대형마트·편의점·슈퍼마켓 등에서 판매하는 상품 평균 가격을 전수 조사한 결과, 전체 464개 품목 중 절반가량(227개)이 지난해 12월보다 비싸졌다. 세제·샴푸·티슈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