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행성사냥꾼' 테스가 포착한 남쪽 하늘의 파노라마 2019-11-06 10:11:27
이 사진은 천체면 통과 외계행성 탐색 위성인 테스가 지난 7월 18일까지 탐색 임무 첫 1년간 찍은 남쪽 하늘 이미지 중 208장을 토대로 짜깁기됐다. 우리은하가 왼편으로 칼날처럼 위에서 아래로 흐르고 중앙에는 대마젤란은하와 소마젤란은하, 상단에는 오리온성운이 포착돼 있다. 테스는 원래 외계행성을 찾는데 목표를...
목성의 달 이오처럼 화산 터지는 외계위성 간접 확인 2019-08-30 15:43:31
천체면통과(transit) 신호도 약해 외계위성의 존재를 확인하는 것이 여간 어렵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화산 활동이 활발한 것으로 추정되는 외계위성을 간접적으로 관측한 결과가 학계에 보고돼 주목받고 있다. 스위스 베른대학과 외신 등에 따르면 이 대학 물리연구소의 박사후과정 연구원 아푸르바 오자는...
외계 천문학자가 봤을 지구 모습으로 생명체 행성 찾는다 2019-08-29 16:29:22
지구가 태양 앞을 지나는 이른바 '천체면 통과(transit)' 때 관측되는 것을 토대로 생명체 "지문"을 찾아내 외계행성 탐색에 활용할 수 있는 길을 열어놓았다. 캐나다 맥길대학에 따르면 이 대학 물리학과 니컬러스 코완 교수 연구팀은 캐나다우주국(CSA)이 지구 대기를 관측하기 위해 발사한 SCISAT 위성의 10년...
약 48광년 밖 지구형 외계행성 표면 스피처 망원경 직접 관측 2019-08-20 16:46:06
줄어드는 것을 통해 행성의 존재를 확인하는 '천체면통과(transit)' 방법으로 발견했다. 행성 표면에서 반사되는 빛을 직접 포착해 외계행성을 찾아낼 수도 있지만 이보다 훨씬 더 밝은 별빛에 묻혀있어 식별해 내기가 어렵다. 크라이드버그 박사 연구팀은 후속 관측에서 NASA의 적외선 우주망원경인 스피처를...
행성형성 역사 밝혀줄 "10대 초반" 외계행성 찾아내 2019-07-26 16:58:56
테스는 행성이 별 앞을 지날 때, 이른바 천체면 통과(transit) 때 별빛이 줄어드는 것을 통해 외계행성을 찾아낸다. 3차례 이상 천체면 통과를 관측하고 오류가 아닌 점이 확인되면 외계행성 후보 목록에 오르며, 지상이나 우주망원경을 통해 별도로 확인돼야만 외계행성으로 정식 등록된다. 연구팀은 외계행성 DS Tuc...
공전주기 6.91분밖에 안 되는 이중성계 백색왜성 관측 2019-07-25 16:14:20
주시하고 있다. 중력파는 물에 돌을 던지면 물결이 동심원을 그리며 퍼져나가듯 우주 공간에서 큰 질량을 가진 물체가 움직일 때 이를 중심으로 시공간이 움직이며 파동이 생기는 것으로, 지금까지는 중성자별이나 블랙홀 등 거대 천체의 충돌 때 극히 일부만 관측됐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예측...
태양 151일만에 일주하는 1㎞ 크기 '아티라' 소행성 관측 2019-07-09 11:37:55
보게 될 NASA의 적외선 소행성 탐사선 '지구근접천체카메라(NEOCam)'가 배치되길 학수고대하고 있다. 그는 보도자료를 통해 "아티라 소행성은 태양 가까이에 있어 다른 소행성보다 더 많은 열을 갖고 있으며 적외선으로 볼 때 더 밝게 빛난다"면서 "NEOCam은 우주에서 적외선으로 소행성을 찾기 때문에 지상에서...
지구보다 크고 해왕성보다 작은 100광년 밖 행성 대기 첫 분석 2019-07-03 14:48:57
면 캐나다 몬트리올대학 천문학 교수 비요른 베네케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b 행성이 글리제 3470 앞을 지나갈 때(천체면통과·transit) 별빛을 흡수하는 것과 별 뒤를 지나갈 때(식<蝕>·eclipse) 반사광이 줄어드는 것을 측정해 대기 성분을 분석했다. 허블과 스피처 우주망원경을 이용해 천체면 통과는 12차례, 식은...
천문硏, `지구위협소행성` 2개 발견…지구와 충돌할 확률은? 2019-06-25 23:21:40
천체도 지구와 충돌하면 충돌점에서 반경 수백㎞ 지역까지 재난을 초래할 수 있다. 국제천문연맹 소행성센터는 이 소행성을 `지구위협소행성`(PHA)으로 분류했다. PP29의 궤도는 긴 타원 형태이며 공전 주기는 5.7년이다. 연구진은 2016년부터 KMTNet으로 태양계 행성들이 지나다니는 공전궤도면 부근인 황도대를 관측하는...
천문硏, '지구위협소행성' 첫 발견…"지구충돌 확률 28억분의 1"(종합) 2019-06-25 14:46:18
140m급 천체도 지구와 충돌하면 충돌점에서 반경 수백㎞ 지역까지 재난을 초래할 수 있다. 국제천문연맹 소행성센터는 이 소행성을 '지구위협소행성'(PHA)으로 분류했다. PP29의 궤도는 긴 타원 형태이며 공전 주기는 5.7년이다. 연구진은 2016년부터 KMTNet으로 태양계 행성들이 지나다니는 공전궤도면 부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