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분산보다 압축이 대세"…집중투자 ETF 뜬다 2025-02-03 17:57:41
식이다. 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키움자산운용은 이달 단일 종목 ETF인 ‘KIWOOM 엔비디아 미국30년국채혼합 액티브’와 ‘KIWOOM 팔란티어미국30년국채혼합액티브’를 내놓을 예정이다. 두 상품 모두 주식은 엔비디아 팰런티어 등 한 종목만 담고, 나머지는 만기가 30년 남은 미국 국채에 투자하는 상품이다. 변동성이...
조각투자 발행 플랫폼 제도화…대체거래소서 ETF 거래 가능 2025-02-03 17:32:28
투자업 규정 개정안을 입법예고했다. 예고 기간은 다음달 17일까지다. 국무회의 의결 등을 거쳐 오는 6월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개정안에 따르면 현재 샌드박스로 운영하는 조각투자 발행 플랫폼이 제도권으로 정식 편입된다. 이를 위해 비금전신탁의 수익증권 발행을 위한 투자중개업 인가 단위가 신설된다. 카사(부동산),...
2030년 대체 데이터 200조 시장…글로벌 투자사 '풀베팅' 2025-02-03 17:27:35
‘대체 데이터는 현재 투자업계의 주류’라고 표현하며 “전문 투자자의 의사 결정에 계속해서 강력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데이터 구매 증가는 내부 영업 정보를 상품화하려는 데이터 공급회사 증가와 정제·가공 기술 발달이 견인하고 있다. 방대하고 지저분한 데이터를 가공해 통찰력을 제공하는 자본시장...
조각투자 발행플랫폼 제도화…대체거래소에서 ETF·ETN 거래 허용 2025-02-03 13:16:24
금융투자업규정,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다. 금융위는 이번 개정안에 따라 현재 샌드박스로 운영되고 있는 조각투자 유동화 수익증권 발행플랫폼을 정식 제도화한다. 조각투자는 부동산, 미술품, 지적재산권 등을 유동화해 일반투자자를 대상으로 판매하는 것을 말한다. 그간 기초자산을...
조각투자증권 발행플랫폼 제도화…대체거래소서 ETF 거래 가능 2025-02-03 11:24:59
금융투자업 규정,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개정안을 입법예고하고 규제개혁위원회, 법제처 심사와 증권선물위·금융위,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6월 16일부터 시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개정안에 따르면 부동산, 지적재산권 등 기초자산을 신탁한 후 비금전신탁 수익증권을 발행하는 방식의 조각투자 유동화...
"'관세 무기화' 지옥문 열렸다"…美 지수선물 '급락' 2025-02-03 09:22:09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23분 현재 다우존스30 선물지수는 전거래일대비 1.24%, S&P 500 지수선물은 1.85% 약세를 기록 중이다. 나스닥100 지수 선물은 2.40% 하락하며 추가로 낙폭을 확대 중이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을 상대로 관세 부과를 강행하면서 시장의 불안감이...
'투자전설' 하워드 막스 "韓 불확실성 해결 신뢰…긍정시각 유지" 2025-02-02 17:00:00
쌓아왔다. 그가 메모 형식으로 고객에게 보내는 서한은 시장 기회와 위험에 대한 남다른 통찰을 담은 것으로 유명하다. 워런 버핏 버크셔헤서웨이 회장도 "메일함에 하워드 막스의 메일이 보이면 맨 먼저 읽는다"라고 할 정도로 글로벌 투자업계의 신뢰를 받아왔다. p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유한회사? 주식회사?…고려아연 분쟁 승패 가를 가처분 소송 쟁점은 2025-02-02 06:30:01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영풍·MBK 연합은 지난달 31일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영풍의 의결권을 배제한 채 이뤄진 임시주총 결의의 효력을 정지해달라는 취지의 가처분 신청서를 제출했다.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측은 임시주총 하루 전 고려아연의 손자회사 SMC에 최씨 가문이 보유하고 있던 영풍 지분을 넘겨 순환출자 구조를...
[IPO챗] 올해 첫 '대어' LG CNS 다음주 코스피 입성 2025-02-01 09:00:03
'대어' LG CNS가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한다. 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LG CNS는 삼성SDS와 함께 국내 클라우드 분야의 주요 강자로 꼽히는 회사로, 인공지능(AI) 붐으로 클라우드 수요가 커지면서 'AI 수혜주'로 주목받고 있다. 기업의 전산 체계를 구축하는 시스템 통합 업무와 금융·물류 산업에 최적화...
딥시크는 '파괴神'?…AI 산업 활성화 새장 열어 2025-02-01 08:10:00
학계와 금융투자업계의 견해를 종합하면 딥시크는 모든 틀을 망가뜨리는 '종결자'라기 보다는 현 시장을 더 풍성하게 만드는 '혁신 촉매'에 더 가까워 보인다. 오픈AI의 '챗GPT'와 구글 '제미나이' 등 종전 AI 모델들을 몽땅 대체한다고 보기 어렵다는 얘기다. 이와 관련해 먼저 주목해야...