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식약처, 골수섬유증 치료 희귀의약품 허가 2024-09-25 09:24:01
중 하나로, 조혈 기능을 담당하는 골수조직에 섬유화가 진행돼 혈액을 만드는 기능이 떨어지는 상황을 유발한다. 글락소스미스클라인이 수입하는 옴짜라정은 빈혈이 있는 성인의 중간 또는 고위험군 골수섬유증(일차성 골수섬유증, 진성 적혈구증가증 후 골수섬유증, 본태성 혈소판증가증 후 골수섬유증) 치료에 사용된다. ...
[인터뷰] "지구서 수십년 걸리는 노화 연구, 무중력 우주선 한달이면 돼" 2024-09-25 08:11:19
원리를 연구하기 위해 인간의 줄기세포로 심장근육 세포를 만들어 실제 성인의 심장근육과 유사한 '인공심장 칩'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2020년 3월 48개의 '인공심장 칩'을 스페이스X 로켓에 실어 국제우주정거장(ISS)으로 보냈고, ISS에서 30일간 관찰한 뒤 다시 지구로 가져와 지구에 둔 인공심장근육과...
샤페론, AI 플랫폼으로 원형탈모 치료 물질 발굴 성공 2024-09-24 17:13:52
원형탈모 환자의 조직을 마우스에 이식해 효능을 평가하는 소규모 전임상 시험도 논의할 예정이다. 원형탈모는 자가면역 질환 중 하나이다. 우리 몸의 면역 세포들이 머리카락 뿌리에 있는 모낭을 비정상적으로 공격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원형탈모는 아직까지 정확한 발병 원인과 메커니즘이 명확하게 규명되지...
中과학자 "멸종위기 자이언트 판다 줄기세포 배양 첫 성공" 2024-09-24 16:33:18
세포를 배양하는 데 처음으로 성공했다고 밝혔다. 24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 청두자이언트판다번식연구기지 연구진 등은 최근 과학 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발표한 논문에서 이같이 밝혔다. 유도만능줄기세포(IPSCs)로 알려진 자가 재생 세포는 피부나 머리카락 같은...
마취통증의학회 "지방줄기세포 채취할 땐 입원 치료 필요" 2024-09-24 16:06:30
자가지방유래 줄기세포(SVF) 시술을 위해 지방조직을 채취한 뒤 최소 6시간에서 하루 이상 입원이 필요하다는 전문가 의견이 나왔다. 실손보험 등의 적용 범위도 이에 맞춰 확대해야 한다고 의료계에선 지적했다. 24일 의료계에 따르면 대한마취통증의학회는 최근 SVF 시술에 쓸 지방조직을 채취할 때 수면마취 경과를...
[사이테크+] "장기간 우주비행, 심혈관 건강에 노화와 유사한 부정적 영향" 2024-09-24 04:00:01
머물러도 심장 조직에 노화와 비슷한 부정적 현상이 발생한다는 실험 결과가 나왔다. 미국 존스홉킨스대 의대 의생명공학과 김덕호 교수팀은 24일 과학 저널 미국립과학원회보(PNAS)에서 인공심장 칩(Heart-on-a-chip) 플랫폼을 국제우주정거장(ISS)에 30일간 놔두고 영향을 분석하는 실험에서 심근세포 수축력 저하 등...
JW중외제약, 'AI 플랫폼'으로 신약 개발 기간 대폭 단축 2024-09-22 16:20:58
개발해 왔다. 주얼리는 윈트(Wnt) 신호전달(세포의 증식과 이동, 분화 및 암을 포함한 다양한 질병에 관여) 경로의 활성 또는 저해 약물을 발굴하는 플랫폼이다. 각종 질환 관련 세포주뿐만 아니라 동물 모델에서 채취한 조직의 유전체 데이터베이스, 2만7000여 종의 화합물 라이브러리, 윈트 신호 조절 약물 스크리닝계...
조금만 걸어도 아프고! 저리고! 협착증 치료의 근본적 원인 해결은? 2024-09-20 13:24:57
진행된다. 그러므로 근육이나 조직들의 손상 위험도 적고 수혈을 하지 않아 고령자나 당뇨, 고혈압 등의 만성질환 환자들도 수술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다. 특히 시술과 수술의 중간단계의 치료 개념이므로, 비수술적 치료에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지만 수술 치료는 두려워 망설이는 환자들에게 가장 적합한 치료이다....
황태현 미국 메이오 클리닉 교수, 美 암 정복 프로젝트 ‘캔서문샷’ 주도 2024-09-20 11:00:24
암세포나 조직의 3차원 이미징과 단백질 분석을 더욱 정교하게 할 수 있게 한다. 토모큐브 대표인 박용근 한국과학기술원(KAIST) 물리학과 교수는 이날 “이전에는 암 조직을 얇게 잘라서 2차원으로 관찰하다 보니 실제 암 조직과 주변 상황을 살피기 어려웠다”며 “홀로토모그래피를 사용해 3차원 형태의...
EU307 임상 CI 김도영 교수 “GPC3, 전이암에서도 발현 높다” 2024-09-19 09:35:05
간세포암(고형암)에 특이적으로 과발현되는 GPC3 암항원을 타깃한다. 또한 면역 관련 사이토카인 인터루킨18(IL-18) 분비를 통해 CAR-T의 기능을 높이고 종양미세환경(TME)에서 T cell 자체 활성 및 암조직 주위 항암면역이 증가하도록 설계됐다. 임상 1차 목표는 용량 제한 독성(DLT) 및 이상사례 평가를 통해 안정성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