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한미연합훈련 재개된다면 올 12월 '비질런트 에이스' 가능성 2018-08-29 16:58:22
이 훈련은 북한의 스커드와 노동미사일을 비롯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추적 탐지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국방부 당국자는 "현재 연합훈련 재개 문제를 거론할 시점은 아닌 것 같다"면서 "양국 국방 당국은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정착 과정이 흔들림 없이 진전되어야 한다는 확고한 인식을 공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국방부, '한국형 패트리엇' 철매-Ⅱ 7개포대 2021년부터 전력화 2018-08-21 11:07:57
"핵·화생무기 탑재가 가능한 북한의 스커드 미사일 위협은 상존하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기 위한 우리 군의 대응능력 구비 측면에서 철매-Ⅱ를 기존 계획대로 전력화할 필요가 있고, 전시작전통제권 적기 전환을 위한 한국군 핵심 군사능력 구비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수출기반 조성 측면에서도 잠재적...
"이스라엘 주요인프라, 헤즈볼라 미사일 공격에 타격받을 수도" 2018-07-23 16:45:20
알려지고 있다. 여기에는 이란산 파테110 미사일, 스커드 미사일, 이스라엘 항공기를 겨냥할 수 있는 유도 지대공 미사일, 첨단 드론 프로그램 등이 포함된다. 이란의 파테110 미사일은 이스라엘 최대 도시 텔아비브를 겨냥해 발사할 경우 목표물을 1km 오차 범위 내에서 명중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미사일...
육군 지상작전사령부 창설, 올해 10월서 내년초로 연기될듯 2018-07-08 09:00:03
스커드 미사일 기지가 밀집해 있는 북한의 황해도까지 포함하는 200㎞까지로 확장하는 방안도 검토한 것도 화력임무 여단의 작전을 고려한 조치로 알려졌다. 경기 용인에 지작사 사령부 청사가 건립돼 있고, 현재 주요 참모들도 보직이 정해졌다. 지작사는 애초 2010년 창설 목표였다가 전시작전통제권 전환(환수) 연기...
"北, 올 상반기 '북극성-2형'용 지원장비·발사대 계속 생산" 2018-07-03 00:35:29
전원회의에서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 및 대륙간탄도 미사일 중단을 선언했지만, 신형 미사일과 핵탄두 생산에 대한 김 위원장의 지시를 뒤집진 않았다고 디플로매트는 보도했다. 북한은 북극성-2형, 노동, 그 외 스커드 형을 포함해 중·단거리 미사일의 시험과 생산 관련해선 공개적으로 양보하지 않은 상태라고 디플로매트는...
[김귀근의 병영톡톡] 탱크 몰던 육군, 이젠 하늘을 난다? 2018-04-15 06:00:05
겹치게 된다. 작전반경 200㎞이면 북한의 황해도 스커드 미사일 기지가 타격 범위에 들어간다. 유사시 스커드와 노동미사일 등 긴급히 타격해야 할 북한의 전략시설은 공군구성군사령관(미 7공군사령관)의 작전명령인 '통합임무명령서(ITO)'에 목록화되어 있다. 한미 공군은 매년 이 목록을 최신화하는 작업을 한...
예멘 반군, 사우디 수도로 5번째 탄도미사일 발사 2018-04-12 17:56:07
옛 소련제 스커드 미사일을 개조해 부르칸H-2를 개발했다고 주장하지만, 사우디는 이란이 이를 공급했다고 확신한다. 반군은 올해를 '탄도미사일의 해'로 선언하고 사우디를 겨냥한 탄도미사일 발사 빈도를 높이고 있다. 예멘 내전 3년간 반군은 사우디로 탄도미사일 100발 정도를 쐈다. 사우디군은 사우디 남부...
육군 "지상군작전사령부 창설되면 12∼13개 장군직위 삭감" 2018-03-30 09:46:45
육군은 지상군작전사령부의 작전 반경을 수도권을 위협하는 스커드 미사일 기지가 밀집해 있는 북한의 황해도까지 포함하는 200㎞까지로 확장하는 방안을 수립했으나 공군은 책임 지역이 중복되고, 비용대비 작전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반대하고 있다. three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
"북한, 이집트 거점으로 중동·북아프리카에 무기장사" 2018-03-04 21:34:21
조종사를 지원했고, 양국은 1970년대에 소련제 스커드미사일의 사거리를 늘리는 데도 협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미국 관리들은 1990년대 후반 이집트가 사거리가 1천300㎞나 되는 북한 노동미사일을 수입하려고 했다며 우려했다고 NYT는 소개했다. noja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란, 예멘 반군에 탄도미사일 제공 극구 부인 2018-02-28 04:29:47
소련제 스커드 미사일을 북한과 러시아 전문가의 경험을 이용해 개조했다고 반박했다. 이란의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에 "여러 번 밝혔듯이 이란의 군사 정책의 원칙과 여러 나라(미국 등 서방)가 '관대하게' 독재자 사담 후세인을 지원했던 8년간의 전쟁(1980년 발발한 이란-이라크 전쟁)의 고귀한 경험을 교훈 삼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